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남북한 표준어 정책 전환의 필요성‒포스트휴머니즘 시대 표준어가 소통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 A Study on Necessity of Transition of the Standard Language Policy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Focusing on the Influence of Standard Language on Communication in the Posthumanism Era‒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factors that accelerate language heterogeneity in North and South Korea are the codified standard language policy of North Korea and South Koreas, and it is necessary to abolish the codified standard language because it ca...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factors that accelerate language heterogeneity in North and South Korea are the codified standard language policy of North Korea and South Koreas, and it is necessary to abolish the codified standard language because it can make communication difficult.
      Historically, the notion of standard language began in England in the 15th century, and France was influenced in England, which again influenced Germany. During the period from the 15th to the 19th century, the standard language policy, which was intended to strengthen the kingship in Europe and to increase the influence of the central government, influenced imperial Japan through Germany and this led to Korea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oday, It became a nation that enacted a strong standard language policy.
      Comparing the languages of the two Koreas,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erms of spelling. On the other hand, there are many differences in terms of lexicon. It seems to be the result that North Korea has strongly promoted the use of cultivated standard language, and South Korea has also adopted strong standard language policy. The fact that the two Koreas have the standard language of each codified standard language can be a source of conflict in the future development of inter-Korean relations.
      Communication is the most basic function of language. Historically, the standardization of language has helped communication until 19th century. However, since the concept of ‘ensuring language diversity, activating creative function of language and securing the right of language equality’ has been strengthened in modern times, as a result, standard language is rather a factor preventing communication abundance. For that reason I suggest abolishing the codified standard language.
      If we abolish the codified standard language, we will use the most, the standard in broadcasting and media, and the way to educate students based on the languages included in the dictionary, and many other benefits, is a reasonable way. In this paper, instead of the concept of ‘alternative’ as the standard language, this paper proposes the concept of ‘Unified Common Korean’, which is a common language used by all Korean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남북한 언어 이질화를 가속하는 요인이 성문화된 규정으로 제시한 북한의 문화어와 남한의 표준어에 있다고 보며, 포스트휴먼 시대를 맞이하여 표준어가 오히려 소통을 어렵게 ...

      본 연구는 남북한 언어 이질화를 가속하는 요인이 성문화된 규정으로 제시한 북한의 문화어와 남한의 표준어에 있다고 보며, 포스트휴먼 시대를 맞이하여 표준어가 오히려 소통을 어렵게 할 수 있어 이를 폐지해야 하는 당위성을 제시하였다.
      역사적으로 현대적인 관점에서의 표준어 개념은 15세기 영국에서 시작되었으며, 프랑스는 영국에서 영향을 받았고, 이는 다시 독일에 영향을 미쳤다. 15세기부터 19세기에 이르는 동안 유럽에서 왕권 강화와 중앙집권 정부의 영향력을 높일 의도로 계획한 표준어 정책은 독일을 통해 제국주의 일본에도 영향을 미쳤고, 이것이 일제 강점기의 한국에까지 이어져 오늘날 우리나라가 세계적으로 가장 강력한 표준어 정책을 제정한 국가가 된 것이다.
      남북한의 언어를 비교해 보면 맞춤법 규정에 있어서는 큰 차이가 없는 반면에 어휘적인 측면에서 차이가 많은 것은 북한이 문화어 정책을 통해 말다듬기를 강력하게 추진해 왔고, 남한도 성문화된 표준어 규정을 통해 인위적으로 어휘의 표준을 정해 온 결과로 보인다. 남북이 각각의 성문화된 표준어를 가지고 있는 것은 향후 남북관계 평화 조성에도 갈등의 소지가 될 수 있다.
      소통은 언어의 가장 기본적인 기능이다. 역사적으로 볼 때 근대까지는 언어의 표준화가 소통에 도움이 되었지만 향후 포스트휴먼 시대에는 ‘언어 다양성 보장, 언어의 창조적 기능 활성화, 언어 평등권 확보’라는 개념이 강화될 것이므로 표준어가 오히려 소통의 풍부함을 가로막는 요인이 될 수 있어서 폐지되어야 할 것으로 본다.
      성문화된 표준어 규정을 폐지하면 언중들이 가장 많이 사용하고, 방송이나 언론 등에서 기준으로 삼으며, 사전 등에 수록된 언어를 기준으로 학생들을 교육하는 방식이 합리적 방법일 것으로 본다. 이에 본고에서는 기존 표준어라는 ‘선택적’ 개념 대신에 한민족 모두가 공동으로 사용하는 언어라는 의미에서 ‘한민족공동어’라는 개념을 제안하며, 이 공동어라는 개념 속에서 남북한이 함께 한민족공동어(韓共同語) 정립위원회를 구성하고, 이 기구를 통해 충분히 논의와 활동을 전개한 후 표준어와 문화어를 폐지하여, 가능한 다양한 한국어 방언들이 언중들 사이에서 유통되기를 기대해 본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경봉, "현대 사회에서 표준어의 사용과 개념" 국립국어원 21 (21): 2011

      2 최경봉, "한글에 대해서 알아야 할 모든 것" 책과 함께 2008

      3 차봉희, "한국의 독일 문학 수용 100년" 한신대학교출판부 2001

      4 이상규, "한국어의 규범성과 다양성 : 표준어 넘어 서기" 태학사 2008

      5 정달영, "한국어와 조선어의 맞춤법 비교 및 통일 방안 연구" 한민족문화학회 15 : 2004

      6 김병욱, "프랑코포니의 언어관 탐색 - ‘문화적 예외’와 ‘문화적 다양성’, 그리고 언어" 한국프랑스학회 64 : 1-28, 2008

      7 정희원, "프랑스의 언어 정책 기관" 국립국어원 21 (21): 2011

      8 김현권, "프랑스의 모국어 보호정책과 법제" 국립국어원 13 : 2003

      9 민현식, "표준어와 언어정책론(1)" 선청어문학회 27 : 1999

      10 김세중, "표준어 정책에 대하여" 국립국어원 14 (14): 2004

      1 최경봉, "현대 사회에서 표준어의 사용과 개념" 국립국어원 21 (21): 2011

      2 최경봉, "한글에 대해서 알아야 할 모든 것" 책과 함께 2008

      3 차봉희, "한국의 독일 문학 수용 100년" 한신대학교출판부 2001

      4 이상규, "한국어의 규범성과 다양성 : 표준어 넘어 서기" 태학사 2008

      5 정달영, "한국어와 조선어의 맞춤법 비교 및 통일 방안 연구" 한민족문화학회 15 : 2004

      6 김병욱, "프랑코포니의 언어관 탐색 - ‘문화적 예외’와 ‘문화적 다양성’, 그리고 언어" 한국프랑스학회 64 : 1-28, 2008

      7 정희원, "프랑스의 언어 정책 기관" 국립국어원 21 (21): 2011

      8 김현권, "프랑스의 모국어 보호정책과 법제" 국립국어원 13 : 2003

      9 민현식, "표준어와 언어정책론(1)" 선청어문학회 27 : 1999

      10 김세중, "표준어 정책에 대하여" 국립국어원 14 (14): 2004

      11 최경봉, "표준어 정책과 교육의 현재적 의미" 한국어학회 31 : 335-364, 2006

      12 국립국어원, "특집 표준어 정책과 비판적 접근과 대안 모색" 14 (14): 2004

      13 최경은, "통일 이후 동서독 독일어의 통합 과정" 한국독일언어문학회 (21) : 55-79, 2003

      14 유네스코 한국위원회, "지구의 언어, 문화, 생물 다양성 이해하기"

      15 임영철, "일본의 국어정책과 일본어교육" 국어교육연구소 (28) : 295-318, 2011

      16 양민호, "일본 방언 사전의 경위와 의의" 국립국어원 27 (27): 2017

      17 이정복, "인터넷 통신 언어 실태와 세대 간 의사소통의 문제" 배달말학회 (49) : 29-69, 2011

      18 한재영, "외국의 표준화 정책" 국립국어원 21 (21): 2011

      19 국어학회, "세계의 언어 정책" 태학사 1993

      20 조태린, "성문화된 규정 중심의 표준어 정책 비판에 대한오해와 재론" 국어학회 (79) : 67-104, 2016

      21 민현식, "새로운 표준어 정책의 모색’에 대한 토론문" 국립국어원 14 (14): 2004

      22 김철준, "새로 편찬된 ≪조선말규범집≫의 일부 내용변화에 대한 고찰" 성민족사무위원회 209 : 2017

      23 유목상, "북한의 맞춤법, 북한의 말과 글" 을유문화사 1989

      24 최호철, "북한의 맞춤법" 국어연구소 15 : 1988

      25 최호철, "북한 「조선말규범집」의 2010년 개정과 그 의미" 민족어문학회 (65) : 251-286, 2012

      26 이정복, "바람직한 통신 언어 확립을 위한 기초연구" 문화관광부 2000

      27 이응백, "달라진 한글 맞춤법과 표준어" 국어교육학회 65 : 1989

      28 이은정, "남북한의 맞춤법 비교 검토" 한글학회 205 : 1989

      29 조오현, "남북한 언어의 이해" 도서출판 역락 2002

      30 문금현, "남북한 어휘의 이질화 양상" 한국어문학회 (83) : 65-91, 2004

      31 정훈탁, "남북한 맞춤법 비교와 통일 방안"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소 31 : 2004

      32 김병문, "남북 통합 국어사전에서의 언어학 용어 처리 방안 연구 ᐨ 『겨레말큰사전』의 경우 ᐨ" 한국사전학회 (29) : 7-40, 2017

      33 임현열, "남북 맞춤법의 조항별 대조 ‒ 북한의 규정에 남한의 규정을 대응하는 방식으로 ‒" 2017

      34 권인한, "남북 맞춤법의 비교와 검토" 국립국어연구원 1 : 1992

      35 한용운, "남북 규범어의 통합 방안" 한국사상문화학회 (40) : 301-322, 2007

      36 김하수, "남과 북의 맞춤법" 커뮤니케이션북스 2014

      37 김선철, "국어 순화의 개념과 방향 설정에 대하여" 한국사회언어학회 17 (17): 1-23, 2009

      38 김주필, "‘보통학교용 언문철자법(1912)’의 성격과 특징" 반교어문학회 (37) : 37-70, 2014

      39 조태린, "[연속기획 / 서울 vs 지방 ‒ 표준어와 사투리] 계급언어, 지역언어로서의 표준어" 생각의 나무 26 : 200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3-06-1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Oriental Studies KCI등재
      2013-03-13 학회명변경 한글명 : 동양학연구소 -> 동양학연구원
      영문명 : Dankook University Institute of Oriental Studies -> Academy of Asian Studies, Dankook University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 0.7 0.6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4 0.63 1.457 0.1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