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유아놀이 기반 노인 치매예방통합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651203

      • 저자
      • 발행사항

        제주 : 제주대학교, 2020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박사) -- 제주대학교 대학원 , 교육학과 , 2020. 8

      • 발행연도

        2020

      • 작성언어

        한국어

      • KDC

        338.6 판사항(6)

      • 발행국(도시)

        제주특별자치도

      • 기타서명

        Development and Effects of Child Play-based Elderly Dementia Prevention Integration Program

      • 형태사항

        ix,191p : 삽화 ; 30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박 정 환
        참고문헌 : p.137-149

      • UCI식별코드

        I804:49002-000000009687

      • 소장기관
        • 제주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integrated dementia prevention program based on child play for the elderly to prevent dementia and to verify its effectiveness. The research questions set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Research Question 1. How to construct an integrated dementia prevention program for children based on child play? Research Question 2. What is the effect of the integrated dementia prevention program for the elderly based on child play? Hypothesis 2-1. The cognitive function of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ing the child dementia prevention integrated program based on child play will b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of the control group. Hypothesis 2-2. The mental health of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ing the child dementia-based elderly dementia prevention integrated program will b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of the control group. Hypothesis 2-3. The daily living performance of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ing the child dementia prevention integrated program based on child play will b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of the control group. In relation to Research Question 1, the program development process is based on the ADDIE model, based on the literature and prior research analysis, learner questionnaire, expert Delphi survey, and FGI demand analysis. The program was developed according to the procedure of. In the analysis phase, the goal of the integrated dementia prevention program for the elderly based on child play was set by analyzing the literature and prior studies related to finding the direction of research and deriving implications according to requirements. In the design phase, the targets were established for each session of the dementia prevention integration program by reflecting the extracted elements of the analysis phase, and sub-components for the goals were set for each session. In the development stage, teaching materials were selected to achieve the goals of the program, and the suitability was verified for the detailed activities and contents of the program based on the target statement for each activity. The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is based on the child play-based elderly dementia prevention integration program, and is a total of 8 sessions of 60 minutes per session. In addition, preliminary research was conducted as a step to modify and supplement the program. The final dementia used to determine the difference in the amount of change in pre- and post-test results by independent sample t-test analysis and covariate analysis. As a result of analysis, the cognitive function of the elderly in the experimental group was maintained or improved by the child play-based elderly dementia prevention integrated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and mental health and daily living performance were also improved. Even in the results of qualitative analysis through participation observation and experience report, testimony, and satisfaction survey for the entire contents of each session or program, the elderly in the experimental group activate cognitive function through movement, create vital energy of mental health, and perform daily life for mental and physical health Through the analysis of meanings such as improvement, it was found that the social perception of dementia was changed and the results were positive for healthy aging and quality of life. The child play-based elderly dementia prevention integrated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was systematically and logically verified in the program development process, and it was proved from an empirical point of view that it is a program that helps elderly aged 65 and older to prevent dementia. Therefore, the elderly will participate in the dementia prevention integration program to contribute to the prevention of dementia by positively utilizing leisure time such as maintaining mental health, providing continuous services, and interests with familie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integrated dementia prevention program based on child play for the elderly to prevent dementia and to verify its effectiveness. The research questions set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integrated dementia prevention program based on child play for the elderly to prevent dementia and to verify its effectiveness. The research questions set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Research Question 1. How to construct an integrated dementia prevention program for children based on child play? Research Question 2. What is the effect of the integrated dementia prevention program for the elderly based on child play? Hypothesis 2-1. The cognitive function of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ing the child dementia prevention integrated program based on child play will b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of the control group. Hypothesis 2-2. The mental health of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ing the child dementia-based elderly dementia prevention integrated program will b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of the control group. Hypothesis 2-3. The daily living performance of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ing the child dementia prevention integrated program based on child play will b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of the control group. In relation to Research Question 1, the program development process is based on the ADDIE model, based on the literature and prior research analysis, learner questionnaire, expert Delphi survey, and FGI demand analysis. The program was developed according to the procedure of. In the analysis phase, the goal of the integrated dementia prevention program for the elderly based on child play was set by analyzing the literature and prior studies related to finding the direction of research and deriving implications according to requirements. In the design phase, the targets were established for each session of the dementia prevention integration program by reflecting the extracted elements of the analysis phase, and sub-components for the goals were set for each session. In the development stage, teaching materials were selected to achieve the goals of the program, and the suitability was verified for the detailed activities and contents of the program based on the target statement for each activity. The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is based on the child play-based elderly dementia prevention integration program, and is a total of 8 sessions of 60 minutes per session. In addition, preliminary research was conducted as a step to modify and supplement the program. The final dementia used to determine the difference in the amount of change in pre- and post-test results by independent sample t-test analysis and covariate analysis. As a result of analysis, the cognitive function of the elderly in the experimental group was maintained or improved by the child play-based elderly dementia prevention integrated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and mental health and daily living performance were also improved. Even in the results of qualitative analysis through participation observation and experience report, testimony, and satisfaction survey for the entire contents of each session or program, the elderly in the experimental group activate cognitive function through movement, create vital energy of mental health, and perform daily life for mental and physical health Through the analysis of meanings such as improvement, it was found that the social perception of dementia was changed and the results were positive for healthy aging and quality of life. The child play-based elderly dementia prevention integrated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was systematically and logically verified in the program development process, and it was proved from an empirical point of view that it is a program that helps elderly aged 65 and older to prevent dementia. Therefore, the elderly will participate in the dementia prevention integration program to contribute to the prevention of dementia by positively utilizing leisure time such as maintaining mental health, providing continuous services, and interests with famili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문제 6
      • 3. 용어의 정의 7
      • Ⅱ. 이론적 배경 9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문제 6
      • 3. 용어의 정의 7
      • Ⅱ. 이론적 배경 9
      • 1. 노인의 노화와 치매 9
      • 가. 노인의 노화 9
      • 나. 치매와 치매예방 12
      • 2. 유아놀이와 노인치매예방 20
      • 가. 유아놀이 20
      • 나. 유아놀이와 노인치매예방 26
      • 3. 치매예방프로그램 34
      • 가. 프로그램 개발 모형 분석 34
      • 나. 치매예방프로그램 선행연구 42
      • 다. 치매예방프로그램의 구성 요소 50
      • Ⅲ. 연구방법 51
      • 1. 프로그램 개발 51
      • 2. 프로그램 효과 검증 57
      • 가. 연구대상 57
      • 나. 연구도구 62
      • 다. 실험도구 64
      • 라. 실험절차 65
      • 마. 자료 처리 및 효과 분석 68
      • Ⅳ. 연구결과 및 해석 71
      • 1. 유아놀이 기반 노인 치매예방통합프로그램 개발 71
      • 2. 유아놀이 기반 노인 치매예방통합프로그램 효과 103
      • 가. 양적 분석 결과 103
      • 나. 질적 분석 결과 110
      • Ⅴ. 논의 127
      • 1. 유아놀이 기반 노인 치매예방통합프로그램 개발 127
      • 2. 유아놀이 기반 노인 치매예방통합프로그램 효과 129
      • Ⅵ. 결론 및 제언 134
      • 참고문헌 137
      • Abstract 150
      • 부 록 154
      • 부록 1. 기관생명윤리위원회 결과통지서 154
      • 부록 2. 면접 참여 동의서(전문가용) 155
      • 부록 3. 유아놀이 기반 노인 치매예방통합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면접 설문지(전문가용)
      • 156
      • 부록 4. 면접 참여 동의서(노인용) 159
      • 부록 5. 유아놀이 기반 노인 치매예방통합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면접 설문지(노인용)
      • 160
      • 부록 6. 유아놀이 기반 노인 치매예방통합프로그램 내용적합도 검증을 위한 설문지
      • (전문가용) 164
      • 부록 7. 인지기능 척도 간이 정신진단검사(MMSE-K) 도구 173
      • 부록 8. 정신적 건강 측정도구 174
      • 부록 9. 일상생활 정도 측정도구 175
      • 부록 10. 유아놀이 기반 노인 치매예방통합프로그램 176
      • 부록 11. 유아놀이 기반 노인 치매예방통합프로그램 워크북 184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서병숙, "노인연구", 서울: 교문사, 1996

      2 김나림, 함은숙, 이영희, 심성경, 변길희, 백영애, 박지애, "놀이지도", 서울: 공동체, 2010

      3 김미숙, 여익구, 박희숙, 김진숙, "노인교육론", 서울: 공동체, 2018

      4 이병록, "노인복지론", 서울: 공동체, 2017

      5 장인협, 최성재, "노인복지학",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2006

      6 홍숙자, "노년학 개론", 서울: 하우, 2006

      7 고성희, 홍정민, 최영희, 신경림, 김옥수, 김건희, 공은숙, "노인과 건강", 서 울: 현문사, 2014

      8 오응석, 이애영, "경도인지장애", 대한신경과학회지, 34(3), 167-175, 2016

      9 박찬옥, "유아놀이지도", 서울: 학문사, 2004

      10 강홍조, 최의현, 민성길, 김도훈, 김경희, 기선완, 고경봉, "최신정신의학", 서울: 일조각, 2015

      1 서병숙, "노인연구", 서울: 교문사, 1996

      2 김나림, 함은숙, 이영희, 심성경, 변길희, 백영애, 박지애, "놀이지도", 서울: 공동체, 2010

      3 김미숙, 여익구, 박희숙, 김진숙, "노인교육론", 서울: 공동체, 2018

      4 이병록, "노인복지론", 서울: 공동체, 2017

      5 장인협, 최성재, "노인복지학",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2006

      6 홍숙자, "노년학 개론", 서울: 하우, 2006

      7 고성희, 홍정민, 최영희, 신경림, 김옥수, 김건희, 공은숙, "노인과 건강", 서 울: 현문사, 2014

      8 오응석, 이애영, "경도인지장애", 대한신경과학회지, 34(3), 167-175, 2016

      9 박찬옥, "유아놀이지도", 서울: 학문사, 2004

      10 강홍조, 최의현, 민성길, 김도훈, 김경희, 기선완, 고경봉, "최신정신의학", 서울: 일조각, 2015

      11 고미영, "질적 사례연구", 서울: 창목출판사, 2013

      12 최영희, "『노인과 건강』", 서울: 현문사, 2000

      13 권석만, 민병배, "노년기 정신장애", 서울: 학지사, 2000

      14 조채영, 하정연, 좌승화, "영유아 놀이지도", 서울: 공동체, 2015

      15 윤진, "성인, 노인 심리학", 서울: 중앙적성출판사, 2003

      16 한은숙, "영유아 발달과 교육", 서울: 정민사, 2001

      17 김도관, "치매의 증상과 치료", 노인병학회, 3(3), 37-60, 1999

      18 김영환, 홍상황, 임영란, 오상우, 김지혜, "성격평가 질문지(PAI)", 서울:학 지심리검사연구소, 2001

      19 정옥분, "「성인노인 심리학」", 서울: 학지사, 2008

      20 최상수, "한국민속놀이의 연구", 서울:성 문각, 1985

      21 김상윤, 홍윤정, 한일우, 양현덕, 양영순, 박문호, 나해리, 김정은, "일상생 활능력과 치매", 대한치매학회지, 11(2), 29-37, 2012

      22 김대란, 조명옥, 이지원, 이영휘, 안도환, 신성례, 서순림, 김옥수, 김영경, 김명애, "노인병태생리학(제3판)", 서울: 현문사, 2007

      23 김정란, 홍귀령, 정원미, 윤종철, 송준아, 박명화, "치매전문교육 기본교재", 보건복지부 중앙치매센터 국민건강보험공단, 2015

      24 김소양, 현정희, 조연실, "Ncs 기반 영유아놀이지도", 서울: 공동체, 2016

      25 김귀분, "노인간호학 이론과 실제", 서울: 현문사, 2004

      26 김영천, "질적연구방법론Ⅰ(제4판)", 서울: 문음사, 2010

      27 이숙재, "영 유아놀이의 이론과 실제", 서울: 창지사, 2017

      28 이숙재, "아동의 관점에서 본 놀이 개념", 교육연구, 27, 31-41, 1992

      29 김용옥, 김형섭, "치매의 재활치료 및 비약물치료", 대한노인재활의학회, 4, 29-35, 2014

      30 이신동, 조형정, 정종원, 장선영, "알기 쉬운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서울: 양서원, 2012

      31 양인덕, 양현덕, "치매(인지증)이야기 역사와 현실", 서울: 브레인와이즈, 2016

      32 김경철, 홍정선, "뇌과학에 기초한 유아 놀이의 이해", 한국교원대학교 교 육연구원 교원교육, 22(4), 21-46, 2006

      33 박상하, 주애란, "농촌노인의 인지기능과 우울의 관계", 노인간호학회지, 6(1), 27-37, 2004

      34 김영환, 오상우, 염태호, 신동균, 노명래, 김중술, 김재환, "다면적 인성검 사(MMPI). 한국가이던스", 서울: 임상심리학회, 1988

      35 김유미, "뇌 발달 접근에서 본 유아교육의 방향", 유아교육연구, 26(4), 31-49, 2006

      36 방은령, "놀이의 의미와 치료 및 성장을 위한 활용", 한국놀이치료학회지, 12(4), 1-17, 2009

      37 유승호, "치매의 약물치료-치매전문교육 강의자료", 한국치매협회, 2014

      38 이경우, 이은화, "한국어린이의 전통놀이에 관한 연구조사", 서울: 이화여 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1987

      39 박희현, "송민선.내용분석을 통한 노인의 놀이 특성", 인간발달연구, 17(2), 37-50, 2010

      40 Caillois, R., "놀이와 인간.(이상률 역). 서울: 문예출판사", (원서출판 1958 년), 1994

      41 지혜련, "아동 놀이 이론의 통합을 위한 개념적 접근", 생활과학논집, 6, 23-45, 1992

      42 고보숙, 양수경, 박정환, "노인 대상 치매예방프로그램 국내 연구동향", 한 국산학기술학회, 20(1), 131-143, 2019

      43 최병찬, "여가활동이 노인성 치매예방에 미치는 효과", 88서울올림픽기념 국제스포츠과학학술대회, 2000(12), 1477-1487, 2000

      44 박종한, "연령증가에 따른 노인 인지기능의 감퇴 양상", 대한신경학회지, 9(3), 210-214, 2005

      45 홍미선, "하이브리드 코칭 시스템 설계. 박사학위논문", 제주대학교 대학 원, 2017

      46 정여주, "노인미술치료 프로그램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한국노년학, 25(1), 73-86, 2005

      47 양옥승, "이정란, 나은숙.유아의 관점에서 본 자유놀이", 열린유아교육연 구, 7(1), 143-165, 2002

      48 김정화, 원정숙, "노인의 인지기능과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정신간 호학회지, 12(2), 148-154, 2003

      49 서현숙, "놀이 개념의 분석과 교육적 가치. 박사학위논문", 계명대학교 대 학원, 2007

      50 이종길, "사회체육활동과 생활만족의 관계.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 학원, 1992

      51 신유림, "유아의 상상놀이에서 부정적 정서표현에 대한 연구", 아동학회 지, 21(3), 133-142, 2000

      52 송미순, "노인의 생활기능상태 예측모형 구축. 박사학위 논문", 서울대학 교 대학원, 1991

      53 김희연, "유아기 놀이 행동에 있어서의 정서표현에 관한 연구", 유아교육연 구, 21(2), 319-340, 2001

      54 장숙희, "치매예방프로그램의 효과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조선대학 교 대학원, 2007

      55 김겸섭, "놀이학의 선구자, 호이징하와 까이와의 놀이담론 연구", 인문연구, 54, 147-190, 2008

      56 Russell, P., "인간의 두뇌 [The brain book]. (김유미 역). 서울: 교육과학 사", (원서출판 1979), 1996

      57 노은호, 홍성미, "인간의 뇌기능에 기초한 유아 놀이지도 전략에 관한 연 구", 論文集, 18(1), 61-79, 1996

      58 김남초, 한숙원, 유양숙, "치매노인에게 시청각 자극을 병행한 회상요법의 적용효과", 한국간호간학회, 30(1), 98-109, 1999

      59 박정환, 양수경, "부은순, 고보숙, 박지은, 김두리.실버에듀프로그램 브라 보", 서울: EK, 2018

      60 이순형, "호모루덴스의 전생애 관점에서 본 놀이의 기능과 의미변화", 한국 인간발달학회 학술심포지엄 자료집, 3-15, 2009

      61 이종호, "치매예방용 체감형 게임장치 및 콘텐츠 개발. 박사학위논문", 공 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62 양한연, "경증치매 노인대상의 집단미술치료 사례연구. 석사학위논문", 명 지대학교, 2006

      63 김영희, "아동의 놀이성 군확인과 관련 변인 탐색 연구. 박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1995

      64 장정미, "재가 노인의 낙상과 삶의 질에 관한 구조모형. 박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대학원, 2005

      65 곽재효, "ADDIE 교수설계모형 기반 교육용 프로그램 개발. 석사학위논 문",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66 손신영, "농촌노인과 도시 노인의 삶의 질과 관련요인에 대한 비교연구", 한국노년학, 26(3), 601-615, 2009

      67 박근홍, "립-모션을 활용한 치매예방 컨텐츠 설계 및 구현. 석사학위논 문",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2017

      68 정순근, "민속놀이가 아동의 체력발달과 운동 태도의 변용에 미치는 영향", 학교체육연구논문집, 1984(1), 75-144, 1984

      69 김기현, 전승규, "치매 예방을 위한 디지털 놀이 콘텐츠 사례 및 효과에 대한 연구", 한국디자인포럼, 17, 277-286, 2007

      70 김연수, "고령화 사회에서 노인건강과 스포츠 활동의 관계. 박사학위논 문", 원광대학교 대학원, 2003

      71 신혜원, "노인놀이치료의 통합적 콘텐츠 개발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 문",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9

      72 정진화, "노래를 활용한 유아 극놀이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박사학위논 문",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7

      73 김영주, "농촌 노인의 우울에 대한 사회적 지지의 완충효과. 석사학위논 문", 전북대학교 대학원, 2007

      74 손연희, "노인을 위한 치매예방프로그램의 효과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 논문", 조선대학교 보건대학원, 2013

      75 정재삼, "교육프로그램 개발 모형의 분석: 프로그램 평가를 위한 시사점 논의", 교육과학연구저널, 2(2), 80-97, 1998

      76 Shore, R., "유아의 두뇌발달[Rethinking the brain]. (곽노의, 김유미 역). 서울: 양서원", (원서출판 1997), 2001

      77 이지택, "노인을 위한 치매예방 프로그램의 효과성에 대한 연구. 석사학 위논문", 서울신학대학교 대학원, 2011

      78 이주현, "치매예방을 위한 색채놀이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석사학 위논문", 홍익대학교 문화정보정책대학원, 2015

      79 김예진, "요양 시설 내 중증 치매노인의 집단미술치료 사례 연구. 석사 학위논문", 차의과학대학교 미술치료대학원, 2018

      80 Huizinga, J., "호모 루덴스:놀이와 문화에 관한 연구. 김윤수(역). 서울: 도서출판 까치", (원서출판 1955년), 1981

      81 김은경, "ADDIE 모형 기반의 감정노동 대처 교육 프로그램 개발 사례.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글로벌 인적자원 개발대학원, 2017

      82 송후승, "후기노인을 위한 치매에방 통합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박사 학위논문", 고신대학교 대학원, 2017

      83 신은삼, "노화 관련 뇌인지 변화와 운동의 긍정적 영향: 인지신경과학적 연구 개관", 한국인지과학회, 24(1), 1-23, 2013

      84 김상윤, "유아용 칠교놀이프로그램이 노인들의 인지발달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아동연구, 15, 71-82, 2006

      85 강향숙, 양경희, 박미영, "지역사회노인의 인지기능과 정서수준에 대한 치 매예방통합프로그램의 효과", 한국자료분석학회, 19(4), 1229-2354, 2017

      86 김정연, 이성국, 이석구, "노인에서 건강형태, 건강수준, 일상생활수행능력, 건강관련 삶의 질과의 관계", 한국노년학회지, 30(2), 471-484, 2010

      87 신혜원, 정순둘, "초기치매의심노인을 위한 통합적 노인놀이치료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평가", 놀이치료연구, 19(3), 95-109, 2015

      88 정수민, "오르프 교수법을 활용한 치매예방 노인 통합무용프로그램 개 발.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5

      89 김혜숙, "전래놀이를 활용한 유아 자기조절력 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박사학위논문", 가천대학교 대학원, 2018

      90 김주영, "노인성 치매방과 우울증 감소의 활용 : 음악치료(민요)를 중심 으로. 석사학위논문", 동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15

      91 김성현, "인지놀이에 기반한 유아 정서 사회적 유능감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박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5

      92 전남희, "노인 대상 치매예방 놀이 프로그램의 효과성 검증을 위한 사 례 연구. 박사학위논문", 경기대학교 대학원, 2018

      93 김신미, 이윤정, "신체적 활동프로그램이 치매노인의 인지기능 및 일상생 활 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노년학, 23(4), 17-31, 2003

      94 박보람, "노인의료복지시설에 입소한 경증치매노인의 집단미술치료 체 험연구. 석사학위논문",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2018

      95 김창미, "경도인지장애 노인을 위한 자연친화적 통합프로그램 개발과 효과 분석. 박사학위논문", 선문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96 이종영, "노인의 여가활동 참가가 성공적 노화를 위한 사회심리적 인지메 커니즘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44(3), 167-183, 2005

      97 황인담, "독서요법이 경증치매노인의 인지력과 우울증 및 사회성에 미 치는 효과. 박사학위논문", 계명대학교 대학원, 2009

      98 이은희, "사회극놀이 프로그램이 유아의 마음 이론과 사회적 행동에 미 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2011

      99 송미숙, 한영란, 임지영, "재가 노인을 위한 집단인지기능향상프로그램이 인지기능, 우울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한국간호과학회, 40(5), 724-735, 2010

      100 유수정, "고혈압 노인에서 복식호흡 이완훈련과 자가간호 교육이 혈압 에 미치는 효과.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0

      101 권영철, 박종한, "노인용 한국판 Mini-Mental State Examination(MMSE -K)의 표준화 연구: 제2편, 구분점 및 진단적 타당도", 신경정신의학, 28(3), 508-513, 1989

      102 김정순, 정정심, "민속놀이 프로그램이 치매노인의 인지기능, 일상생활 수 행능력 및 문제행동에 미치는 효과", 한국간호과학회, 35(6), 1153-1162, 2005

      103 김문영, "인지-행동적 집단상담과 지지적 집단상담이 노인의 정신건강 에 미치는 효과. 박사학위논문", 계명대학교 대학원, 2003

      104 김현주, "요가치료프로그램과 댄스스포츠프로그램이 치매고위험군의 인지 기능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 예술심리치료연구, 7(4), 125-148, 2011

      105 선정주, "치매예방프로그램이 여성독거노인의 인지기능, 우울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박사학위논문",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2

      106 이승진, "노인 치매예방을 위한 요리심리치료 프로그램 선택에 관한 연 구 : Q방법론 적용. 석사학위논문", 경기대학교 대학원, 2015

      107 김나라, 이병희, 박준수, "신체활동 프로그램이 치매노인의 인지, 신체적 수행능력, 보행, 삶의 질 및 우울에 미치는 효과",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50(2), 307-328, 2011

      108 유장학, 추수경, 이정렬, "인지행동 프로그램이 인지기능저하 노인의 인지 기능, 우울, 일상생활 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간호과학회, 37(7), 1049-1060, 2007

      109 이현민, "노인성 치매 미술치료프로그램 적용사례 연구: S 복지센터의 치매 노인 대상으로.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110 유애리, "치매예방통합 프로그램이 노인의 인지기능과 우울 및 자아존 중감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가천대학교 보건대학원, 2013

      111 김년준, "집단운동프로그램이 치매노인이 인지기능과 일상생활동작 및 우울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용인대학교 대학원, 2008

      112 이춘지, 최연희, "레크리에이션병합 체조프로그램이 후기 여성노인의 체력, 우울, 인지기능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한국간호과학회, 42(6), 843-852, 2012

      113 홍유정, "플립러닝을 적용한 중학교 체육 교수-학습지도안 개발 및 적 용 : ADDIE 모형을 기반으로.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114 정성훈, "마음챙김 인지치료에 기반한 치매노인 가족 수발자의 행복증 진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박사학위논문", 경성대학교 대학원, 2019

      115 박남희, 이윤미, "치매예방 통합프로그램이 경증인지 장애노인의 인지기능, 우울, 자아존중감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성인간호학회지, 19(5), 787-796, 2007

      116 정정심, "민속놀이 프로그램이 치매노인의 인지기능, 일상생활수행능력 및 문제행동에 미치는 효과. 박사학위논문",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4

      117 정재삼, "교수설계(ID)와 교수체제개발(ISD)의 최근 경향과 논쟁: 21세 기를 대비하는 교수공학의 지식기반 구축을 위하여", 서울: 학지사, 1996

      118 신미경, 신수진, "체력에 따른 그룹별 맞춤형 운동 프로그램이 노인의 지각된 건강 상태, 체력, 우울 및 인지기능에 미치는 효과", 성인간호학회지, 20(4), 613-625, 2008

      119 임선옥, 조현미, "치매예방프로그램이 지역사회 노인의 치매지식, 우울, 인 지기능에 미치는 효과(시카고 한인노인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 지, 17(5), 182-191, 2017

      120 양은혜, "치매에방 통합운동 프로그램이 노인여성의 인지기능, 건강체력 및 심장?뇌혈관계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논문",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121 최정화, "ADDIE모형 기반 멀티미디어 활용 안전교육이 유아의 안전교 육 지식과 안전교육 태도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동아대학교 교육 대학원, 2017

      122 남지영, "악기중심의 음악 치매예방프로그램이 일반노인에게 미치는 영 향 : 인지기능, 우울, 생활만족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평택대학교 대 학원, 2017

      123 박수정, 최경규, 윤지영, 박종섭, "치매예방 프로그램이 지역사회 비치매 여성노인의 인지기능, 우울, 신체기능에 미치는 효과: 경로당 이용 대상 중 심으로", 대한작업치료학회지, 23(3), 79-96, 2015

      124 함민주, 황윤희, "엄숙, 오은전, 전병진, 박헌경, 김도훈.전산화 인지프로그 램이 치매노인의 수단적 일상생활활동 능력에 미치는 영향 : 사전연구", 대 한보조공학기술학회지, 2(2), 41-49, 2010

      125 김기현, "치매 예방을 위한 메디케인먼트 콘텐츠의 개념과 적용 발전 가능성에 대한 연구 : 뉴실버 세대를 위한 디지털놀이콘텐츠를 중심으 로. 박사학위논문", 국민대학교 대학원, 2010

      126 강선영, "ADDIE 교수설계모형에 따른 대학생의 창의적 연구 역량강화 프로그램 개발. 석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경제정보센터. (2015. 1. 6). https://eiec.kdi.re.kr에서 2015. 1", 6 인출, 201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