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翰苑』은 기원 660년 張楚金(?~689)이 찬술하고, 雍公叡가 注를 붙인 類書의 抄寫本이다. 문헌으로만 전하던 『한원』의 殘卷인 「蕃夷部」가 발견된 지도 한 세기가 넘었다. 『한원』 번이...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7831861
2021
-
『한원』 ; 번이부 ; 교감 ; 不傳史書 ; 蒙書 ; Hanwon ; Banyibu(蕃夷部) ; proofreading ; lost history book ; scientific book
900
KCI등재
학술저널
91-116(26쪽)
4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翰苑』은 기원 660년 張楚金(?~689)이 찬술하고, 雍公叡가 注를 붙인 類書의 抄寫本이다. 문헌으로만 전하던 『한원』의 殘卷인 「蕃夷部」가 발견된 지도 한 세기가 넘었다. 『한원』 번이...
『翰苑』은 기원 660년 張楚金(?~689)이 찬술하고, 雍公叡가 注를 붙인 類書의 抄寫本이다. 문헌으로만 전하던 『한원』의 殘卷인 「蕃夷部」가 발견된 지도 한 세기가 넘었다. 『한원』 번이부는 중국 주변 15개 이민족을 서술 대상으로 삼았다. 이 가운데 『한원』이 편찬된 660년경 존재한 이민족은 高句麗ㆍ新羅ㆍ百濟ㆍ倭國뿐이었다. 이 때문에 『翰苑』 번이부는 6~7세기 삼국시대 후기의 ‘東夷傳’이라 부를 만하다. 현재의 『한원』은 필사본으로 전해져 오는 동안 많은 오ㆍ탈자와 衍文, 改文이 유난히 많아 이용에 주의를 요하는 자료로 알려져 왔다. 1922년 처음 영인본이 간행된 이래 일본과 중국에서 적지 않은 교감ㆍ역주, 그리고 관련 연구가 지속되고 있다. 『한원』 번이부 연구의 최대 관건은 신뢰할만한 교감문이 없었기 때문이다. 2018년 기왕의 교감ㆍ역주를 종합한 『譯註 翰苑』 이 간행되면서 향후 연구의 토대가 만들어 졌다. 그 동안 한국학계의 『한원』 번이부 연구는 대체로 지금 전하지 않는 기록만을 고구려ㆍ백제ㆍ신라 등 해당 시대사 연구에 이용하는 형태였다. 『한원』 번이부 전체의 구성과 서술방식, 大 字 正文과 注文과의 관계, 주문의 구성과 기재방식 등 종합적인 분석은 취약하였다. 본고는 『譯註 翰苑』의 출간을 계기로 본격적인 연구에 필요한 문헌적 연구의 여러 문제를 살펴본 것이다. 특히 隋唐이래 적대적 관계를 유지해 온 고구려와 백제에 대해서는 침공 시 주요 거점과 요새, 도로 등 지형지물에 대한 서술이 중심이 되어 있다. 인용한 史書도 대부분 지리와 사신의 첩보 활동에서 수집한 자료로 이루어져 있었다. 이를 통해 『한원』에 고구려ㆍ백제ㆍ신라 중심의 蕃夷部 를 설정한 것은 660년 당시 동이사회에 대한 실제적인 지식과 정보를 관리 지망생인 童蒙의 학습서로 만들어 졌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Hanwon(翰苑) was written in 660. It is a book compiled by Jang cho-geum(張楚金, ?~689). The Hanwon, which has been handed down as a record, was discovered 100 years ago. Hanwon describes 15 different ethnic groups around China. Among them, Goryeo...
Hanwon(翰苑) was written in 660. It is a book compiled by Jang cho-geum(張楚金, ?~689). The Hanwon, which has been handed down as a record, was discovered 100 years ago. Hanwon describes 15 different ethnic groups around China. Among them, Goryeo, Silla, Baekje, and Waguk existed around 660 when Hanwon was compiled. The reason why Hanwon is important as a historical material is that there are many historical books that have not yet been published in the order. There are about 16 kinds of unwritten history books, but they are concentrated on Koguryo, Silla, and Baekjejeon. Its contents span political systems, geography and social customs. Therefore, Hanwon can be called Dongyijeon from the 6th to 7th centuries to the late Three Kingdoms Period. Until now, most of the research on Hanwon in Korean academia has used only records that have not yet been handed down for historical research such as Goguryeo, Baekje, and Silla. This paper is an opportunity to investigate the problems of literature research necessary for full-scale research. He emphasized that the establishment of the Banyibu(蕃夷部) in the center of Goguryeo, Baekje, and Silla in Hanwon was based on the actual knowledge and information of Dongi(東夷) society in 660.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佐藤眞, "類書「翰苑」の注末助字" 4 : 1977
2 榎一雄, "連載 第三会: 《魏志》倭人伝とその周辺" 17 : 1983
3 金鍾完, "한중관계 2000년-全海宗先生九旬紀念 韓中關係史論叢" 소나무 2008
4 곽승훈, "한원(翰苑) 신라전 연구" 한국고대사학회 (43) : 257-285, 2006
5 조우연, "중국 학계의 『翰苑』 연구" 백산학회 (120) : 161-178, 2021
6 全海宗, "동아시아사의 비교와 교류" 지식산업사 2000
7 全海宗, "魏略과 翰苑" 聯合報文化基金會國學文獻館 1991
8 童 嶺, "貞觀年閒唐帝國的東亞情報、知識與佚籍-舊鈔本《翰苑》注引〈高麗記〉硏究" 92 : 2017
9 "譯註 翰苑" 東北亞歷史財團 2018
10 石田幹之助, "謠曲草子洗小町の構想と張楚金の逸事" 8 : 1957
1 佐藤眞, "類書「翰苑」の注末助字" 4 : 1977
2 榎一雄, "連載 第三会: 《魏志》倭人伝とその周辺" 17 : 1983
3 金鍾完, "한중관계 2000년-全海宗先生九旬紀念 韓中關係史論叢" 소나무 2008
4 곽승훈, "한원(翰苑) 신라전 연구" 한국고대사학회 (43) : 257-285, 2006
5 조우연, "중국 학계의 『翰苑』 연구" 백산학회 (120) : 161-178, 2021
6 全海宗, "동아시아사의 비교와 교류" 지식산업사 2000
7 全海宗, "魏略과 翰苑" 聯合報文化基金會國學文獻館 1991
8 童 嶺, "貞觀年閒唐帝國的東亞情報、知識與佚籍-舊鈔本《翰苑》注引〈高麗記〉硏究" 92 : 2017
9 "譯註 翰苑" 東北亞歷史財團 2018
10 石田幹之助, "謠曲草子洗小町の構想と張楚金の逸事" 8 : 1957
11 內藤虎次郞, "舊鈔本翰苑に就きて" 2 (2): 1922
12 吉田光男, "翰苑註所引高麗記について" 85 : 1977
13 "翰苑校釋" 國書刊行會 1983
14 江畑武, "翰苑所引の魏略肅愼記事と魚豢の卒年" 28 (28): 1993
15 和田英松, "翰苑に見えたる官位十二階の稱號" 28 (28): 1917
16 "翰苑, 藤田亮策藏 抄寫本"
17 "翰苑, 朝鮮學術院藏 油印本"
18 "翰苑, 京都帝國大學文學部景印唐鈔本 第1集"
19 "翰苑" 太宰府天滿宮文化硏究所 1974
20 "翰苑" 遼海叢書編印社 1934
21 竹內理三, "翰苑" 太宰府天滿宮硏究所 1977
22 任昌淳, "翰苑" 亞細亞文化社 1974
23 "翰苑" 太宰府天滿宮文化硏究所 1977
24 內藤虎次郞, "硏幾小錄" 弘文堂 1928
25 榎一雄, "榎一雄著作集(第八卷 邪馬臺國)" 汲古書院 1992
26 橋本增吉, "東洋史上より見たる日本上古史硏究" 東洋文庫 1956
27 全海宗, "東夷傳의 文獻的 硏究" 일조각 1980
28 石田幹之助, "東亞文化史叢考" 東洋文庫 1973
29 村上正雄, "書評 : 翰苑校釋" 111 : 1984
30 翰苑硏究會, "日本所在 唐代筆寫本 《翰苑》 蕃夷部의 綜合的 檢討" 2020
31 우에다 기헤이나리치카, "日本學界의 『翰苑』 硏究 動向과 課題 -7世紀 資料로서 活用하기 위한 試論-" 백산학회 (120) : 179-197, 2021
32 三浦敏弘, "新刊紹介 竹內理三 校訂‧解説《翰苑》" 5‧6 : 1977
33 內藤虎次郞, "影印本翰苑跋, In 翰苑"
34 湯淺幸孫, "國寶 翰苑について" 18 : 1978
35 和田英松, "國史國文之硏究" 雄山閣 1926
36 趙望秦, "唐文學家張楚金考" 2001 (2001): 2001
37 童 嶺, "唐抄本《翰苑》殘卷考正" 北京大學出版社 5 : 2012
38 新田信夫, "古鈔本翰苑について" 10 : 1960
39 內藤虎次郞, "內湖南全集 7" 筑摩書房 1970
40 武田幸男, "于江權兌遠教授停年紀念論叢:民族文化의 諸問題" 세종문화사 1994
41 윤용구, "『翰苑』 蕃夷部의 注文構成에 대하여" 백제문화연구소 (45) : 151-166, 2011
42 김병곤, "『翰苑』 撰者의 三韓傳에 대한 敍述과 理解" 한국사학사학회 (18) : 5-36, 2008
43 신현웅, "『翰苑』 三韓傳과 『魏略』의 逸文(1) - 『한원』 인용문 분석과 검토 -" 신라문화연구소 32 (32): 117-144, 2008
44 吉田光男, "《한원》 注文에 인용된 〈高麗記〉" 27 : 2019
45 全海宗, "《魏略》과 《典略》" 99‧100 : 1983
46 武田幸男, "《高麗記》와 高句麗攻勢" 27 : 2019
47 高福順, "《高麗記》硏究" 吉林文史出版社 2003
48 張中澍, "《翰苑ㆍ蕃夷部》校譯" 吉林文史出版社 2015
49 王 碩, "《翰苑》硏究" 東北師範大學 2016
50 鄭東俊, "《翰苑》百濟傳所引の「括地志」の史料的性格について" 92 (92): 2010
51 王 硕, "《翰苑》作者张楚金著述、生平辨疑" 2015 (2015): 2015
52 森鹿三, "〈香字抄〉と所引の〈翰苑〉について" 13 : 1965
베트남 전쟁의 ‘베트남화’에 대한 주월한국군의 인식과 대응 : 제2대 사령관 이세호의 역할을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11-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6 | 0.6 | 0.7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63 | 0.59 | 1.723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