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토지이용 특성과 침수피해면적 간의 관계 분석: 서울시를 사례로 = Analyzing Relationships between Land Use Characteristics and Flood Damage Areas: The Case of Seou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61923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Changes of rainfall pattern and land use have increased flood disaster risks in urban areas. Using the case of flood damage areas by heavy rainfalls of September 2010 and July 2011 in Seoul, this study analyzes land use factors influencing flood damages based on 239 drainage area units. After examining spatial distributions of flood damage areas in Seoul, the study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land use in flood damage areas. Also, several regression models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flood damage areas and land use characteristics. The analysis finds that flood damage areas are associated with maximum rainfall intensity, flatland or gentle slope, residential-commercial mixed use, commercial and business use, detached housing use, and green and open spaces. The study implies that, while more aggressive adaptational measures to climate change are needed, urban planning measures to reduce flood risk and stormwater runoff would be strongly effective by designating and managing the flood damage areas. Also, the study implies that flood prevention strategies could be customized to local characteristics such as topography, land use and land cover, and drainage systems since both rainfall and flood damage distributions are highly localized. This study suggests that urban planning measures additional to structural flood control measures would be helpful to reduce urban flood risk more fundamentally.
      번역하기

      Changes of rainfall pattern and land use have increased flood disaster risks in urban areas. Using the case of flood damage areas by heavy rainfalls of September 2010 and July 2011 in Seoul, this study analyzes land use factors influencing flood damag...

      Changes of rainfall pattern and land use have increased flood disaster risks in urban areas. Using the case of flood damage areas by heavy rainfalls of September 2010 and July 2011 in Seoul, this study analyzes land use factors influencing flood damages based on 239 drainage area units. After examining spatial distributions of flood damage areas in Seoul, the study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land use in flood damage areas. Also, several regression models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flood damage areas and land use characteristics. The analysis finds that flood damage areas are associated with maximum rainfall intensity, flatland or gentle slope, residential-commercial mixed use, commercial and business use, detached housing use, and green and open spaces. The study implies that, while more aggressive adaptational measures to climate change are needed, urban planning measures to reduce flood risk and stormwater runoff would be strongly effective by designating and managing the flood damage areas. Also, the study implies that flood prevention strategies could be customized to local characteristics such as topography, land use and land cover, and drainage systems since both rainfall and flood damage distributions are highly localized. This study suggests that urban planning measures additional to structural flood control measures would be helpful to reduce urban flood risk more fundamentall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강우와 토지이용 특성의 변화로 도시지역의 재해위험은 크게 악화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서울의 2010년 9월과 2011년 7월 집중호우에 의한 침수피해를 사례로, 토지이용 측면에서의 침수피해 영향요인들을 분석하였다. 연구 내용은 크게 ① 침수피해지역의 공간적 특성 분석, ② 침수피해지역에의 토지이용 관련 영향인자 분석, ③ 토지이용 특성과 침수피해지역 간의 관계 분석, ④ 분석 결과를 반영한 토지이용상의 정책적 시사점 도출로 구분된다. 분석 결과, 영향인자 중 시간당 최대 강우량이 침수피해에 대하여 일관되게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가운데, 시가지 유역 특성에 있어서는 완경사 지역, 주거˙상업 혼재지, 상업˙업무 시설지, 단독주택지, 녹지 및 오픈스페이스 등이 유의한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분석 결과는 도시지역의 침수피해 방지를 위해서는 기후변화에 대응한 장단기의 전방위적인 대책이 필요함은 물론, 이들 침수피해지역들을 중점대책지구로 설정하여 저지대 완경사 지역 정비, 유출저감을 위한 저류˙침투시설대책 등 도시계획적 대책이 적극적으로 마련되어야 하며, 강우와 침수피해가 국지적 특성을 가짐을 고려하여 지역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수방대책이 이루어져야 함을 시사한다. 또한 본 논문은 전통적인 방재시설 중심의 구조물 대책에 더하여 도시계획적 대책을 고려함으로써 침수재해에 보다 안전하고, 점증하는 기상이변에 보다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을 것임을 시사한다.
      번역하기

      최근 강우와 토지이용 특성의 변화로 도시지역의 재해위험은 크게 악화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서울의 2010년 9월과 2011년 7월 집중호우에 의한 침수피해를 사례로, 토지이용 측면에서의 침...

      최근 강우와 토지이용 특성의 변화로 도시지역의 재해위험은 크게 악화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서울의 2010년 9월과 2011년 7월 집중호우에 의한 침수피해를 사례로, 토지이용 측면에서의 침수피해 영향요인들을 분석하였다. 연구 내용은 크게 ① 침수피해지역의 공간적 특성 분석, ② 침수피해지역에의 토지이용 관련 영향인자 분석, ③ 토지이용 특성과 침수피해지역 간의 관계 분석, ④ 분석 결과를 반영한 토지이용상의 정책적 시사점 도출로 구분된다. 분석 결과, 영향인자 중 시간당 최대 강우량이 침수피해에 대하여 일관되게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가운데, 시가지 유역 특성에 있어서는 완경사 지역, 주거˙상업 혼재지, 상업˙업무 시설지, 단독주택지, 녹지 및 오픈스페이스 등이 유의한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분석 결과는 도시지역의 침수피해 방지를 위해서는 기후변화에 대응한 장단기의 전방위적인 대책이 필요함은 물론, 이들 침수피해지역들을 중점대책지구로 설정하여 저지대 완경사 지역 정비, 유출저감을 위한 저류˙침투시설대책 등 도시계획적 대책이 적극적으로 마련되어야 하며, 강우와 침수피해가 국지적 특성을 가짐을 고려하여 지역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수방대책이 이루어져야 함을 시사한다. 또한 본 논문은 전통적인 방재시설 중심의 구조물 대책에 더하여 도시계획적 대책을 고려함으로써 침수재해에 보다 안전하고, 점증하는 기상이변에 보다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을 것임을 시사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주철, "자연친화적인 자연재해완화정책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07

      2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이상기후에 대비한 시설기준 강화 연구보고서" 국토해양부 2008

      3 박민규, "수해취약성인자를 이용한 고위험 도시침수지역의 평가기법에 대한 연구" 한국방재학회 12 (12): 245-253, 2012

      4 강상준, "수해지 분포특성에 따른 토지이용 관리방안" 경기개발연구원 2010

      5 강상준, "수해지 분포 특성에 관한 연구 : 경기도 사례를 중심으로" 대한토목학회 32 (32): 507-517, 2012

      6 유철상, "서울지점 강우자료에 나타난 도시화의 간섭 분석" 한국수자원학회 40 (40): 629-641, 2007

      7 신상영, "서울의 침수피해특성과 수방정책방향" 11 (11): 4-10, 2011

      8 서울시, "서울시 하수도정비기본계획(변경) 보고서" 2009

      9 서울시, "서울시 빗물관리 기본계획(보완)" 2013

      10 서울시, "서울시 물순환 기본계획 연구" 2004

      1 정주철, "자연친화적인 자연재해완화정책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07

      2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이상기후에 대비한 시설기준 강화 연구보고서" 국토해양부 2008

      3 박민규, "수해취약성인자를 이용한 고위험 도시침수지역의 평가기법에 대한 연구" 한국방재학회 12 (12): 245-253, 2012

      4 강상준, "수해지 분포특성에 따른 토지이용 관리방안" 경기개발연구원 2010

      5 강상준, "수해지 분포 특성에 관한 연구 : 경기도 사례를 중심으로" 대한토목학회 32 (32): 507-517, 2012

      6 유철상, "서울지점 강우자료에 나타난 도시화의 간섭 분석" 한국수자원학회 40 (40): 629-641, 2007

      7 신상영, "서울의 침수피해특성과 수방정책방향" 11 (11): 4-10, 2011

      8 서울시, "서울시 하수도정비기본계획(변경) 보고서" 2009

      9 서울시, "서울시 빗물관리 기본계획(보완)" 2013

      10 서울시, "서울시 물순환 기본계획 연구" 2004

      11 안소라, "미래토지이용 및 기후변화에 따른 하천유역의 유출특성 분석" 대한토목학회 28 (28): 215-224, 2008

      12 강상준, "도심형 빗물저류공간 조성을 위한 기초연구" 경기개발연구원 2011

      13 최충익, "도시적 토지이용의 변화가 도시의 자연재해 취약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경기도를 사례로-"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38 (38): 35-48, 2003

      14 박창열, "다변량 분석을 이용한 서울의 상습침수지역 유형화" 한국방재학회 13 (13): 245-255, 2013

      15 소방방재청, "내배수 침수재해 저감기술 개발-내배수 홍수분담 최적화기술 개발" 2009

      16 국토연구원, "기후변화에 안전한 재해통합대응 도시 구축방안 연구" 국토연구원 2009

      17 소방방재청, "기후변화를 고려한 도시방재성능 목표 설정 방안 연구" 소방방재청 2010

      18 강정은, "기후변화 적응형 도시 리뉴얼 전략 수립: 그린인프라의 방재효과 및 적용방안"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19 이동근, "기후변화 시나리오 및 토지이용변화에 따른 유출수 변화량 산정 - 2020년 과천 도시기본계획을 사례로 -"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5 (45): 241-249, 2010

      20 서울시, "기후변화 대응 서울시 수방정책 시민대토론회 결과보고서" 2011

      21 신상영, "기상이변에 대응한 서울의 수해방지전략" 1-23, 2011

      22 이병재, "공간분석을 통한 중소도시 수해특성 및 도시계획적 대응방안 연구"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9 (9): 45-64, 2013

      23 송재우, "강우강도에 따른 침투-저류시스템의 우수유출저감효과에 관한 실험 연구" 한국방재학회 7 (7): 85-95, 2007

      24 Sheng, J., "Watershed Urbanization and Changing Flood Behavior across the Los Angels Metropolitan Region" 48 (48): 41-57, 2008

      25 Walesh, S. G., "Urban Surface Water Management" John Wiley and Sons, Inc 1989

      26 Schueler, T. R., "The Importance of Imperviousness" 1 (1): 100-111, 1994

      27 박준호, "SWMM을 이용한 춘천 거두 1지구의 LID 개념 적용으로 인한 유출 감소 특성 분석" 한국물환경학회 24 (24): 806-816, 2008

      28 Hall, J. W., "National-Scale Assessment of Current and Future Flood Risk in England and Wales" 36 (36): 147-164, 2005

      29 전지홍, "LID-IMPs 선정 가이드라인 제시와 아파트단지에서의 LID 설계" 한국물환경학회 25 (25): 886-895, 2009

      30 Tobin, J., "Estimation of Relationships for Limited Dependent Variables" 26 (26): 24-36, 1958

      31 IPCC, "Climate Change 2007: The Physical Science Basi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7

      32 Neter, J., "Applied Linear Statistical Models" Irwin 1996

      33 Rygel, L., "A Method for Constructing a Social Vulnerability Index: An Application to Hurricane Storm Surges in a Developed Country" 11 (11): 741-764, 2006

      34 서울시, "2011년 서울시 재난위험도 평가 및 활용방안" 201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6-15 학술지등록 한글명 : 국토연구
      외국어명 : The Korea Spatial Planning Review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6 0.86 0.9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3 0.85 1.241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