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영상서사 표현교육의 구체화 방안 = A Study on the Substantiation of Visual Narrative Expression Educ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33489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rify the concept and current status and to present directions of visual narrative expression education. Methods:In order to accomplish purpose, the elements and necessities of visual narrative expression education were reviewed by previous studies related to media literacy, digital literacy, and video education. The relevant achievement standards reflected in the 2015 revised Korean language curriculum were analyzed and categorized by essential or instrumental achievements. Results:The findings of the curriculum’s analysis and theoretical research showed that the purpose, genre characteristics, and ability components can be the criteria for selecting the contents. The preparation, production, communication and reflection can be spectrum of activities. Conclusion:The contents and activities of visual narrative expression education can be differentiat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achievement standards and learner’s level. For low grade groups and instrumental goals, ethical awareness, critical perspective and easy video production activities are important. For high grade groups and essential goals, full-scale visual narrative production, communication and reflection are important. It enhance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visual language and narrative composition.
      번역하기

      Purpose: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rify the concept and current status and to present directions of visual narrative expression education. Methods:In order to accomplish purpose, the elements and necessities of visual narrative expression...

      Purpose: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rify the concept and current status and to present directions of visual narrative expression education. Methods:In order to accomplish purpose, the elements and necessities of visual narrative expression education were reviewed by previous studies related to media literacy, digital literacy, and video education. The relevant achievement standards reflected in the 2015 revised Korean language curriculum were analyzed and categorized by essential or instrumental achievements. Results:The findings of the curriculum’s analysis and theoretical research showed that the purpose, genre characteristics, and ability components can be the criteria for selecting the contents. The preparation, production, communication and reflection can be spectrum of activities. Conclusion:The contents and activities of visual narrative expression education can be differentiat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achievement standards and learner’s level. For low grade groups and instrumental goals, ethical awareness, critical perspective and easy video production activities are important. For high grade groups and essential goals, full-scale visual narrative production, communication and reflection are important. It enhance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visual language and narrative composi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목적:본 연구는 영상서사 표현교육의 개념과 필요성을 밝히고 영상서사 표현교육의 현황을 파악하여 구체화 방향 제시를 목적으로 한다. 방법:이를 위해 매체 문식성, 디지털 리터러시, 국어과 영상 교육에 관련된 선행 연구를 검토하여 영상서사 표현교육의 구성요소와 필요성을 설정하고,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에 반영된 관련 성취기준을 분석하여 본질적, 도구적 성취기준으로 범주화하였다. 결과:교육과정 분석과 이론 연구를 통해 영상서사 표현교육의 내용 선정 기준으로 목적, 장르 특성, 능력 구성 요소를, 활동 스펙트럼으로 준비, 제작, 소통 및 성찰 활동을 제안하였다. 결론:성취기준 성격과 학교급별 특성에 따라 영상서사 표현교육의 내용과 활동을 차별화할 수 있다. 낮은 학년군, 도구적 목표의 영상서사 표현교육에서는 창의적이고 쉬운 영상물 제작 경험이나 준비 활동을 통해 윤리 의식이나 비판적 안목 신장을, 높은 학년군, 본질적 목표의 경우에는 본격적인 영상서사 제작, 소통 및 성찰 활동을 통해 영상언어의 특성 이해력과 서사 구성 능력을 신장시킨다.
      번역하기

      목적:본 연구는 영상서사 표현교육의 개념과 필요성을 밝히고 영상서사 표현교육의 현황을 파악하여 구체화 방향 제시를 목적으로 한다. 방법:이를 위해 매체 문식성, 디지털 리터러시, ...

      목적:본 연구는 영상서사 표현교육의 개념과 필요성을 밝히고 영상서사 표현교육의 현황을 파악하여 구체화 방향 제시를 목적으로 한다. 방법:이를 위해 매체 문식성, 디지털 리터러시, 국어과 영상 교육에 관련된 선행 연구를 검토하여 영상서사 표현교육의 구성요소와 필요성을 설정하고,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에 반영된 관련 성취기준을 분석하여 본질적, 도구적 성취기준으로 범주화하였다. 결과:교육과정 분석과 이론 연구를 통해 영상서사 표현교육의 내용 선정 기준으로 목적, 장르 특성, 능력 구성 요소를, 활동 스펙트럼으로 준비, 제작, 소통 및 성찰 활동을 제안하였다. 결론:성취기준 성격과 학교급별 특성에 따라 영상서사 표현교육의 내용과 활동을 차별화할 수 있다. 낮은 학년군, 도구적 목표의 영상서사 표현교육에서는 창의적이고 쉬운 영상물 제작 경험이나 준비 활동을 통해 윤리 의식이나 비판적 안목 신장을, 높은 학년군, 본질적 목표의 경우에는 본격적인 영상서사 제작, 소통 및 성찰 활동을 통해 영상언어의 특성 이해력과 서사 구성 능력을 신장시킨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희동, "초등 국어과 표현 영역에서 매체 활용 교육의 방향 - 프레젠테이션 교육을 중심으로 -"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61) : 95-122, 2016

      2 신헌재, "초등 국어 수업의 이해와 실제" 박이정 2015

      3 교육부, "초등 6학년 2학기 국어과 교과서" 미래엔 2019

      4 네이버 영화사전, "영상의 정의"

      5 김태호, "영상서사의 비판적 읽기 방법 연구" 한국국어교육학회 (108) : 33-57, 2016

      6 최현정, "영상매체 문식성 신장을 위한 국어과 영상 제작 교육 방안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7 김근호, "스토리텔링의 서사 문화와 서사표현교육론 -TV 방송 매체의 일상성을 중심으로-" 국어교육학회 (33) : 229-266, 2008

      8 Abbott, H. P., "서사학 강의" 문학과 지성사 2010

      9 김대행, "매체언어교육론 서설" 한국국어교육연구회 97 : 7-44, 1998

      10 김동욱, "매체 문식성 관련 국어과 교육과정의 적합성 조사 연구 : 2009 개정 국어과 성취기준에 대한 중등 교사의 평가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1 김희동, "초등 국어과 표현 영역에서 매체 활용 교육의 방향 - 프레젠테이션 교육을 중심으로 -"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61) : 95-122, 2016

      2 신헌재, "초등 국어 수업의 이해와 실제" 박이정 2015

      3 교육부, "초등 6학년 2학기 국어과 교과서" 미래엔 2019

      4 네이버 영화사전, "영상의 정의"

      5 김태호, "영상서사의 비판적 읽기 방법 연구" 한국국어교육학회 (108) : 33-57, 2016

      6 최현정, "영상매체 문식성 신장을 위한 국어과 영상 제작 교육 방안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7 김근호, "스토리텔링의 서사 문화와 서사표현교육론 -TV 방송 매체의 일상성을 중심으로-" 국어교육학회 (33) : 229-266, 2008

      8 Abbott, H. P., "서사학 강의" 문학과 지성사 2010

      9 김대행, "매체언어교육론 서설" 한국국어교육연구회 97 : 7-44, 1998

      10 김동욱, "매체 문식성 관련 국어과 교육과정의 적합성 조사 연구 : 2009 개정 국어과 성취기준에 대한 중등 교사의 평가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11 김수환, "디지털 리터러시의 교육과정 적용 방안 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17

      12 김광요, "드라마사전" 문예림 2010

      13 한귀은, "국어교과서의 영상 제작 활동 도입 방안" 국어교육학회 (27) : 153-186, 2006

      14 박소영, "국어과 영화 제작 수업의 실제와 반성적 고찰" 배달말학회 (46) : 219-256, 2010

      15 박기범, "국어과 영화 제작 수업 방안" 한국어교육학회 (127) : 307-338, 2008

      16 박주현, "국어과 매체교육의 역사에 대한 검토와 비판적 고찰-중학교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연대 2019

      17 조재윤, "국어과 매체 수업 개선 방법 연구" 청람어문교육학회 (45) : 33-63, 2012

      18 교육부, "국어과 교육과정"

      19 심재웅, "개인방송과 미디어 리터러시" 한국교육방송공사 7 (7): 16-27, 2017

      20 Kafai, Y., "Youth, technology, and DIY:Developing participatory competencies, in creative media production" 35 : 89-119, 2011

      21 Prensky, M., "Digital natives, digital immigrants" 9 (9): 1-6, 2001

      22 European Commission, "DigComp 2.1:The Digital Competence Framework for Citizens with eight proficiency levels and examples of use" Publications Office of the European Union 2017

      23 JISC, "Developing digital literacies"

      24 이현숙, "2018-2019 국가수준 초․중학생 디지털 리터러시 수준의 연도별 비교 분석"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6 (26): 337-366, 2020

      25 한국언론진흥재단, "2016 10대 청소년 미디어 이용 조사" 한국언론진흥재단 2016

      26 장은주,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중학교 언어기능 영역 성취기준 적합성 분석"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9 (19): 27-48, 201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3-12-04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The Association of Korean Education KCI등재
      2013-12-0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Modern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 KOREAN EDUCATION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6 1.06 1.0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8 0.95 1.479 0.3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