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대학생들의 물리 학습에 대한 자기효능감 조사 = University Students' Self-efficacy about Physics Learni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31980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elf-efficacy in the context of learning has been steadily emphasized as an indicator of students' learning motivation and performance. However, little is known about university students'self-efficacy in the context of physics learning. This study described the process of developing and validating a measurement tool to assess students' beliefs in their abilities to perform essential tasks in physics and then investigated university students' self-efficacy about physics learning. Based on a literature review, a prelimiliary self-efficacy scale with 21Likert-style items was suggested, and 330 university students'responses were analyzed to validate the survey tool. Based on the result of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e developed a modified survey with 17 items and 2 dimensions, `learning' and `practice' and we validated the modified model by using a covariance structural analysis. The descriptive result of the investigation showed that university students have low or unfavorable self-efficacy in learning physics as the average value of the self-efficacy was 3.93point on a 9-scale Likert-style questionnaire and that students had lower self-efficacies in the `practice' dimension than in the `learning' dimension. Also, female students and non-physics major students showed relatively lower self-efficacy compared to male and physics major students.
      번역하기

      Self-efficacy in the context of learning has been steadily emphasized as an indicator of students' learning motivation and performance. However, little is known about university students'self-efficacy in the context of physics learning. This study des...

      Self-efficacy in the context of learning has been steadily emphasized as an indicator of students' learning motivation and performance. However, little is known about university students'self-efficacy in the context of physics learning. This study described the process of developing and validating a measurement tool to assess students' beliefs in their abilities to perform essential tasks in physics and then investigated university students' self-efficacy about physics learning. Based on a literature review, a prelimiliary self-efficacy scale with 21Likert-style items was suggested, and 330 university students'responses were analyzed to validate the survey tool. Based on the result of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e developed a modified survey with 17 items and 2 dimensions, `learning' and `practice' and we validated the modified model by using a covariance structural analysis. The descriptive result of the investigation showed that university students have low or unfavorable self-efficacy in learning physics as the average value of the self-efficacy was 3.93point on a 9-scale Likert-style questionnaire and that students had lower self-efficacies in the `practice' dimension than in the `learning' dimension. Also, female students and non-physics major students showed relatively lower self-efficacy compared to male and physics major student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학습 상황에서의 자기효능감은 학습 동기와 성취의 강력한 예언자로서꾸준히 강조되어왔다. 그러나 대학생의 물리 학습에 대한 자기효능감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 연구에서는 물리학을 학습할 때 필수적인과제 수행하는 능력에 대한 대학생들의 자기효능감 신념을 평가할 수있는 척도를 개발하고 그 타당성을 확인하는 과정을 기술하였으며, 이를통해 대학생들의 물리 학습에 대한 자기효능감을 조사하였다. 문헌연구를통해 물리 자기효능감 척도를 총 21개 문항의 9단계 리커트형 문항으로구성하여 총 330명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적용하여 응답 결과를분석하였다. 수집한 자료로부터 탐색적 요인 분석 결과 17개 문항이 학습차원과 실천 차원 등 총 2개의 하위 차원으로 나뉘어짐을 알 수있었으며, 공변량 구조분석을 통하여 새로운 물리 자기효능감 척도의신뢰도와 타당성을 확인하였다. 응답 결과에서 드러난 물리 자기효능감분포를 조사한 결과, 전체 평균이 9점 만점에 3.95점으로 물리학을학습하는 대학생들의 자기효능감은 대체로 부정적이었으며, 학습 차원에비해 실천 차원에서 더 낮은 자기효능감을 보였다. 또한 응답자 변인별로 비교한 결과, 남학생에 비해 여학생이, 전공자에 비해 비전공자들이상대적으로 더 낮은 자기효능감을 나타냈다.
      번역하기

      학습 상황에서의 자기효능감은 학습 동기와 성취의 강력한 예언자로서꾸준히 강조되어왔다. 그러나 대학생의 물리 학습에 대한 자기효능감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 연구에서는 물리학...

      학습 상황에서의 자기효능감은 학습 동기와 성취의 강력한 예언자로서꾸준히 강조되어왔다. 그러나 대학생의 물리 학습에 대한 자기효능감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 연구에서는 물리학을 학습할 때 필수적인과제 수행하는 능력에 대한 대학생들의 자기효능감 신념을 평가할 수있는 척도를 개발하고 그 타당성을 확인하는 과정을 기술하였으며, 이를통해 대학생들의 물리 학습에 대한 자기효능감을 조사하였다. 문헌연구를통해 물리 자기효능감 척도를 총 21개 문항의 9단계 리커트형 문항으로구성하여 총 330명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적용하여 응답 결과를분석하였다. 수집한 자료로부터 탐색적 요인 분석 결과 17개 문항이 학습차원과 실천 차원 등 총 2개의 하위 차원으로 나뉘어짐을 알 수있었으며, 공변량 구조분석을 통하여 새로운 물리 자기효능감 척도의신뢰도와 타당성을 확인하였다. 응답 결과에서 드러난 물리 자기효능감분포를 조사한 결과, 전체 평균이 9점 만점에 3.95점으로 물리학을학습하는 대학생들의 자기효능감은 대체로 부정적이었으며, 학습 차원에비해 실천 차원에서 더 낮은 자기효능감을 보였다. 또한 응답자 변인별로 비교한 결과, 남학생에 비해 여학생이, 전공자에 비해 비전공자들이상대적으로 더 낮은 자기효능감을 나타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E. F. Redish, 66 : 212-, 1998

      2 J. Baldwin, 83 : 397-, 1999

      3 D. Hammer, 68 : S52-, 2000

      4 L. Lising, 73 : 372-, 2005

      5 E. Brewe, 5 : 013102-, 2009

      6 P. M. Bentler, 88 : 588-, 1980

      7 A. Bandura, 84 : 191-, 1977

      8 S. I. Kim, 35 : 603-, 2004

      9 A. Y. Kim, 39 : 95-, 2001

      10 F. Pajares, 66 : 543-, 1996

      1 E. F. Redish, 66 : 212-, 1998

      2 J. Baldwin, 83 : 397-, 1999

      3 D. Hammer, 68 : S52-, 2000

      4 L. Lising, 73 : 372-, 2005

      5 E. Brewe, 5 : 013102-, 2009

      6 P. M. Bentler, 88 : 588-, 1980

      7 A. Bandura, 84 : 191-, 1977

      8 S. I. Kim, 35 : 603-, 2004

      9 A. Y. Kim, 39 : 95-, 2001

      10 F. Pajares, 66 : 543-, 1996

      11 S. L. Britner, 7 : 271-, 2001

      12 P. R. Pintrich, 82 : 33-, 1990

      13 I. M. Riggs, 74 : 625-, 1990

      14 Presidential Advisory Council for Science & Technology, 2002

      15 E. Uzuntiryaki, 39 : 539-, 2009

      16 S. Im, 57 : 381-, 1998

      17 J. Dalgety, 40 : 649-, 2003

      18 A. Elby, 67 : S52-, 1999

      19 강영심, "특수교사의 교사효능감 수준 및 영향 요인 분석" 한국특수교육학회 40 (40): 305-320, 2005

      20 전우수, "초등학생의 과학선호도"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2 (22): 81-96, 2003

      21 임성민, "장애학생 과학학습지도에 대한 예비과학교사들의 자기효능감" 과학교육연구소 35 (35): 13-22, 2011

      22 김홍정, "비형식 과학교육환경에서 초등학생들의 과학 학습에 대한 흥미 분석"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31 (31): 125-134, 2012

      23 김성일, "개념도 유형과 과학교과 자기효능감이 흥미와 이해도에 미치는 효과: 4학년과 5학년의 비교" 한국교육심리학회 18 (18): 17-31, 2004

      24 B. Tabachnick, "Using Multivariate Statistics" Allyn & Bacon 2007

      25 Sungmin Im, "Secondary and university students' expectations on learning physics" 한국물리학회 44 (44): 217-4, 2004

      26 R. B. Kline,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Guildford 1998

      27 S. Sjoberg, "Development and Dilemmas in Science Education" Falmer 198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6-09-05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Sae Mulli(New Physics) -> New Physics: Sae Mulli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18 0.18 0.1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15 0.14 0.3 0.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