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예비 특수교사의 전공 만족도, 학습 태도, 수업 만족도의 관계 = The Relationship between Major Satisfaction, Learning Attitude, and Course Satisfaction of University Students Majored in Special Educ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63459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특수교육을 전공하고 있는 예비 특수교사들의 전공 만족도, 학습 태도, 수업 만족도의 관계를 밝히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 대상은 충청남도와 광주광역시에 소재한 2개 대학교의 특수교육과에 재학 중인 2-4학년 학생 91명이며, 이들에게 전공 만족도 질문지․학습 태도 질문지․수업 만족도 설문지에 각각 응답하도록 한 후, 각 변인별 특성 및 변인별 관련성을 통계적으로 검증하였다. 예비 특수교사의 전공 만족도, 학습 태도, 수업 만족도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문항별로 평균과 표준편차를 알아보았으며, 전공만족도․학습 태도․강의 만족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으며, 예비 특수교사의 학습 태도가 전공 만족도 및 수업 만족도를 예언할 수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연구 문제에 따라 각각 상stepwise에 의한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 특수교사는 학습 태도 면에서 주의집중, 학업적 자신감, 학습방법 측면에서 강점을 보인다. 둘째, 전공 만족도 측면에서 일반적인 만족도, 전공 교과에 대한 만족도, 전공 인식에 대한 만족도 수준이 높다. 셋째, 수업 만족도는 교수의 강의 활동 수준에 대한 만족도가 특히 높았다. 넷째, 학습 태도 중 주의집중과 자율적 학습 태도는 전공 만족도에 강한 영향력을 가지고 있다. 다섯째, 학습 태도 중 주의집중 요인은 수업 만족도 전반에 걸쳐 매우 강한 영향력을 가지고 있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특수교육을 전공하고 있는 예비 특수교사들의 전공 만족도, 학습 태도, 수업 만족도의 관계를 밝히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 대상은 충청남도와 광주광역시에 소재한 2개 대학교...

      이 연구는 특수교육을 전공하고 있는 예비 특수교사들의 전공 만족도, 학습 태도, 수업 만족도의 관계를 밝히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 대상은 충청남도와 광주광역시에 소재한 2개 대학교의 특수교육과에 재학 중인 2-4학년 학생 91명이며, 이들에게 전공 만족도 질문지․학습 태도 질문지․수업 만족도 설문지에 각각 응답하도록 한 후, 각 변인별 특성 및 변인별 관련성을 통계적으로 검증하였다. 예비 특수교사의 전공 만족도, 학습 태도, 수업 만족도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문항별로 평균과 표준편차를 알아보았으며, 전공만족도․학습 태도․강의 만족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으며, 예비 특수교사의 학습 태도가 전공 만족도 및 수업 만족도를 예언할 수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연구 문제에 따라 각각 상stepwise에 의한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 특수교사는 학습 태도 면에서 주의집중, 학업적 자신감, 학습방법 측면에서 강점을 보인다. 둘째, 전공 만족도 측면에서 일반적인 만족도, 전공 교과에 대한 만족도, 전공 인식에 대한 만족도 수준이 높다. 셋째, 수업 만족도는 교수의 강의 활동 수준에 대한 만족도가 특히 높았다. 넷째, 학습 태도 중 주의집중과 자율적 학습 태도는 전공 만족도에 강한 영향력을 가지고 있다. 다섯째, 학습 태도 중 주의집중 요인은 수업 만족도 전반에 걸쳐 매우 강한 영향력을 가지고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nalyze of characteristics of major satisfaction, personality, learning attitude, and course satisfaction of university students majored in special educa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91 university students in Chungnam and Gwangju who majored in special education. Major Satisfaction Personality Questionnaire, Learning Attitude Questionnaire, and Course Satisfaction Questionnaire were us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multiple regression(stepwise) and Pearson's r using the SPSS/PC Computer Program.
      The major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First, the university student's attention, academic confidence, and learning mechanism level was high. The university student's general major satisfaction, course syllabus, major awareness level was high. The university student's general major satisfaction, course syllabus, major awareness level was high. The university student's professor's lecture satisfaction was high.
      Second, the course satisfaction of university students majored in special education could be predicted by learning attitude factors(especially attention factor and autonomous learning attitude factor).
      Third, the major satisfaction of university students majored in special education could be predicted by learning attitude factors(especially attention factor).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nalyze of characteristics of major satisfaction, personality, learning attitude, and course satisfaction of university students majored in special educa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91 university students in Chu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nalyze of characteristics of major satisfaction, personality, learning attitude, and course satisfaction of university students majored in special educa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91 university students in Chungnam and Gwangju who majored in special education. Major Satisfaction Personality Questionnaire, Learning Attitude Questionnaire, and Course Satisfaction Questionnaire were us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multiple regression(stepwise) and Pearson's r using the SPSS/PC Computer Program.
      The major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First, the university student's attention, academic confidence, and learning mechanism level was high. The university student's general major satisfaction, course syllabus, major awareness level was high. The university student's general major satisfaction, course syllabus, major awareness level was high. The university student's professor's lecture satisfaction was high.
      Second, the course satisfaction of university students majored in special education could be predicted by learning attitude factors(especially attention factor and autonomous learning attitude factor).
      Third, the major satisfaction of university students majored in special education could be predicted by learning attitude factors(especially attention factor).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조영희, "특수체육지도자 양성을 위한 특수체육교육(학)과 학생들의 전공교과과정 만족도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특수체육학회 18 (18): 137-155, 2010

      2 어윤경, "청소년기 진로상담 만족도, 대학 전공만족도 및 진로성숙도간의 관계 분석: 대학 전공선택 요인의 조절효과" 한국상담학회 12 (12): 1793-1811, 2011

      3 이재은, "원격대학 시각장애학생의 교수실재감, 학습만족도 및 학습지속의향간의 관계"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4 정영란, "사이버대학에서 수업만족도 영향 요인이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정도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공학회 25 (25): 61-94, 2009

      5 장윤정, "무용과 대학생의 학습동기, 학습태도, 진로자기효능감 및 진로준비행동의 인과모형 검증"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6 이민규, "대학신입생의 입학성적과 학업수행에 대한 일 연구" 8 : 39-55, 1994

      7 송윤정, "대학생의 전공선택동기, 전공만족도, 교수-학생 상호작용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4

      8 남중수, "대학생의 전공만족도와 개인 심리 특성 변인, 대학 생활 특성 변인의 관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0

      9 김충회, "대학생들의 학습태도 분석 연구 : 학습양식을 중심으로" 11 (11): 1-24, 2001

      10 권오봉, "대학교육의 서비스 품질, 학생 만족, 학생충성도 간의 인과관계에 관한 사례연구 : S대학을 중심으로" 세명대학교 대학원 2011

      1 조영희, "특수체육지도자 양성을 위한 특수체육교육(학)과 학생들의 전공교과과정 만족도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특수체육학회 18 (18): 137-155, 2010

      2 어윤경, "청소년기 진로상담 만족도, 대학 전공만족도 및 진로성숙도간의 관계 분석: 대학 전공선택 요인의 조절효과" 한국상담학회 12 (12): 1793-1811, 2011

      3 이재은, "원격대학 시각장애학생의 교수실재감, 학습만족도 및 학습지속의향간의 관계"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4 정영란, "사이버대학에서 수업만족도 영향 요인이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정도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공학회 25 (25): 61-94, 2009

      5 장윤정, "무용과 대학생의 학습동기, 학습태도, 진로자기효능감 및 진로준비행동의 인과모형 검증"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6 이민규, "대학신입생의 입학성적과 학업수행에 대한 일 연구" 8 : 39-55, 1994

      7 송윤정, "대학생의 전공선택동기, 전공만족도, 교수-학생 상호작용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4

      8 남중수, "대학생의 전공만족도와 개인 심리 특성 변인, 대학 생활 특성 변인의 관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0

      9 김충회, "대학생들의 학습태도 분석 연구 : 학습양식을 중심으로" 11 (11): 1-24, 2001

      10 권오봉, "대학교육의 서비스 품질, 학생 만족, 학생충성도 간의 인과관계에 관한 사례연구 : S대학을 중심으로" 세명대학교 대학원 2011

      11 김 철, "기독교 묵상이 대학생들의 주의력집중과 학습태도에 미치는 효과"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3

      12 서광열, "교육환경이 교육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사례연구 : A학교를 중심으로" 대전대학교 산업정보대학원 2005

      13 서민화, "고등학생의 전공 학업성취도 및 전공만족도 상하집단 판별요인 탐색" 충남대학교 대학원 2011

      14 이선영, "강의만족도가 교수와 학교에 대한 신뢰 형성에 미치는 영향 : K대학을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15 Soria, K. M., "Major Decisions: Motivations for Selecting a Major, Satisfaction, and Belonging" 33 (33): 29-43, 2013

      16 Hofman, J. E., "Attitudes toward higher education and course evaluation" 72 : 610-617, 1980

      17 신주용, "AHP를 이용한 경영학 강의만족도 향상에 미치는 요인 연구" 경북대학교 대학원 2009

      18 김종희, "5분 명상이 초등학생의 학습태도에 미치는 효과" 창원대학교 대학원 200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9-04-24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Association For Education & Rehabilitation Of Visually Impaired -> Korea Association for Education & Rehabilitation of the Visually Impaired KCI등재후보
      201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5-11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시각장애연구회 ->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8 0.48 0.5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 0.6 0.648 0.0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