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낭만주의 해석학의 음악이해 : 슐라이어마허(F. D. E. Schleiermacher)와 딜타이(W. Dilthey)의 해석학적 철학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50980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f ‘romanticism’ is defined as “a yearning for perfectness that can’t be satisfied”, the 19th century best representing this characteristic can be called the century of romanticism. In the history of philosophy, the hermeneutics of romanticism appeared as a part of efforts to overcome the self-limitation of pure reason which was led to the collapse of rationalism, and it developed from special hermeneutics for the branch study into general hermeneutics, namely philosophical hermeneutics. Kant separated the phenomenon from the thing-in-itself(Ding an sich). In other words, the conclusion that the order created and found by reason appeared to us and was only valid in our world of the phenomenon didn’t satisfy the demand for the perfect understanding of the world, namely ‘a yearning for perfectness’. This became one of the secret origins of the leap in romanticism and following hermeneutics. It was because hermeneutics was based on the severance of access to the unproblematic world of pure reason. Then, the romantic movement of ‘back to subjectivity’ developed. Thus, the priority and the basic spirit of romanticism hermeneutics is ‘individuality’ and ‘ingenuity’. In other words, romanticism hermeneutics is called a chain of works focusing that readers approach individuality and ingenuity shown in literature with their own understanding ability and completely restore the meaning of literature in the context of restructuring ‘an author’s intention’. It proposes ‘understanding’ as an ideal demand including an endless task under the imperative of always ‘better understanding’(Imperativ des Besserverstehens).
      Schleiermacher is credited with pioneering the path to the universal hermeneutics, in which hermeneutics can be established as an independent philosophical discourse in the modern philosophy. However, his 'substantial status' is relatively insignificant compared to the hermeneutics of Heidegger-Gadamer or Ricoeur. This is not because his hermeneutics does not lie on the continuous historical relationship of influence, but simply because it is classified as Romantic Hermeneutics or Methodological Hermeneutics as it is considered as one with Dilthey's hermeneutical idea. Of course, “Non-Dilthey acceptance of Schleiermacher's hermeneutics” tries to introduce his true character, but it faces a limitation to overcome such an inferior situation. What is important in accepting Schleiermacher's hermeneutics is not just the objective reconstruction of his ideology, but includes the work of shifting his ideology into the center of controversy. Considering his hermeneutical ideas with his dialectical reasons, the possibility of re-interpretation is fully available. He “argued that not basing the issue of reasons and knowledge on logic alone cannot fully reveal the knowledge or system in the perspective of pure theoretical philosophy and that the knowledge must always be revealed in relation to practice.” This argument illustrates the inextricable relationship between theory and practice. Therefore, it is convinced that not only the ‘theoretical adequacy’ but also the ‘practical acceptability’ can expand the horizon of Schleiermacher’s hermeneutics. On the other hand, the goal of Dilthey’s philosophy is ‘to understand life as life itself(das Leben als das Leben selbst verstehen)’. This can be distinguished by the object regulation of ‘life’ and the method consciousness of 'from life itself'. First, 'life' refers to the way in which individuals live their lives in a given environment and the outcomes. This is what Dilthey calls ‘unites of mental and physical life’. The entities of life are also thoughts, feelings, and motivations (ein vorstellend-fühlend-wollendes Wesen). Thus, Dilthey elucidates how human thoughts, emotions, and wills work in physical, mental, social, and historical realities (environments) through the conceptual concept of life-related connections such as purpose, action, acquisition, and structure.
      This paper studies how the understanding of music is made in the thought of Schleiermacher and Dilthey who represent romanticism hermeneutics and on the basis of this tries to find the possibility of musical hermeneutics in romanticism hermeneutics. Especially, focusing on the works of two philosophers, this paper tries to research how hermeneutical thought is applied to and expanded into the fields of music. This also tries to understand the correlation between hermeneutical thought and contemporary musicology. The study was carried out in the context of ‘application’(Anwendung) and ‘expansion’(Erweiterung). This is also a way to materialize the philosophical idea of Gadamer who stressed ‘conversation’ as the spirit of hermeneutics.
      번역하기

      If ‘romanticism’ is defined as “a yearning for perfectness that can’t be satisfied”, the 19th century best representing this characteristic can be called the century of romanticism. In the history of philosophy, the hermeneutics of romantici...

      If ‘romanticism’ is defined as “a yearning for perfectness that can’t be satisfied”, the 19th century best representing this characteristic can be called the century of romanticism. In the history of philosophy, the hermeneutics of romanticism appeared as a part of efforts to overcome the self-limitation of pure reason which was led to the collapse of rationalism, and it developed from special hermeneutics for the branch study into general hermeneutics, namely philosophical hermeneutics. Kant separated the phenomenon from the thing-in-itself(Ding an sich). In other words, the conclusion that the order created and found by reason appeared to us and was only valid in our world of the phenomenon didn’t satisfy the demand for the perfect understanding of the world, namely ‘a yearning for perfectness’. This became one of the secret origins of the leap in romanticism and following hermeneutics. It was because hermeneutics was based on the severance of access to the unproblematic world of pure reason. Then, the romantic movement of ‘back to subjectivity’ developed. Thus, the priority and the basic spirit of romanticism hermeneutics is ‘individuality’ and ‘ingenuity’. In other words, romanticism hermeneutics is called a chain of works focusing that readers approach individuality and ingenuity shown in literature with their own understanding ability and completely restore the meaning of literature in the context of restructuring ‘an author’s intention’. It proposes ‘understanding’ as an ideal demand including an endless task under the imperative of always ‘better understanding’(Imperativ des Besserverstehens).
      Schleiermacher is credited with pioneering the path to the universal hermeneutics, in which hermeneutics can be established as an independent philosophical discourse in the modern philosophy. However, his 'substantial status' is relatively insignificant compared to the hermeneutics of Heidegger-Gadamer or Ricoeur. This is not because his hermeneutics does not lie on the continuous historical relationship of influence, but simply because it is classified as Romantic Hermeneutics or Methodological Hermeneutics as it is considered as one with Dilthey's hermeneutical idea. Of course, “Non-Dilthey acceptance of Schleiermacher's hermeneutics” tries to introduce his true character, but it faces a limitation to overcome such an inferior situation. What is important in accepting Schleiermacher's hermeneutics is not just the objective reconstruction of his ideology, but includes the work of shifting his ideology into the center of controversy. Considering his hermeneutical ideas with his dialectical reasons, the possibility of re-interpretation is fully available. He “argued that not basing the issue of reasons and knowledge on logic alone cannot fully reveal the knowledge or system in the perspective of pure theoretical philosophy and that the knowledge must always be revealed in relation to practice.” This argument illustrates the inextricable relationship between theory and practice. Therefore, it is convinced that not only the ‘theoretical adequacy’ but also the ‘practical acceptability’ can expand the horizon of Schleiermacher’s hermeneutics. On the other hand, the goal of Dilthey’s philosophy is ‘to understand life as life itself(das Leben als das Leben selbst verstehen)’. This can be distinguished by the object regulation of ‘life’ and the method consciousness of 'from life itself'. First, 'life' refers to the way in which individuals live their lives in a given environment and the outcomes. This is what Dilthey calls ‘unites of mental and physical life’. The entities of life are also thoughts, feelings, and motivations (ein vorstellend-fühlend-wollendes Wesen). Thus, Dilthey elucidates how human thoughts, emotions, and wills work in physical, mental, social, and historical realities (environments) through the conceptual concept of life-related connections such as purpose, action, acquisition, and structure.
      This paper studies how the understanding of music is made in the thought of Schleiermacher and Dilthey who represent romanticism hermeneutics and on the basis of this tries to find the possibility of musical hermeneutics in romanticism hermeneutics. Especially, focusing on the works of two philosophers, this paper tries to research how hermeneutical thought is applied to and expanded into the fields of music. This also tries to understand the correlation between hermeneutical thought and contemporary musicology. The study was carried out in the context of ‘application’(Anwendung) and ‘expansion’(Erweiterung). This is also a way to materialize the philosophical idea of Gadamer who stressed ‘conversation’ as the spirit of hermeneutic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낭만주의’를 “완전함을 향한 충족될 수 없는 동경”으로 정의한다면 이런 특성이 가장 잘 드러나는 19세기는 낭만주의의 세기라 부를 수 있다. 낭만주의 해석학은 철학사적으로 합리주의의 해체, 즉 순수이성의 자기제한을 극복하려는 노력의 일환으로 등장하게 되었다. 이는 구체적으로 분과학문을 위한 특수해석학에서 보편적 해석학 또는 철학적 해석학의 전개라는 방향으로 나아가게 된다. 칸트의 현상과 물자체의 구분, 즉 정신이 만들고 발견한 질서는 감각적 경험을 통해 우리에게 나타나는 현상세계에게만 타당성을 가진다는 귀결은 온전한 세계이해를 위한 요구, 즉 ‘완전함을 향한 열망’을 충족시킬 수 없었다. 이것이 낭만주의와 그 이후 해석학에서 일어나는 도약의 비밀스러운 근원 중의 하나가 되었다. 이는 해석학이 합리적인 세계접근에 대한 단절을 전제로 자신의 입지를 구축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단절을 극복하기 위해 ‘주관성으로의 회귀’라는 낭만주의의 운동이 전개된다. 따라서 낭만주의 해석학의 중심적 사유 대상이자 기본 정신은 ‘개성’과 ‘천재성’ 개념이다. 곧 독자가 자신의 이해 능력을 발휘하여 문헌에 표출된 저자의 개성과 천재성에 다가가고, ‘저자의 의도’의 재구성이라는 맥락에서 문헌의 의미를 완전히 복원시키는 일을 중시하는 일련의 작업을 낭만주의 해석학이라 부른다. 여기서는 항상 ‘더 잘 이해함의 명법’아래에서 ‘이해’를 끝없는 과제를 포함한 이상적인 요구로서 제시한다. 이런 배경에서 이 연구는 낭만주의 해석학을 대표하는 슐라이어마허와 딜타이의 사상과 저작에서 음악 이해가 어떻게 형성되는지를 규명하고, 특히 해석학적 사유가 어떻게 음악과 예술 영역으로 적용 및 확장되는지를 탐구하고자 한다. 두 사상가 모두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체계적인 의미’에서 음악연구를 수행한 것은 아니다. 그러나 ‘해석학적 철학’을 전개한 두 사상가의 사유세계에서 음악이 차지하는 비중은 매우 크다. 두 사상가의 여러 저작들에 산발적으로 논의된 음악적 논의들을 ‘음악해석학’이라는 주제로 재구성하는 것은, 이 사상가들의 철학적 면모를 새롭게 조명하고, ‘해석학의 적용과 확장’이라는 의미에서 유의미한 지평을 제시하며, 음악연구 자체에 새로운 동인을 제공할 것이다.
      이 연구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우선 낭만주의 해석학에 대한 기본사상과 슐라이어마허의 해석학, 그리고 딜타이의 해석학에 대해 개괄한다. 이를 바탕으로 ‘실천적 연관’을 중심으로 전개되는 슐라이어마허 해석학과 ‘삶의 연관’을 중심으로 전개되는 딜타이의 해석학이 어떻게 음악영역에 적용 가능한지와 그러한 확장과 지평확대가 어떻게 이루어지는지를 탐구한다. 이어서 슐라이어마허 해석학에서의 음악이해와 딜타이 해석학에서의 음악이해에 대해 논의한다. 여기에서는 첫째, 두 철학자의 개별 저서들에 나타난 음악과 연관된 표현들을 통해 음악의 위상을 세밀히 알아본다. 둘째, 그들의 사상에서 전개되는 미학적 논의를 탐구한다. 셋째, 그들의 음악미학과 음악해석학의 연관성을 탐구한다. 특히 슐라이어마허의 해석학에서 음악이해는 종교와 음악과의 관계를 규명하지 않고서는 제대로 파악될 수 없다. 따라서 음악과 종교를 탐구함과 동시에 공동체의 구성과 운영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그의 ‘사교개념’이 음악이해와 어떻게 연관이 되는지를 밝혔다. 그는 ‘느낌의 교제’로서 음악을 강조하고 있는데 이것은 지금까지 독일 연구가들조차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한 것처럼 보인다. 이러한 새로운 접근을 통해 갈등과 반목의 사회에서 음악의 긍정적 역할에 대해 논의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마찬가지로 딜타이의 해석학에서도 인간의 근원적인 체험과 표현으로 이루어지는 종교영역은 매우 중요하다. 기본적으로 그의 해석학에서는 ‘체험표현 모델로서의 음악이해’가 필수적이다. 그는 종종 종교적 세계와 음악적 차원에 대한 비밀스러운 연결고리를 찾으려는 의도를 비친다. 이 연구에서는 그가 말하는 삶과 음악의 ‘동형성’을 파악함과 동시에 음악과 시(문학)의 해석학적 차이를 탐구한다. 또한 그의 ‘바흐연구’가 음악해석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하는 것과 더불어 종교적 체험과 음악과의 관계를 중점적으로 탐구한다. ‘인간의 내면’과 ‘표현’을 중심으로 전개되는 그의 바흐연구는 음악을 통해 죽음과 종교와 마주할 수 있도록 우리를 인도한다.
      이 연구의 마지막부분에서는 낭만주의 해석학의 음악이해에 대한 현재성과 필요성을 부각시키고 있다. 영미권의 음악학 연구와 유럽권의 음악학 연구는 상이하다. 즉 영미권에서는 ‘음악분석’에 치중하는 반면, 유럽권에서는 ‘음악분석’과 함께 ‘음악해석’의 중요성도 강조한다. 이런 배경에서 이 연구에서는 ‘음악해석’의 중요성을 지지하는 크레이머 등 몇몇 학자의 관점을 통해 현대 음악학에서의 음악해석학의 전망을 타진해보았다.
      이 연구를 통해서 연구자는 슐라이어마허와 딜타이로 대표되는 낭만주의 해석학이 음악학 연구, 특히 음악해석학의 전개에 매우 유용한 적용 방향을 보여줄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예컨대 낭만주의 해석학이 일방적으로 고정된 이론적 틀을 고집하는 것이 아니라, ‘실천’과 ‘삶’에 초점을 맞추면서 구체적인 현실에 타당한 방법을 고안하고, 지속적이고 합리적인 이해의 폭을 증진시키려는 노력을 대변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작곡가의 삶의 체험에 대한 표현으로서의 음악을 이해하려는 음악해석학은 낭만주의 해석학의 ‘이해의 법칙과 원리들’ 안에서 새롭게 구성될 수 있으며, 음악작품 안의 ‘고차원적 이해’를 필요로 하는 객관화될 수 있는 공통의 표현양식은 새로운 ‘이해’를 향한 낭만주의 해석학을 요구하기 때문이다.
      번역하기

      ‘낭만주의’를 “완전함을 향한 충족될 수 없는 동경”으로 정의한다면 이런 특성이 가장 잘 드러나는 19세기는 낭만주의의 세기라 부를 수 있다. 낭만주의 해석학은 철학사적으로 합리주...

      ‘낭만주의’를 “완전함을 향한 충족될 수 없는 동경”으로 정의한다면 이런 특성이 가장 잘 드러나는 19세기는 낭만주의의 세기라 부를 수 있다. 낭만주의 해석학은 철학사적으로 합리주의의 해체, 즉 순수이성의 자기제한을 극복하려는 노력의 일환으로 등장하게 되었다. 이는 구체적으로 분과학문을 위한 특수해석학에서 보편적 해석학 또는 철학적 해석학의 전개라는 방향으로 나아가게 된다. 칸트의 현상과 물자체의 구분, 즉 정신이 만들고 발견한 질서는 감각적 경험을 통해 우리에게 나타나는 현상세계에게만 타당성을 가진다는 귀결은 온전한 세계이해를 위한 요구, 즉 ‘완전함을 향한 열망’을 충족시킬 수 없었다. 이것이 낭만주의와 그 이후 해석학에서 일어나는 도약의 비밀스러운 근원 중의 하나가 되었다. 이는 해석학이 합리적인 세계접근에 대한 단절을 전제로 자신의 입지를 구축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단절을 극복하기 위해 ‘주관성으로의 회귀’라는 낭만주의의 운동이 전개된다. 따라서 낭만주의 해석학의 중심적 사유 대상이자 기본 정신은 ‘개성’과 ‘천재성’ 개념이다. 곧 독자가 자신의 이해 능력을 발휘하여 문헌에 표출된 저자의 개성과 천재성에 다가가고, ‘저자의 의도’의 재구성이라는 맥락에서 문헌의 의미를 완전히 복원시키는 일을 중시하는 일련의 작업을 낭만주의 해석학이라 부른다. 여기서는 항상 ‘더 잘 이해함의 명법’아래에서 ‘이해’를 끝없는 과제를 포함한 이상적인 요구로서 제시한다. 이런 배경에서 이 연구는 낭만주의 해석학을 대표하는 슐라이어마허와 딜타이의 사상과 저작에서 음악 이해가 어떻게 형성되는지를 규명하고, 특히 해석학적 사유가 어떻게 음악과 예술 영역으로 적용 및 확장되는지를 탐구하고자 한다. 두 사상가 모두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체계적인 의미’에서 음악연구를 수행한 것은 아니다. 그러나 ‘해석학적 철학’을 전개한 두 사상가의 사유세계에서 음악이 차지하는 비중은 매우 크다. 두 사상가의 여러 저작들에 산발적으로 논의된 음악적 논의들을 ‘음악해석학’이라는 주제로 재구성하는 것은, 이 사상가들의 철학적 면모를 새롭게 조명하고, ‘해석학의 적용과 확장’이라는 의미에서 유의미한 지평을 제시하며, 음악연구 자체에 새로운 동인을 제공할 것이다.
      이 연구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우선 낭만주의 해석학에 대한 기본사상과 슐라이어마허의 해석학, 그리고 딜타이의 해석학에 대해 개괄한다. 이를 바탕으로 ‘실천적 연관’을 중심으로 전개되는 슐라이어마허 해석학과 ‘삶의 연관’을 중심으로 전개되는 딜타이의 해석학이 어떻게 음악영역에 적용 가능한지와 그러한 확장과 지평확대가 어떻게 이루어지는지를 탐구한다. 이어서 슐라이어마허 해석학에서의 음악이해와 딜타이 해석학에서의 음악이해에 대해 논의한다. 여기에서는 첫째, 두 철학자의 개별 저서들에 나타난 음악과 연관된 표현들을 통해 음악의 위상을 세밀히 알아본다. 둘째, 그들의 사상에서 전개되는 미학적 논의를 탐구한다. 셋째, 그들의 음악미학과 음악해석학의 연관성을 탐구한다. 특히 슐라이어마허의 해석학에서 음악이해는 종교와 음악과의 관계를 규명하지 않고서는 제대로 파악될 수 없다. 따라서 음악과 종교를 탐구함과 동시에 공동체의 구성과 운영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그의 ‘사교개념’이 음악이해와 어떻게 연관이 되는지를 밝혔다. 그는 ‘느낌의 교제’로서 음악을 강조하고 있는데 이것은 지금까지 독일 연구가들조차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한 것처럼 보인다. 이러한 새로운 접근을 통해 갈등과 반목의 사회에서 음악의 긍정적 역할에 대해 논의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마찬가지로 딜타이의 해석학에서도 인간의 근원적인 체험과 표현으로 이루어지는 종교영역은 매우 중요하다. 기본적으로 그의 해석학에서는 ‘체험표현 모델로서의 음악이해’가 필수적이다. 그는 종종 종교적 세계와 음악적 차원에 대한 비밀스러운 연결고리를 찾으려는 의도를 비친다. 이 연구에서는 그가 말하는 삶과 음악의 ‘동형성’을 파악함과 동시에 음악과 시(문학)의 해석학적 차이를 탐구한다. 또한 그의 ‘바흐연구’가 음악해석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하는 것과 더불어 종교적 체험과 음악과의 관계를 중점적으로 탐구한다. ‘인간의 내면’과 ‘표현’을 중심으로 전개되는 그의 바흐연구는 음악을 통해 죽음과 종교와 마주할 수 있도록 우리를 인도한다.
      이 연구의 마지막부분에서는 낭만주의 해석학의 음악이해에 대한 현재성과 필요성을 부각시키고 있다. 영미권의 음악학 연구와 유럽권의 음악학 연구는 상이하다. 즉 영미권에서는 ‘음악분석’에 치중하는 반면, 유럽권에서는 ‘음악분석’과 함께 ‘음악해석’의 중요성도 강조한다. 이런 배경에서 이 연구에서는 ‘음악해석’의 중요성을 지지하는 크레이머 등 몇몇 학자의 관점을 통해 현대 음악학에서의 음악해석학의 전망을 타진해보았다.
      이 연구를 통해서 연구자는 슐라이어마허와 딜타이로 대표되는 낭만주의 해석학이 음악학 연구, 특히 음악해석학의 전개에 매우 유용한 적용 방향을 보여줄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예컨대 낭만주의 해석학이 일방적으로 고정된 이론적 틀을 고집하는 것이 아니라, ‘실천’과 ‘삶’에 초점을 맞추면서 구체적인 현실에 타당한 방법을 고안하고, 지속적이고 합리적인 이해의 폭을 증진시키려는 노력을 대변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작곡가의 삶의 체험에 대한 표현으로서의 음악을 이해하려는 음악해석학은 낭만주의 해석학의 ‘이해의 법칙과 원리들’ 안에서 새롭게 구성될 수 있으며, 음악작품 안의 ‘고차원적 이해’를 필요로 하는 객관화될 수 있는 공통의 표현양식은 새로운 ‘이해’를 향한 낭만주의 해석학을 요구하기 때문이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연구의 목적과 구성 1
      • 1. 연구목적 1
      • 2. 연구방법 및 절차 7
      • 3. 선행연구 9
      • Ⅱ. 낭만주의 해석학과 해석학적 사유의 지평과 확장 10
      • Ⅰ. 연구의 목적과 구성 1
      • 1. 연구목적 1
      • 2. 연구방법 및 절차 7
      • 3. 선행연구 9
      • Ⅱ. 낭만주의 해석학과 해석학적 사유의 지평과 확장 10
      • 1. 낭만주의 해석학의 기본 사상 11
      • 1.1. 슐라이어마허 해석학 13
      • 1.2. 딜타이 해석학 18
      • 2. 해석학의 적용과 확장의 두 방향: 슐라이어마허의 실천적 연관과 딜타이의 삶의 연관 26
      • 2.1. 해석학과 적용의 기술(subtilitas applicandi) 26
      • 2.2. 확장 내지 지평혼융의 이념 29
      • Ⅲ. 슐라이어마허의 해석학적 철학에서 음악이해 33
      • 1. 슐라이어마허 철학의 기본구조 33
      • 2. 슐라이어마허 사상(저작)에서의 음악의 위상: 감정과 음악 39
      • 2.1. 종교론: 종교적 감정 표명으로서의 음악 40
      • 2.2. 성탄축제: 음악의 기능과 역할 42
      • 2.3. 기독교신앙: 감정의 표현에서 재현되는 신의 속성 46
      • 2.4. 해석학과 비평: 문학과 음악의 구조적 유사성 47
      • 3. 슐라이어마허 미학과 음악미학 49
      • 3.1. 미학의 구조 49
      • 3.2. 음악미학의 구조 54
      • 3.2.1. 종교와 음악 54
      • 3.2.2. 원형으로서의 음악작품 57
      • 3.2.3. 유기적 완전성과 문화 59
      • 3.2.4. 신(神)음악적(Theomusical) 주관성 61
      • 4. 슐라이어마허 해석학에서 음악해석학의 가능성과 전망 68
      • 4.1. 음악해석학의 가능성과 예술이해 68
      • 4.2. 해석학적 유형들의 음악적 적용 73
      • 4.3. 음악작품의 생산적 사고와 개념 76
      • 5. 슐라이어마허 사교개념과 음악 78
      • 5.1. 사교와 종교 78
      • 5.2. 사교와 음악 81
      • Ⅳ. 딜타이의 해석학적 철학에서 음악이해 84
      • 1. 딜타이 철학의 기본구조 84
      • 2. 딜타이 사상(저작)에서의 음악의 위상: 체험과 음악 88
      • 2.1. 정신과학 입문: 시 작품의 문법과 음악이론의 유사성 88
      • 2.2. 딜타이시학: 풍부한 체험의 형식을 표현하는 음악 89
      • 2.3. 해석학 탄생: 음악과 해석학 102
      • 2.4. 정신과학과 개별화: 삶과 예술 103
      • 2.5. 체험과 문학: 음악적 활력이 존재하는 문학 104
      • 2.6. 철학의 본질: 삶의 파악으로서의 음악 108
      • 2.7. 정신과학에서의 역사적 세계의 건립: 체험표현의 음악 109
      • 2.8. 중간 고찰 115
      • 3. 체험표현(Erlebnisausdruck) 모델로서의 음악의 이해 116
      • 3.1. 딜타이의 시학 구상: 시학에서의 내면-외부-도식(Das Innen-Außen-Schema) 116
      • 3.2. 음악과 시(문학) 118
      • 3.3. 시(문학)와 음악의 해석학적 차이 126
      • 4. 딜타이 해석학에서의 음악해석학의 가능성과 전망 127
      • 4.1. 음악적 의미론(Bedeutungslehre) 127
      • 4.2. 삶과 음악의 동형성 132
      • 5. 실천적 예비론(Propdeutik)으로서의 종교음악 연구 134
      • 5.1. 종교와 음악 134
      • 5.2. 바흐 작품에서의 인간의 내면과 표현 140
      • 6. 딜타이의 음악작품 연구에 대한 분석 142
      • 6.1. 바흐의 기악음악 142
      • 6.2. 모차르트의 오페라 <피가로의 결혼> 149
      • 6.3. 베토벤의 <피델리오>와 <9번 교향곡> 159
      • 7. 죽음과 종교 163
      • 8. 딜타이 음악해석의 한계 164
      • 9. 낭만주의 해석학의 음악이해의 성과 165
      • Ⅴ. 현대 음악학에서의 음악해석학의 전망 171
      • 참고문헌 181
      • 국문초록 200
      • Abstract 203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오희숙, 홍정수, "음악미학", 음악세계, 1999

      2 한상연, "?공감의 존재론?", 세창출판사, 2018

      3 최신한, "?지평확대의 철학?", 한길사, 2009

      4 오희숙, "『음악 속의 철학』", 심설당, 2009

      5 오희숙, "『철학 속의 음악』", 심설당, 2009

      6 김창래, "「딜타이는 누구인가」", 『철학탐구』 24, 중앙철학연구소, , 245-286, 2008

      7 김영한, "「딜타이의 삶 해석학」", 『철학논총』 41, 새한철학회, , 3-26, 2005

      8 이성백, "「딜타이의 정신과학론」",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1984

      9 최성환, "「해석학과 마음의 문제」", 『철학탐구』 48, 중앙철학연구소, , 155-195, 2013

      10 강돈구, "『슐라이어마허의 해석학』", 이동희 역, 이학사, 2000

      1 오희숙, 홍정수, "음악미학", 음악세계, 1999

      2 한상연, "?공감의 존재론?", 세창출판사, 2018

      3 최신한, "?지평확대의 철학?", 한길사, 2009

      4 오희숙, "『음악 속의 철학』", 심설당, 2009

      5 오희숙, "『철학 속의 음악』", 심설당, 2009

      6 김창래, "「딜타이는 누구인가」", 『철학탐구』 24, 중앙철학연구소, , 245-286, 2008

      7 김영한, "「딜타이의 삶 해석학」", 『철학논총』 41, 새한철학회, , 3-26, 2005

      8 이성백, "「딜타이의 정신과학론」",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1984

      9 최성환, "「해석학과 마음의 문제」", 『철학탐구』 48, 중앙철학연구소, , 155-195, 2013

      10 강돈구, "『슐라이어마허의 해석학』", 이동희 역, 이학사, 2000

      11 이규호, "『앎과 삶: 해석학적 지식론』", 좋은날, 1972

      12 김승철, "『역사적 슐라이어마허 연구』", 한들, 2004

      13 김승철, "「슐라이어마허 해석학의 기원」", 『해석학연구』 24, 한국해석학회, , 39-69, 2009

      14 최신한, "「슐라이어마허의 인간성 개념」", 『동서철학연구』 63, 한국동서철학회, , 75-95, 2012

      15 박영선, "「한슬릭의 형식주의 음악미학」", ?문화와 융합?, 40(5), 한국문화융합 학회, , 09, 175-206, 2018

      16 주성옥, "「W. Dilthey의 해석학적 미학연구」", 서울대학교대학원 석사논문, 1990

      17 최신한, "「유한적 이성과 해석학적 인식」", 『철학연구』 31, 철학연구회, , 349-369, 1992

      18 이기언, "「폴 리쾨르: 해석학과 자기이해」", 『불어불문학연구』 79, 한국불어불문 학회, , 401-439, 2009

      19 최신한, "?독백의 철학에서 대화의 철학으로?", 문예출판사, 2001

      20 오윤록, "「가다머의 해석학과 음악해석학」", 『음악과 민족』 43, 민족음악학회, , 167-186, 2012

      21 만프레드, "프랑크, 『현대의 조건』, 최신한 역", 책세상, 2002

      22 한상연, "「헤르더와 슐라이어마허의 존재론」", 『해석학연구』 21, 한국해석학회, , 1-31, 2008

      23 임마누엘, "칸트, ?칸트의 역사철학?, 이한구 편역", 서광사, 2009

      24 조셉, "커먼, 『음악을 생각한다』, 채현경 역", 궁리, 1985

      25 김의수, "「딜타이의 해석학적 철학과 형이상학」", 『철학연구』 21, 철학연구회, , 27-45, 1986

      26 최신한, "「학문으로서의 해석학과 대화의 체계」", 『뷔히너와 현대문학』 14, 한국 뷔히너학회, , 200-225, 2000

      27 최신한, "『슐라이어마허: 감동과 대화의 사상가』", 살림, 2003

      28 정혜윤, "음악과 정서, 그리고 몸: 신경미학적 접근", 『미학』 80, 한국미학회, , 303-344, 2014

      29 김의수, "「딜타이(W. Dilthey)의 해석학적 역사이해」", 『해석학연구』 2, 한국해 석학회, , 157-177, 1996

      30 이선관, "「슐라이어마허에 있어서의 번역과 해석」", 『범한철학』 30, 범한철학회, , 185-210, 2003

      31 오희숙, 홍정수, "『아도르노, 달하우스, 크나이프, 다누저』", 심설당, 2002

      32 백인호, "「슐라이어마허에게 있어서 종교성과 경건」", 한남대학교 대학원 박사 논문, 2012

      33 이경민, "?딜타이의 역사이해: 역사와 이성의 통합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 사논문, 2011

      34 이소영, "「음악분석에서의 해석적 언급에 대한 고찰」", 『낭만음악』 제6권 제3 호, 낭만음악회, , 75-162, 1994

      35 임마누엘, "칸트, ?실용적 관점에서 본 인간학?, 이남원 역", 울산대학교 출판부, 1998

      36 최신한, "「슐라이어마허의 보편해석학과 성서해석학」", 정기철 엮음, 『신학해석 학』, 한들출판사, , 29-42, 1997

      37 마르틴, 하이데거, "『빌헬름 딜타이의 탐구작업과 역사적 세계관』", 김재철 역, 누멘, 2010

      38 정기철, "「낭만주의 해석학: 해석학적 순환을 중심으로」", 『해석학연구』 12, 한 국해석학회, , 15-43, 2003

      39 정은경, 최성환, "「문학, 예술, 그리고 해석학: 음악작품과 해석」", 『해석학연구』 14, 한국해석학회, , 71-103, 2004

      40 최성환, "「방법과 진리-해석학의 방법 논쟁을 중심으로」", 『해석학연구』 15, 한 국해석학회, , 59-97, 2005

      41 김미애, "「음악해석학을 적용한 바로크음악의 연구방법」", 『음악과 민족』 23, 민족음악학회, , 289-306, 2002

      42 최신한, "「Doing Philosophy와 대화-슐라이어마허를 중심으로-」", 『철학논집』 44, 서강대학교 철학연구소, , 183-207, 2016

      43 한상연, "「슐라이어마허와 하이데거의 초월 및 실존 개념」", 『현대유럽철학연구』 35, 한국현대유럽철학회, , 235-274, 2014

      44 최신한, "「해석학과 현대: 슐라이어마허 해석학의 현재성」", 『해석학연구』 8, 한 국해석학회, , 153-184, 2001

      45 김상봉, "「데카르트와 음악의 문제-음악의 대상을 중심으로」", 『대동철학』 81, 대동철학회, , 1-27, 2017

      46 최성환, 최인자, "「놀이의 해석학-전통놀이 문화의 해석을 위한 시론」", 『해석학 연구』 18, 한국해석학회, 183-221, #REF!

      47 안승훈, "「데카르트의 『음악개론』에서 산술적 비례의 문제」", 『철학논집』 36, 서강대학교 철학연구소, , 341-373, 2014

      48 최신한, "「슐라이어마허의 전반성적 주체와 직접적 자기의식」", 『철학연구』 34, 철학연구회, , 329-347, 1994

      49 윤승주, "「빌헬름 딜타이에 있어서 체험과 시적 상상력의 관계」", 『미학예술학 연구』, 19, 한국미학예술학회, , 91-107, 1999

      50 이병옥, "「감각과 이해: 슐라이어마허의 종교론에 나타난 해석학」", 『해석학연 구』 12, 한국해석학회, , 43-68, 2003

      51 최성환, "「빌헬름 딜타이와 요크 폰 바르텐부르크의 유형론 비교」", 『해석학연 구』 13, 한국해석학회, , 207-237, 2004

      52 김창래, "「빌헬름 딜타이의 ‘철학의 철학’에 대한 철학적 성찰」", 『철학탐구』 38, 중앙철학연구소, , 121-161, 2015

      53 최신한, "「슐라이어마허의 해석학 개념-볼프 및 아스트와의 대화」", 『해석학연 구』 22, 한국해석학회, , 137-163, 2008

      54 최성환, "「해석학과 수사학-사회적, 문화적 실천으로서의 인문학」", 『해석학연 구』 17, 한국해석학회, , 51-79, 2006

      55 최성환, "「해석학에 있어서 자연의 문제-자연해석학의 정초 시도」", 『해석학 연 구』 25, 한국해석학회, , 23-54, 2010

      56 한상연, "「종교와 몸: 슐라이어마허의 “살/몸” 존재론에 관하여」", 『해석학연구』 26, 한국해석학회, , 171-222, 2010

      57 김승철, "「표현의 자유를 향한 슐라이어마허의 ‘보다 나은 이해“」", 『해석학연 구』 35, 한국해석학회, , 31-68, 2014

      58 진성철, "「슐라이어마허의 신학과 학문성 분석 : 종교론을 중심으로」", 웨스트민 스터신학대학원대학교 박사논문, 2017

      59 최성환, "「해석과 체계-해석학의 철학적 시대적 위상과 과제에 대하여」", 『해석 학연구』 6, 한국해석학회, , 145-184, 1999

      60 김인수, "「슐라이어마허의 교회론에 대한 이해:『종교론』을 중심으로」", 계명대학 교 대학원 석사논문, 2007

      61 이병옥, "?슐라이어마허의 해석학적 주체성 이론?, 『철학과 현상학 연구』 25", 한국현상학회, , 135-157, 2005

      62 최신한, "「슐라이어마허와 가다머: 가다머의 슐라이어마허 비판은 정당한가」", 『해석학연구』 12,한국해석학회, , 68-97, 2003

      63 최신한, "「슐라이어마허의 해석학과 변증법: 해석학적 언어이론을 중심으로」", 백승균 저 『해석학과 현대철학』, 철학과현실사, , 21-42, 1996

      64 최성환, "「문화 해석과 해석 문화: 합리적-합의적 문화 이해의 해석학적 기초」", 『해석학연구』 7, 한국해석학회,, 15-41, 2000

      65 한상연, "「살, 몸과 해석: 슐라이어마허 해석학의 존재론적 근거에 관한 성찰」", 『해석학연구』 35, 한국해석학회, , 69-98, 2014

      66 최성환, "「칸트와 해석학-딜타이의 ‘역사이성 비판’의 성립배경을 중심으로」", 『칸트연구』 7, 한국칸트학회, , 177-205, 2001

      67 이병옥, "「종교적 감정의 전달과 언어: 슐라이어마허의 『종교론』을 중심으로」", 『해석학연구』 9, 한국해석학회, , 293-309, 2002

      68 강돈구, "「해석학적 순환의 인식론적 구조와 존재론적 구조-Schleiermacher와 Gadamer」", 『철학연구』 23, 철학연구회, , 43-80, 1988

      69 김영한, "「칸트철학과 현대 해석학의 문제들: 슐라이어마허의 보편해석학 기 획」", 『칸트연구』 12, 한국칸트학회, , 219-254, 2003

      70 오희숙, "「진정한 연주란 무엇인가?-이도르노(Th. W. Adorno)의 해석이론에 대한 소고」", 『美學』 73집, 한국미학회, , 1-33, 2013

      71 한상연, "「존재론적 당위성의 토대로서의 초월: 슐라이어마허의 존재론적 윤리 학」", 『현대유럽철학연구』 39, 한국현대유럽철학회, , 241-274, 2015

      72 최성환, "「딜타이 철학에서의 심리학적 연구의 의의: 학제적 연구 모델로서의 심리학」", 『해석학연구』 9, 한국해석학회, , 13-41, 2002

      73 한스, "게오르크 가다머, 『진리와 방법 2: 철학적 해석학의 기본 특징들』, 임홍 배 역", 문학동네, 2012

      74 강돈구, "「보편적 해석학의 기초로서의 언어와 사유:Schleiermacher의 해석학 을 중심으로」", 『철학』 24, 한국철학회, , 31-53, 1985

      75 최신한, "「의로움의 해석학: 슐라이어마허의 “의”(δικαιοσuνη) 개념을 중심으 로」", 『해석학연구』 31, 한국해석학회, , 29-49, 2013

      76 최성환, "「빌헬름 딜타이(김창래 �ケ�)『정신과학에서 역사적 세계의 건립』 아 카넷, 」", 『철학』 104, 한국철학회, 2010, 247-251, 2009

      77 최신한, "「슐라이어마허와 가다머(Ⅱ). 해석학의 보편성 요구-지평융합인가, 지 평확대인가?」", 『철학연구』 90, 철학연구회, , 407-434, 2004

      78 오윤록, "?딜타이의 해석학과 음악해석학-크레츠슈마와 쉐링을 중심으로?, 『서 양음악학』 17호", 서양음악학회, , 163-185, 2008

      79 최성환, "「고전 해석학의 역사: 클라데니우스의 철학적 해석술-관점 (Sehepunkt)이론을 중심으로」", 『해석학연구』 10, 한국해석학회, , 80-108, 2002

      80 김창래, "?‘철학의 철학’과 ‘엄밀한 학문으로서의 철학’: 딜타이-후설 논쟁?, 『유럽현대철학』 46", 한국현대유럽철학회, 01-65, null

      81 최성환, "「딜타이의 자기(Selbst)의 해석학-자기성찰(Selbstbesinnung)과 자서 전(Selbstbiographie)을 중심으로」", 『해석학연구』 27, 한국해석학회, , 171-201, 2011

      82 최신한, "「매개적 자기의식과 직접적 자기의식, 헤겔과 슐라이어마허에 있어서 철학과 종교의 관계」", 『철학과 현실』, 철학문화연구소, , 366-369, 1992

      83 임창호, "?슐라이에르마허의 ‘사교적 대화’에 대한 고찰-수누시아로서의 사교적 대화-?, 『교육철학』, 12-1", 한국교육철학학회, , 1-20, 1994

      84 최신한, "「이해의 한계와 번역불가능성의 문제: 슐라이어마허의 『번역의 다양한 방법에 대하여』를 중심으로」", 『해석학연구』 19, 한국해석학회, , 29-57, 2007

      85 임창호, "「슐라이에르마허의 교육사상에 관한 연구-교육학적 기초이론으로서 그의 ?사교성 이론을?을 중심하여-」", 『교육학 연구』 30권 4호, 한국 교육학회, 69-83, null

      86 신호재, "『정신과학의 철학: 신칸트학파, 딜타이, 그리고 후설의 현상학과 역사 적 인문, 사회과학의 철학적 토대』", 이학사, 오토 푀겔러. ?해석학적 철학의 역사?, ?해석학의 철학?, 박순영 옮김, 서광 사, 1993, 2018

      87 최성환, "「딜타이(W. Dilthey)의 해석학 구상: 『비교심리학에 관하여』(1895/6) 와 『해석학의 탄생』(1896/7)을 중심으로」", 『현대유럽철학연구』 40, 한국 현대유럽철학회, , 97-133, 2016

      88 군터, "숄츠, ?슐라이어마허?, 슈테판 로렌츠 조르크너, 올리버 퓌어베트 편집, 『독일 음악미학』, 김동훈, 홍준기 역", 아난케, 200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