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서병숙, "노인연구", 서울: 교문사, 1996
2 김나림, 함은숙, 이영희, 심성경, 변길희, 백영애, 박지애, "놀이지도", 서울: 공동체, 2010
3 김미숙, 여익구, 박희숙, 김진숙, "노인교육론", 서울: 공동체, 2018
4 이병록, "노인복지론", 서울: 공동체, 2017
5 장인협, 최성재, "노인복지학",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2006
6 홍숙자, "노년학 개론", 서울: 하우, 2006
7 고성희, 홍정민, 최영희, 신경림, 김옥수, 김건희, 공은숙, "노인과 건강", 서 울: 현문사, 2014
8 오응석, 이애영, "경도인지장애", 대한신경과학회지, 34(3), 167-175, 2016
9 박찬옥, "유아놀이지도", 서울: 학문사, 2004
10 강홍조, 최의현, 민성길, 김도훈, 김경희, 기선완, 고경봉, "최신정신의학", 서울: 일조각, 2015
11 고미영, "질적 사례연구", 서울: 창목출판사, 2013
12 최영희, "『노인과 건강』", 서울: 현문사, 2000
13 권석만, 민병배, "노년기 정신장애", 서울: 학지사, 2000
14 조채영, 하정연, 좌승화, "영유아 놀이지도", 서울: 공동체, 2015
15 윤진, "성인, 노인 심리학", 서울: 중앙적성출판사, 2003
16 한은숙, "영유아 발달과 교육", 서울: 정민사, 2001
17 김도관, "치매의 증상과 치료", 노인병학회, 3(3), 37-60, 1999
18 김영환, 홍상황, 임영란, 오상우, 김지혜, "성격평가 질문지(PAI)", 서울:학 지심리검사연구소, 2001
19 정옥분, "「성인노인 심리학」", 서울: 학지사, 2008
20 최상수, "한국민속놀이의 연구", 서울:성 문각, 1985
21 김상윤, 홍윤정, 한일우, 양현덕, 양영순, 박문호, 나해리, 김정은, "일상생 활능력과 치매", 대한치매학회지, 11(2), 29-37, 2012
22 김대란, 조명옥, 이지원, 이영휘, 안도환, 신성례, 서순림, 김옥수, 김영경, 김명애, "노인병태생리학(제3판)", 서울: 현문사, 2007
23 김정란, 홍귀령, 정원미, 윤종철, 송준아, 박명화, "치매전문교육 기본교재", 보건복지부 중앙치매센터 국민건강보험공단, 2015
24 김소양, 현정희, 조연실, "Ncs 기반 영유아놀이지도", 서울: 공동체, 2016
25 김귀분, "노인간호학 이론과 실제", 서울: 현문사, 2004
26 김영천, "질적연구방법론Ⅰ(제4판)", 서울: 문음사, 2010
27 이숙재, "영 유아놀이의 이론과 실제", 서울: 창지사, 2017
28 이숙재, "아동의 관점에서 본 놀이 개념", 교육연구, 27, 31-41, 1992
29 김용옥, 김형섭, "치매의 재활치료 및 비약물치료", 대한노인재활의학회, 4, 29-35, 2014
30 이신동, 조형정, 정종원, 장선영, "알기 쉬운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서울: 양서원, 2012
31 양인덕, 양현덕, "치매(인지증)이야기 역사와 현실", 서울: 브레인와이즈, 2016
32 김경철, 홍정선, "뇌과학에 기초한 유아 놀이의 이해", 한국교원대학교 교 육연구원 교원교육, 22(4), 21-46, 2006
33 박상하, 주애란, "농촌노인의 인지기능과 우울의 관계", 노인간호학회지, 6(1), 27-37, 2004
34 김영환, 오상우, 염태호, 신동균, 노명래, 김중술, 김재환, "다면적 인성검 사(MMPI). 한국가이던스", 서울: 임상심리학회, 1988
35 김유미, "뇌 발달 접근에서 본 유아교육의 방향", 유아교육연구, 26(4), 31-49, 2006
36 방은령, "놀이의 의미와 치료 및 성장을 위한 활용", 한국놀이치료학회지, 12(4), 1-17, 2009
37 유승호, "치매의 약물치료-치매전문교육 강의자료", 한국치매협회, 2014
38 이경우, 이은화, "한국어린이의 전통놀이에 관한 연구조사", 서울: 이화여 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1987
39 박희현, "송민선.내용분석을 통한 노인의 놀이 특성", 인간발달연구, 17(2), 37-50, 2010
40 Caillois, R., "놀이와 인간.(이상률 역). 서울: 문예출판사", (원서출판 1958 년), 1994
41 지혜련, "아동 놀이 이론의 통합을 위한 개념적 접근", 생활과학논집, 6, 23-45, 1992
42 고보숙, 양수경, 박정환, "노인 대상 치매예방프로그램 국내 연구동향", 한 국산학기술학회, 20(1), 131-143, 2019
43 최병찬, "여가활동이 노인성 치매예방에 미치는 효과", 88서울올림픽기념 국제스포츠과학학술대회, 2000(12), 1477-1487, 2000
44 박종한, "연령증가에 따른 노인 인지기능의 감퇴 양상", 대한신경학회지, 9(3), 210-214, 2005
45 홍미선, "하이브리드 코칭 시스템 설계. 박사학위논문", 제주대학교 대학 원, 2017
46 정여주, "노인미술치료 프로그램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한국노년학, 25(1), 73-86, 2005
47 양옥승, "이정란, 나은숙.유아의 관점에서 본 자유놀이", 열린유아교육연 구, 7(1), 143-165, 2002
48 김정화, 원정숙, "노인의 인지기능과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정신간 호학회지, 12(2), 148-154, 2003
49 서현숙, "놀이 개념의 분석과 교육적 가치. 박사학위논문", 계명대학교 대 학원, 2007
50 이종길, "사회체육활동과 생활만족의 관계.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 학원, 1992
51 신유림, "유아의 상상놀이에서 부정적 정서표현에 대한 연구", 아동학회 지, 21(3), 133-142, 2000
52 송미순, "노인의 생활기능상태 예측모형 구축. 박사학위 논문", 서울대학 교 대학원, 1991
53 김희연, "유아기 놀이 행동에 있어서의 정서표현에 관한 연구", 유아교육연 구, 21(2), 319-340, 2001
54 장숙희, "치매예방프로그램의 효과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조선대학 교 대학원, 2007
55 김겸섭, "놀이학의 선구자, 호이징하와 까이와의 놀이담론 연구", 인문연구, 54, 147-190, 2008
56 Russell, P., "인간의 두뇌 [The brain book]. (김유미 역). 서울: 교육과학 사", (원서출판 1979), 1996
57 노은호, 홍성미, "인간의 뇌기능에 기초한 유아 놀이지도 전략에 관한 연 구", 論文集, 18(1), 61-79, 1996
58 김남초, 한숙원, 유양숙, "치매노인에게 시청각 자극을 병행한 회상요법의 적용효과", 한국간호간학회, 30(1), 98-109, 1999
59 박정환, 양수경, "부은순, 고보숙, 박지은, 김두리.실버에듀프로그램 브라 보", 서울: EK, 2018
60 이순형, "호모루덴스의 전생애 관점에서 본 놀이의 기능과 의미변화", 한국 인간발달학회 학술심포지엄 자료집, 3-15, 2009
61 이종호, "치매예방용 체감형 게임장치 및 콘텐츠 개발. 박사학위논문", 공 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62 양한연, "경증치매 노인대상의 집단미술치료 사례연구. 석사학위논문", 명 지대학교, 2006
63 김영희, "아동의 놀이성 군확인과 관련 변인 탐색 연구. 박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1995
64 장정미, "재가 노인의 낙상과 삶의 질에 관한 구조모형. 박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대학원, 2005
65 곽재효, "ADDIE 교수설계모형 기반 교육용 프로그램 개발. 석사학위논 문",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66 손신영, "농촌노인과 도시 노인의 삶의 질과 관련요인에 대한 비교연구", 한국노년학, 26(3), 601-615, 2009
67 박근홍, "립-모션을 활용한 치매예방 컨텐츠 설계 및 구현. 석사학위논 문",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2017
68 정순근, "민속놀이가 아동의 체력발달과 운동 태도의 변용에 미치는 영향", 학교체육연구논문집, 1984(1), 75-144, 1984
69 김기현, 전승규, "치매 예방을 위한 디지털 놀이 콘텐츠 사례 및 효과에 대한 연구", 한국디자인포럼, 17, 277-286, 2007
70 김연수, "고령화 사회에서 노인건강과 스포츠 활동의 관계. 박사학위논 문", 원광대학교 대학원, 2003
71 신혜원, "노인놀이치료의 통합적 콘텐츠 개발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 문",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9
72 정진화, "노래를 활용한 유아 극놀이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박사학위논 문",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7
73 김영주, "농촌 노인의 우울에 대한 사회적 지지의 완충효과. 석사학위논 문", 전북대학교 대학원, 2007
74 손연희, "노인을 위한 치매예방프로그램의 효과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 논문", 조선대학교 보건대학원, 2013
75 정재삼, "교육프로그램 개발 모형의 분석: 프로그램 평가를 위한 시사점 논의", 교육과학연구저널, 2(2), 80-97, 1998
76 Shore, R., "유아의 두뇌발달[Rethinking the brain]. (곽노의, 김유미 역). 서울: 양서원", (원서출판 1997), 2001
77 이지택, "노인을 위한 치매예방 프로그램의 효과성에 대한 연구. 석사학 위논문", 서울신학대학교 대학원, 2011
78 이주현, "치매예방을 위한 색채놀이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석사학 위논문", 홍익대학교 문화정보정책대학원, 2015
79 김예진, "요양 시설 내 중증 치매노인의 집단미술치료 사례 연구. 석사 학위논문", 차의과학대학교 미술치료대학원, 2018
80 Huizinga, J., "호모 루덴스:놀이와 문화에 관한 연구. 김윤수(역). 서울: 도서출판 까치", (원서출판 1955년), 1981
81 김은경, "ADDIE 모형 기반의 감정노동 대처 교육 프로그램 개발 사례.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글로벌 인적자원 개발대학원, 2017
82 송후승, "후기노인을 위한 치매에방 통합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박사 학위논문", 고신대학교 대학원, 2017
83 신은삼, "노화 관련 뇌인지 변화와 운동의 긍정적 영향: 인지신경과학적 연구 개관", 한국인지과학회, 24(1), 1-23, 2013
84 김상윤, "유아용 칠교놀이프로그램이 노인들의 인지발달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아동연구, 15, 71-82, 2006
85 강향숙, 양경희, 박미영, "지역사회노인의 인지기능과 정서수준에 대한 치 매예방통합프로그램의 효과", 한국자료분석학회, 19(4), 1229-2354, 2017
86 김정연, 이성국, 이석구, "노인에서 건강형태, 건강수준, 일상생활수행능력, 건강관련 삶의 질과의 관계", 한국노년학회지, 30(2), 471-484, 2010
87 신혜원, 정순둘, "초기치매의심노인을 위한 통합적 노인놀이치료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평가", 놀이치료연구, 19(3), 95-109, 2015
88 정수민, "오르프 교수법을 활용한 치매예방 노인 통합무용프로그램 개 발.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5
89 김혜숙, "전래놀이를 활용한 유아 자기조절력 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박사학위논문", 가천대학교 대학원, 2018
90 김주영, "노인성 치매방과 우울증 감소의 활용 : 음악치료(민요)를 중심 으로. 석사학위논문", 동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15
91 김성현, "인지놀이에 기반한 유아 정서 사회적 유능감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박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5
92 전남희, "노인 대상 치매예방 놀이 프로그램의 효과성 검증을 위한 사 례 연구. 박사학위논문", 경기대학교 대학원, 2018
93 김신미, 이윤정, "신체적 활동프로그램이 치매노인의 인지기능 및 일상생 활 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노년학, 23(4), 17-31, 2003
94 박보람, "노인의료복지시설에 입소한 경증치매노인의 집단미술치료 체 험연구. 석사학위논문",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2018
95 김창미, "경도인지장애 노인을 위한 자연친화적 통합프로그램 개발과 효과 분석. 박사학위논문", 선문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96 이종영, "노인의 여가활동 참가가 성공적 노화를 위한 사회심리적 인지메 커니즘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44(3), 167-183, 2005
97 황인담, "독서요법이 경증치매노인의 인지력과 우울증 및 사회성에 미 치는 효과. 박사학위논문", 계명대학교 대학원, 2009
98 이은희, "사회극놀이 프로그램이 유아의 마음 이론과 사회적 행동에 미 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2011
99 송미숙, 한영란, 임지영, "재가 노인을 위한 집단인지기능향상프로그램이 인지기능, 우울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한국간호과학회, 40(5), 724-735, 2010
100 유수정, "고혈압 노인에서 복식호흡 이완훈련과 자가간호 교육이 혈압 에 미치는 효과.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0
101 권영철, 박종한, "노인용 한국판 Mini-Mental State Examination(MMSE -K)의 표준화 연구: 제2편, 구분점 및 진단적 타당도", 신경정신의학, 28(3), 508-513, 1989
102 김정순, 정정심, "민속놀이 프로그램이 치매노인의 인지기능, 일상생활 수 행능력 및 문제행동에 미치는 효과", 한국간호과학회, 35(6), 1153-1162, 2005
103 김문영, "인지-행동적 집단상담과 지지적 집단상담이 노인의 정신건강 에 미치는 효과. 박사학위논문", 계명대학교 대학원, 2003
104 김현주, "요가치료프로그램과 댄스스포츠프로그램이 치매고위험군의 인지 기능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 예술심리치료연구, 7(4), 125-148, 2011
105 선정주, "치매예방프로그램이 여성독거노인의 인지기능, 우울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박사학위논문",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2
106 이승진, "노인 치매예방을 위한 요리심리치료 프로그램 선택에 관한 연 구 : Q방법론 적용. 석사학위논문", 경기대학교 대학원, 2015
107 김나라, 이병희, 박준수, "신체활동 프로그램이 치매노인의 인지, 신체적 수행능력, 보행, 삶의 질 및 우울에 미치는 효과",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50(2), 307-328, 2011
108 유장학, 추수경, 이정렬, "인지행동 프로그램이 인지기능저하 노인의 인지 기능, 우울, 일상생활 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간호과학회, 37(7), 1049-1060, 2007
109 이현민, "노인성 치매 미술치료프로그램 적용사례 연구: S 복지센터의 치매 노인 대상으로.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110 유애리, "치매예방통합 프로그램이 노인의 인지기능과 우울 및 자아존 중감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가천대학교 보건대학원, 2013
111 김년준, "집단운동프로그램이 치매노인이 인지기능과 일상생활동작 및 우울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용인대학교 대학원, 2008
112 이춘지, 최연희, "레크리에이션병합 체조프로그램이 후기 여성노인의 체력, 우울, 인지기능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한국간호과학회, 42(6), 843-852, 2012
113 홍유정, "플립러닝을 적용한 중학교 체육 교수-학습지도안 개발 및 적 용 : ADDIE 모형을 기반으로.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114 정성훈, "마음챙김 인지치료에 기반한 치매노인 가족 수발자의 행복증 진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박사학위논문", 경성대학교 대학원, 2019
115 박남희, 이윤미, "치매예방 통합프로그램이 경증인지 장애노인의 인지기능, 우울, 자아존중감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성인간호학회지, 19(5), 787-796, 2007
116 정정심, "민속놀이 프로그램이 치매노인의 인지기능, 일상생활수행능력 및 문제행동에 미치는 효과. 박사학위논문",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4
117 정재삼, "교수설계(ID)와 교수체제개발(ISD)의 최근 경향과 논쟁: 21세 기를 대비하는 교수공학의 지식기반 구축을 위하여", 서울: 학지사, 1996
118 신미경, 신수진, "체력에 따른 그룹별 맞춤형 운동 프로그램이 노인의 지각된 건강 상태, 체력, 우울 및 인지기능에 미치는 효과", 성인간호학회지, 20(4), 613-625, 2008
119 임선옥, 조현미, "치매예방프로그램이 지역사회 노인의 치매지식, 우울, 인 지기능에 미치는 효과(시카고 한인노인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 지, 17(5), 182-191, 2017
120 양은혜, "치매에방 통합운동 프로그램이 노인여성의 인지기능, 건강체력 및 심장?뇌혈관계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논문",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121 최정화, "ADDIE모형 기반 멀티미디어 활용 안전교육이 유아의 안전교 육 지식과 안전교육 태도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동아대학교 교육 대학원, 2017
122 남지영, "악기중심의 음악 치매예방프로그램이 일반노인에게 미치는 영 향 : 인지기능, 우울, 생활만족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평택대학교 대 학원, 2017
123 박수정, 최경규, 윤지영, 박종섭, "치매예방 프로그램이 지역사회 비치매 여성노인의 인지기능, 우울, 신체기능에 미치는 효과: 경로당 이용 대상 중 심으로", 대한작업치료학회지, 23(3), 79-96, 2015
124 함민주, 황윤희, "엄숙, 오은전, 전병진, 박헌경, 김도훈.전산화 인지프로그 램이 치매노인의 수단적 일상생활활동 능력에 미치는 영향 : 사전연구", 대 한보조공학기술학회지, 2(2), 41-49, 2010
125 김기현, "치매 예방을 위한 메디케인먼트 콘텐츠의 개념과 적용 발전 가능성에 대한 연구 : 뉴실버 세대를 위한 디지털놀이콘텐츠를 중심으 로. 박사학위논문", 국민대학교 대학원, 2010
126 강선영, "ADDIE 교수설계모형에 따른 대학생의 창의적 연구 역량강화 프로그램 개발. 석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경제정보센터. (2015. 1. 6). https://eiec.kdi.re.kr에서 2015. 1", 6 인출,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