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불확정성의 기호로서의 프레임 = The frame as a sign of indecidabli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06682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회화에서 프레임은 단순한 틀과 한계 이상의 기능을 수행한다. 그림의 영역을 한정하고 그것의 내적 질서와 의미작용을 보장해주는 절대적 경계가 아니라, 이미지와 실재 사이의 끊임없는 ...

      회화에서 프레임은 단순한 틀과 한계 이상의 기능을 수행한다. 그림의 영역을 한정하고 그것의 내적 질서와 의미작용을 보장해주는 절대적 경계가 아니라, 이미지와 실재 사이의 끊임없는 틈입, 치환, 확장을 지향하는 비-결정적 경계이다. 프레임은 분리이자 연결이고, 한정이자 위반이며, 닫힘이자 열림인 이중적 속성의 경계다. 또 자신의 내재적 결핍 뿐 아니라 그림 내부의 결핍을 지시함으로써, 혹은 자신의 내재적 불확정성 뿐 아니라 그림 내부의 불확정성을 드러냄으로써 회화 전체를 불확정성의 텍스트로 만드는 ‘불확정성의 기호’이다. 즉 프레임은 그 자체의 불확정성을 통해 회화의 불확정성을 나타내고 작품의 의미 고정을 끊임없이 지연시키며, 그에 따라 회화를 영원히 의미 생성 중인 영역으로 만드는 기호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관점들을 바탕으로 불확정성의 경계 또는 기호로서의 프레임의 특성들에 대해 살펴본다. 먼저, 기호적 절단 혹은 기호적 재봉으로서의 프레임의 특성에 주목하면서 그 내부에 바깥과 열림을 지향하는 ‘위반’이 본질적 속성으로 내재되어 있음을 고찰한다. 또한 데리다의 파레르곤 개념을 재검토하면서 오브제로서의 프레임에도 ‘안이자 바깥’으로서의 이중적 속성이 근원적으로 내포되어 있음을 논한다. 나아가, 프레임이 그림 내부의 결핍과 불확정성을 지시하는 기호이자 그 스스로 불확정성을 내포하고 있는 기호임을 밝히면서, 궁극적인 의미와 힘의 방향 자체가 바깥을 향해 있는 일종의 ‘탈영토화’의 기호임을 살펴본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mmanuel Kant has determined the concept of parergon as an extra appetizer that comes in addition, outside the field clean, namely incidental business, activity or operation that comes next or everything against ergon. He cited as examples the frames ...

      Immanuel Kant has determined the concept of parergon as an extra appetizer that comes in addition, outside the field clean, namely incidental business, activity or operation that comes next or everything against ergon. He cited as examples the frames of the paintings, the clothes of the statues or the columns around the architectures. But Jacques Derrida considered that as a parergon, the frame in painting works not only as frame-object, frame-limit and frame-window, but also as edge which, neither simply outside nor simply inside, separates the inside from outside into same time does not stop linking them. Then, it emphasizes that the frame is not an addition hors d’oeuvre that will eventually be forced to disappear, to sink, to fade and merge into the realm of significance, at the moment when it deploys his greatest energy. The framework must therefore be considered as an edge of indecidablility, or as a sign of difference, whose general principle is no longer a mechanical law of the nature, of the agreement, or of the harmony of the immanent signs, but a certain repeated dislocation or a regulated and irrepressible deterioration which makes it crack in general, the corner abyss in its angles and its articulations, returns its internal limit in external limi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칸트, 임마누엘, "판단력 비판" 아카넷 2009

      2 강우성, "파레르곤의 논리: 데리다와 미술" 영미문학연구회 (14) : 5-34, 2008

      3 김광명, "칸트의 「판단력 비판」 읽기" 세창미디어 2012

      4 칸트, 임마누엘, "이성의 한계 안에서의 종교" 아카넷 2015

      5 모라나, 시릴, "예술철학 : 플라톤에서 들뢰즈까지" 미술문화 2013

      6 뒤봐, 필립, "사진적 행위" 사진마실 2005

      7 박정자, "빈센트의 구두" 기파랑 2005

      8 가버, 뉴튼, "비트겐슈타인의 관점에서 본 데리다" 문학과지성사 1997

      9 베르그손, 앙리, "물질과 기억" 아카넷 2005

      10 김형효, "데리다의 해체철학" 민음사 1993

      1 칸트, 임마누엘, "판단력 비판" 아카넷 2009

      2 강우성, "파레르곤의 논리: 데리다와 미술" 영미문학연구회 (14) : 5-34, 2008

      3 김광명, "칸트의 「판단력 비판」 읽기" 세창미디어 2012

      4 칸트, 임마누엘, "이성의 한계 안에서의 종교" 아카넷 2015

      5 모라나, 시릴, "예술철학 : 플라톤에서 들뢰즈까지" 미술문화 2013

      6 뒤봐, 필립, "사진적 행위" 사진마실 2005

      7 박정자, "빈센트의 구두" 기파랑 2005

      8 가버, 뉴튼, "비트겐슈타인의 관점에서 본 데리다" 문학과지성사 1997

      9 베르그손, 앙리, "물질과 기억" 아카넷 2005

      10 김형효, "데리다의 해체철학" 민음사 1993

      11 베일리, W.H., "그림보다 액자가 좋다" 아트북스 2006

      12 Peirce, Charles S., "Écrits sur le signe" Seuil 1978

      13 Kristeva, Julia, "Séméiotikê : recherches pour une sémanalyse" Seuil 1969

      14 Derrida, Jacques, "Positions" Les éditions de Minuit 1972

      15 Soulez, Guillaume, "Penser, cadrer : le projet du cadre" L’Harmattan 5-6, 1999

      16 Bächler, Odile, "Penser, cadrer : le projet du cadre" L’Harmattan 56-63, 1999

      17 Derrida, Jacques, "Mémoires d’aveugle : l’autoportrait et autres ruines, avec la collaboration d’Yseult Séverac"

      18 Derrida, Jacques, "L’écriture et la différence" Seuil 409-428, 1967

      19 Careri, Giovanni, "L’écart du cadre, Cahiers du Musée National d’Art Moderne"

      20 Aumont, Jacques, "L’oeil interminable" Séguier 1989

      21 Deleuze, Gilles, "Logique du sens" Les Editions de Minuit 1969

      22 Simmel, Georg, "Le Cadre et autres essais" Le Promeneur 2003

      23 Derrida, Jacques, "La vérité en peinture" Flammarion 1978

      24 Aumont, "Image" Nathan 1990

      25 Charbonnier, Louise, "Généalogie d’un dispositif" L’Harmattan 2007

      26 Bonitzer, Pascal, "Décadrages : peinture et cinéma" 1985

      27 Marin, Louis, "De la représentation" Seuil/Gallimard 199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5-2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semiotic inquiry -> Semiotic Inquiry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2 0.72 0.6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 0.59 1.335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