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영유아 부모를 대상으로 놀이체험 부모교육과 놀이지원에 대한 부모의 참여 경험을 연구한 사례연구이다. 연구는 경기도 신도시에 위치한 어린이집 놀이체험 부모교육에 참여한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8344473
2022
Korean
070
학술저널
157-162(6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영유아 부모를 대상으로 놀이체험 부모교육과 놀이지원에 대한 부모의 참여 경험을 연구한 사례연구이다. 연구는 경기도 신도시에 위치한 어린이집 놀이체험 부모교육에 참여한 ...
본 연구는 영유아 부모를 대상으로 놀이체험 부모교육과 놀이지원에 대한 부모의 참여 경험을 연구한 사례연구이다. 연구는 경기도 신도시에 위치한 어린이집 놀이체험 부모교육에 참여한 부모를 대상으로 교육 참여와 놀이지원 과제를 실천하면서 가정 내 놀이 변화와 부모자신의 놀이에 대한 신념과 태도 변화 등을 알아보기 위해 심층면담을 진행한 후 수집된 자료를 분석했다. 연구결과 첫째, 부모들은 영유아들에게 모든 것이 놀이가 될 수 있고, 놀이도구로 활용될 수 있음을 깨닫고 놀이를 쉽고 편안하게 생각하게 되었다. 둘째, 부모들은 놀이체험 부모교육을 받는 동안 놀이를 즐기고 재미있어하는 자신을 발견하게 되면서 놀이 중요성과 자녀들이 왜 놀이를 좋아하는지를 이해하게 되었다. 셋째, 부모들은 놀이체험 부모교육 이후 놀이를 기대하는 마음을 갖게 되었고, 놀이지원과 피드백을 통해 놀이의 관찰자가 아닌 적극적인 참여자가 되었다. 넷째, 놀이체험 부모교육과 놀이지원은 자녀와 친밀감 그리고 가족 구성원의 공감대 형성에 도움이 되었다. 다섯째, 놀이체험 부모교육을 받고 놀이과제를 실천하면서 부모들은 놀이가 양육효능감에 실질적인 도움이 됨을 발견하게 되었다.
목차 (Table of Contents)
The Past, Present and Future of Children’s Media A Wish List for the Future
CONSIDERING MEDIA AS ASSETS IN YOUNG CHILDREN’S LEARNING
Social-Emotional Learning through Technology in Early Childhood
교육용 로봇을 활용한 유아의 공학적 사고와 공학적 설계 과정 탐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