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박찬옥, 엄은나, 서동미, "유아사회교육", 파주: 양성원, 2018
2 조운주, 최일선, "유아사회교육", 창지사, 서 울: 양서원, 2017
3 정옥분, "「발달심리학」", 학문사, 서울: 학지사, 2008
4 전경원, "창의성 본질과 교육", 정민사, 파주: 정민사, 2015
5 배소영, 임선숙, 이지희, "언어문제해결력 검사", 서울장애인종합복지관, 서울: 서울장애인종 합복지관, 2000
6 임선숙, 조성연, "이럴 땐 어떻게 할까 I", 서울 : 장애인종합복지관, 1997
7 문정화, 하종덕, "또 하나의 교육 창의성", 서울: 학지사, 2005
8 전경원, "유아 종합 창의성 검사", 서울: 학지사, 2000
9 이경화, 백진옥, "유아 창의성 연구의 동향", 숭실대학교 영재교육연구소, Global Creative Leader, 2(1), 42-60, 2012
10 윤치연, "한국유아사회성기술검사", 부산: 테스피아, 2012
11 주상윤, "창의적 발상의 원리와 기법", 울산: UUP, 2012
12 전경원, "동서양의 하모니를 위한 창의학", 서울: 학문사, 2000
13 박인영, 전경원, "전경원의 창의성검사 논문 편람", 서울: 인싸이트, 2016
14 최인수, "유아의 창의적 특성과 교육적 시사", 미래유아교육학회, 미래유아교육학 회, 8(2), 103-129, 2001
15 정창덕, "창의성 기법 혹은 창의적 문제해결", 서울: 대선, 2010
16 김경숙, 전경원, "누리과정이 반영된 유아 창의성교육", 파주: 정민 사, 2015
17 김정원, 최은영, "유아 창의성 프로그램 관련 연구 분석", 한국육아지원학회, 육아지원연 구, 3(2), 51-74, 2008
18 이윤옥, "(누리과정에 기초한)영유아 창의성 교육", 신정, 서울: 신정, 2013
19 김보경, "사회적 창의성 중심의 사회과 수업 탐색",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사회과교육연구, 17(4), 57-70, 2010
20 윤치연, "한국 유아 사회성 기술검사 표준화 연구",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정서 행동장 애아연구, 24(2), 157-173, 2008
21 김누리, 성은현, "가정환경과 창의성과 학업성적과의 관계", 한국창의력교육학회, 창의력교 육연구, 11(1), 5-20, 2011
22 김 호, "유아의 창의성과 그 관련 변인에 관한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 미래유아교육 학회지, 13(1), 141-167, 2006
23 김희태, "자유선택활동에서의 유아들의 의사소통의 의미",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유아교육학 논집, 16(4), 303-326, 2012
24 신정숙, "교사를 위한 유아의사소통능력 측정척도의 개발",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덕성 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8
25 김호, 우수경, 박숙희,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따른 창의성의 변화 연 구", 열린교육연구, 20(1), 487-505, 2015
26 이혜인, "유아의 화용언어능력이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 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8
27 전경남, "창의적 사고 기법의 분류 체계에 관한 문헌 고찰", 한국영재교육학회, 영재와 영재교육, 10(3), 133-157, 2011
28 이용주 ( Yong Joo Lee ), 윤지영 ( Ji Young Yoon ), "유아의 의사소통능력이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열린유아교육연구, 9(3), 265-280, 2004
29 김정림, 임승렬, 남연정, "유아 의사소통능력 측정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유아교육학논집, 18(5), 53-77, 2014
30 송수희 ( Soo Hee Song ), "유아의 사회적 의사소통 기술 향상 프로그램의 효과", 영유아교육학회, 강원 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6
31 허정경, "자유놀이에서 유아의 갈등상황에 따른 의사소통 전략", 한국아동권리학회, 아동 과 권리, 14(2), 293-312, 2010
32 구광현, 김보현, "누리과정에 기초한 유아 창의성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열린유아교육연구, 18(5), 23-53, 2013
33 송용주, 천희영, 이미란, "3-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 활용의 창의 성 요소 분석", 한국보육지원학회, 11(1), 305-327, 2015
34 김현숙, "유아 창의성 교육 연구 동향 분석 -학위논문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7
35 김수향, 이은희,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사회성과 놀이성의 영향력 연구",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열린유아교육연구, 21(1), 593-612, 2016
36 배성옥, "5세 누리과정 교육과정과 교사용 지도서의 활동목표 분석", 경성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37 김호, "유아 창의성 교육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 및 지도실태",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교육논총, 32(1), 109-129, 2012
38 김영옥, 임귀자, "창의성기법을 활용한 유아과학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유아교육학논집, 16(1), 2012
39 나혜선, 황소영, 박찬옥, "유아의 언어, 인지, 사회․정서 발달과 문 제해결력의 관계",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구 중앙유아교육학회), 유아교육학논집, 15(1), 117-140, 2011
40 Kaufman, J. C., "Creativity 101. Springer Publishing Company. 김정희 역(2017). 창의성 101", 서울: 시그마프레스, 2016
41 박혜경, 유연옥, "CoRT 사고활동이 유아의 사회적 기술과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대한사고개발학회, 사고개발, 11(1). 1-17, 2015
42 우혜진, "유아의 사회적 합의 능력 증진 프로그램의 구성 및 적용 효과", 중앙대학교 대학원,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2
43 박인영, "창의성 기법의 적용실태와 문제점에 대한 효과적인 적용방안", 한국외국어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1
44 박화윤, 안라리, "만3,4,5세 유아의 연령별 사회적 능력과 정서 조절전 략의 관계", 한국유아교육학회, 유아교육연구, 26(4), 351-370, 2006
45 문수백, 임영심, 박은주, "영아의 어린이집 적응과 영아발달 변인들 간의 관계 구조분석", 열린유아교육연구, 17(4), 207-224, 2010
46 김누리, 조현서, 전경원, "유아 누리과정의 활동목표에 나타난 창의융 합 관련 요수분석", 영재와 영재교육, 14(1), 289-304, 2015
47 박정옥, "유아의 창의성 및 정서지능을 위한 브레인스토밍 활동의 효과", 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7
48 박희숙(Park Hee-Suk), 정미라(Chung, Mi Ra), "유아의 자아존중감 및 사회적 능력과 유치원 적응력 간의 관계", 한국유아교육·보육행정학회, 유아교육 보육복지연구, 14(4), 143-168, 2010
49 엄은나, "유아의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구성 및 적용효 과",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6
50 이소현, "장애 유아의 사회적 통합 촉진을 위한 사회-의사소통 능력 증진",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언어청각장애연구, 8(1), 300-325, 2003
51 이순진, "브레인스토밍 기법을 활용한 6-7세 유아 창작무용 프로그램 개발", 원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52 정상섭, "화법교육에서 사회적 의사소통 기술의 개념과 내용의 수용 방안",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8(2), 357-375, 2008
53 이경화, 정혜윤, "SCAMPER를 활용한 교사의 발문이 유아의 창의성 증진에 미치는 연구", 창의력교육연구, 17(1), 47-62, 2017
54 박선영, "쌓기 놀이에서 또래상호작용이 유아의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아주대학교, 아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55 김경숙, 홍혜경, "색다른 용도법을 활용한 표상활동이 유아의 창의성 에 미치는 효과", 창의력 교육연구, 12(2), 93-112, 2012
56 류선옥, "텃밭중심 집단탐구 활동이 유아의 사회성 및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동아대학교 대학원, 동아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9
57 강순미, "5세 누리과정 내실화를 위한 창의성 교육의 적용사례와 재구성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0(2), 31-51, 2013
58 이윤옥 ( Yeun Ok Lee ), "명화를 활용한 브레인스토밍 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효과",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열린유아교육연구, 9(3), 49-72, 2004
59 송규운, 조안나, "SCPMER 기법을 적용한 동화재구성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육아지원학회 학술대회지, 4, 199-201, 2014
60 임홍재, 황보영란, "SCAMPER기법을 이용한 교사의 질문이 유아의 창의성 증진에 미치는 영향", 부산유아교육학회, 유아교육논집, 16(2), 1-21, 2007
61 최미숙, "유아의 인지수준과 사회적 유능성이 대인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력", 한국유아교육학회, 유아교육연구, 31(6), 5-24, 2011
62 김선진, "유아의 창의 인성 함양을 위한 창의적 문제해결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성균관대학교,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
63 조서희, "정재은 브레인스토밍에 기초한 그리기표상활동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한국교육문제연구, 29(2), 231-256, 2011
64 이윤희, "누리과정의 유아 예술경험 활동이 창의성과 사회적 미술에 미치는 영향", 카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8
65 송규운, "5세 누리과정 교사용지도서의 활동목표에 나타난 창의성 관련 요소 분석",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4(1), 39-54, 2013
66 표현아, "누리과정에 대한 유치원과 어린이집 교사의 실행수준 및 장 애요인 차이",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67 서은주, "시네틱스 기법의 유추 유형에 따른 창의성 향상 미술교육 프로그램 연구",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68 이정아, "유아들의 사회적 상호작용에서 나타나는 의사소통에 대한 해석학적 이해", 중앙대학교 대학원,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7
69 차현정, "시네틱스 기법을 활용한 그리기 활동이유아의 미술 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6
70 황희정, "창의성 기법을 적용한 원예활동 프로그램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한국인간·식물·환경학회, 한국인간 식물 환경학회지. 14(3), 155-162, 2011
71 황지아, "SCAMPER기법 활용 스토리텔링 수학활동이 유아의 창의성 증진에 미치는 효과",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7
72 석사라, "창의성 기법을 활용한 이야기나누기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 에 미치는 영향",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73 양혜진, 이경화, "창의적 사고기법 활용 프로젝트 수업이 유아의 창의성 향상에 미치는 효과", 한국창의력교육학회, 창의력교육연구, 15(2), 33-47, 2015
74 장슬하, "유아의 공감능력과 창의성, 기초학습능력 및 적응기술 관계 및 영향력 분석", 유아교육학논집, 22(1), 321-345, 2018
75 나효숙, "창의적 사고 기법을 활용한 동화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 증 진에 미치는 효과", 계명대학교,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76 송수희, "유아의 공감능력과 학습관련 사회적 기술 및 사회적 의사소 통능력 간에 관계", 한국포괄영유아아동교육지원학회, 포괄영유아아동교육지원연구, 2(2), 1-20, 2014
77 이유진, "유아교사의 배려와 의사소통능력이 유아교육기관 내 대인관 계에 미치는 영향", 삼육대학교 대학원, 삼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78 김유리, "창의적 사고기법을 통한 표현력 향상에 관한 연구 : 브레인 스토밍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79 신수경, "놀이유 형에 나타난 유아의 의사소통전략과 사회적 행동 및 문제해결 능력 분석",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8
80 고민영, "애니메이션 비디오 감상을 활용한 스캠퍼 기법이 유아의 창 의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81 전동석, "창의성 계발기법을 활용한 전래동화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 신 장에 미치는 효과",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0
82 임현주, 최선녀, "기질(사회성) 및 가정환경과 또래와의 상호작용이 유아의 창 의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교육학회, 유아교육연구, 35(4). 339-355, 2015
83 이진희, 손수연,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의 활동목표 및 활동방법에 나타난 창의성 관련 요소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교육과학연구, 47(1), 1-25, 2016
84 김정연 ( Chung Yun Kim ), 이경화 ( Kyung Hwa Lee ), "창의사고기법 활용 프로그램이 유아의 창의적 능력 및 창의적 성격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구 중앙유아교육학회),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2), 299-321, 2016
85 권정윤, 황인주, "유아를 위한 비폭력 의사소통 프로그램이 또래 유능 성과 공감 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유아교육학회, 유아교육논집, 33(1), 361-387, 2013
86 권유선 ( Yu Seon Kwon ), 최혜진 ( Hye Jin Choi ), "창의성 기법을 적용한 유아 예술프로그램이 유아의 창의성과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구 중앙유아교육학회), 유아교육학논집, 17(3), 55-78, 2013
87 이재창(Lee Jae Chang), 김기은(Kim Ki Eun), 홍후조(Hong Hoo Jo),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5개 영역 및 교사용 지도서 생활주제 간의 관계성에 대한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학습자중심교과교육 연구, 17(4), 255-274, 2017
88 이정인, 장영숙, "SCAMPER 기법을 활용한 이야기 나누기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과 언어능력에 미치는 영향", 열린부모교육학회, 열린부모교육연구, 9(4), 347-366, 2017
89 서옥주, "유치원 누리교육과정 의사소통 영역과 2009개정 초등 1학년 국어교 육과정 연계성 분석",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90 진연선, "학령기 아동의 사회적 의사소통 능력 : 화용언어장애, 고기 능자폐장애, 단순언어장애", 한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2
91 차영숙, "공유활동을 통한 또래간 상호작용의 경험이 유아의 협력적 문제 해결력에 미치는 효과", 高神大學校 兒童硏究所, 아동연구, 10, 108-124, 2001
92 김은영, "교사가 지각한 유아의 기질, 또래 유능성, 자기조절능력이 유 아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관동대학교, 가톨릭관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 문, 2015
93 김희정, 허수윤, 서현아, "유아의 창의적 문제해결력 증진을 위한 트 리즈 프로그램 개발 - 누리과정을 중심으로 -", 한국창의력교육학회, 창의력교육연구, 15(2), 1-16, 2015
94 김영희, 이순원, 문정숙, "어머니의 언어통제 유형과 유아의 정서조절 능력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 미래유아교육학회 지, 19(1), 283-305, 2012
95 박수진, "창의적 사고기법을 활용 유아 프로그램이 유아의 창의성 및 창의적 리더십에 미치는 효과",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 문, 2016
96 김민진, 진주희, "그림책을 활용한 화법교육활동이 유아의 또래 상호 작용 능력과 자기조절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육문제연구, 34(1), 155-177, 2014
97 신세례, "사회적 창의성 신장을 위한 디자인 통합교육 프로그램 계발 : 초등학교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대학원 박사 학위논문, 2013
98 김상림(Kim SangLim), 박창현(Park ChangHyun), "유아의 인지 및 사회성 발달과 가정환경 및 유아-교사상호작용이 유아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창의력교육학회, 창의력교육연구, 17(1), 111-128, 2017
99 이경화, 이유진, "'Cre-Up 유아 창의프로그램의 프로젝트 활동이 유 아의 언어 및 도형 창의성 향상에 미치는 효과", 영재와 영재교육, 16(3), 5-22, 2017
100 이윤옥 ( Yeun Ok Lee ), "동화를 활용한 창의적 사고기법 연계 감정코칭 문제해결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구 중앙유아교육학회), 유아교육학논집, 18(6), 363-381, 2014
101 이지현, 전홍주, "박은혜 3,4세 유치원교육과정, 5세 누리과정, 초등 1학년 교육과정 언어교육내용의 연계성 분석", 유아교육학논집, 16(4), 253-279, 2012
102 배공민, 황희숙, "육색사고모 기법을 활용한 이야기나누기 활동이 유 아의 창의성 및 언어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인지발달중재학회, 인지발달중재학회지, 6(1), 19-33, 2015
103 천미애, 황희숙, "SCAMPER 기법을 활용한 창의성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 및 가상적 내러티브 구성능력에 미치는 효과", 인지발달중재학회, 인지발달중 재학회지, 6(3), 23-37, 2015
104 조인영, "여섯색깔사고모자 기법을 활용한 그림책 중심의 배려교육이 유아의 배려적 사고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한국유아교육연구, 18(1), 83-110, 2016
105 윤나라, "비디오재방문(Video Revisiting) 경험이 유아의 마음 이론 발달과 사회적 의사소통 전략에 미치는 효과",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덕성여자대학교 대학 원 석사학위논문, 2008
106 김영선, 이숙, "아동의 사회인구학적 변인과 어머니의 양육태도 및 아 동의 자기조절능력이 사회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학회, 유아교육학 논집, 36(1), 163-185, 2015
107 류은주, 황희숙, "육색사고모자기법을 활용한 명화감상 활동이 유아 의 창의성, 언어 표현력 및 미술 감상능력에 미치는 효과", 미래유 아교육학회지. 19(1), 435-459, 2012
108 전경남, 전경원, "유아교육에서 창의성 개발 방안 : 교사들에게 행복 한 창의성 교육.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추계학술대회 자료집, 27-41", 전북: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0
109 Martin, L. M. S., "Think It-Say It : Improving reasoning and organization skills. Communication Skill Builders. 신문자 역 (2004). 내 생각 말하기 : 논리적 언어능력 기르기", 서울: 도서출판 특수교육, 19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