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화교사 연구의 회고와 전망: - 2010년 이후의 연구성과를 중심으로 - = Review and Suggestions on Study of Korean Huaqiao History - With Focus on Studies Published since 2010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일부의 일본학계 연구 성과도 포함하되) 주로 2010년 이후에 출간된 한국화교사 연구 성과를 소개하고 해당 연구의 공헌과 문제점을 함께 정리하고자 했다. 분석을 통하여 아래의...

      이 논문은, (일부의 일본학계 연구 성과도 포함하되) 주로 2010년 이후에 출간된 한국화교사 연구 성과를 소개하고 해당 연구의 공헌과 문제점을 함께 정리하고자 했다. 분석을 통하여 아래의 세 가지 측면을 집중적으로 부각시켰다. ① (개항기·식민지시대의 경우) 한국경제사에서의 화교경제의 위상을 실제 이상으로 강조하는 경향이 있고, ② (개항기와 해방 이후의 경우) 화교경제의 성쇠에 대한 정치권력(=청나라나 한국정부의 영향력)의 영향력을 과도하게 강조하 는 경향도 없지 않으며, ③ 한국화교의 목소리에만 의지하여 (특히 해방 이후의)한국화교사를 재구성할 경우, 한국사회라는 주류집단과 화교사회라는 소수자집단 간의 관계와 그 변모를 균형 있게 이해하기 곤란하다는 점 등이 그것이다. 향후의 과제로서는, ① (동남아시아 화교 등과의) 비교사적 접근의 보다 적극적인 활용, ② 시대별·분야별로 균형을 맞추는 작업의 필요성, ③ 한국화교의 직업 분석도 보다 다양하게 접근할 필요가 있으며, 특히 그동안 분석 대상이 되지 못했던 한의사나 약사 등의 직업군에 대한 관심이 필요하며, ④ (인천 지역에 비해 연구가 미진한) 서울 지역의 화교사에 대한 연구가 보다 강화될 필요가 있다는 점 등을 지적했다. 이러한 비판적 회고와 향후의 과제에 대한 제시는, 그간의 한국화교사 연구의 진전을 긍정적으로 평가함과 동시에, 그동안의 연구에서 보이는 일정한 편향을 수정하여 보다 균형 잡힌 한국화교사 연구를 수행하기 위한 제언이라는 의미를 가진다고 판단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article, I tried to introduce books and articles on the history of Chinese overseas in Korea(hereafter Korean Huaqiao) which were published since 2010 in Korea(including a couple of books published in Japan) and review them from a critical vie...

      In this article, I tried to introduce books and articles on the history of Chinese overseas in Korea(hereafter Korean Huaqiao) which were published since 2010 in Korea(including a couple of books published in Japan) and review them from a critical viewpoint. Throughout some analyses, I could bring three points into further focus. First, There had been a tendency to overemphasize the status of Korean Huaqiao economy in Korean Modern economic history. Second, (Especially in open port period and colonial period) there had been a tendency to overemphasize the influence of political power on the ups and downs of Korean Huqiao economy. And third, when we listen only to the voice of Korean Huaqiao, it becomes very difficult to make some balanced argumen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ainstream of Korean society and minority groups like Korean Huaqiao. As for future agenda on Korean Huaqiao, I suggested four tasks. First, we need to utilize comparative approaches more aggressively. Second, we need to balance each detailed sphere(like Huqiao economy, Huqiao politics, etc.) not to produce biased images on the history of Korean Huaqiao. Third is as for analysis of job composition of Korean Huaqiao. For example, Oriental doctors or pharmacist, which had been the object of envy among Korean Huaqiao since 1945, had not been analyzed comprehensively. And finally, we need to strengthen the study of Korean Huaqiao in Seoul. Contrast to Korean Huaqiao in Incheon, Korean Huaqiao in Seoul, always the biggest majority of Korean Huaqiao population, had not got appropriate attention. I hope that my critical review and some suggestions will help to correct some possible biases in Korean Huaqiao studies and to conduct more balanced and productive studi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머리말 Ⅱ. 활발한 한국화교사 연구의 배경 Ⅲ. 한국화교사 관련 주요 논저 Ⅳ. 관련 연구의 비판적 검토 1. 한국근현대사에서의 한국화교의 역사적 위상 2. 정치권력의 화교경제에 대한 영향력 문제 3. 월경적 존재와 국민국가 Ⅴ. 결론을 대신하여 – 몇 가지 제언
      • Ⅰ. 머리말 Ⅱ. 활발한 한국화교사 연구의 배경 Ⅲ. 한국화교사 관련 주요 논저 Ⅳ. 관련 연구의 비판적 검토 1. 한국근현대사에서의 한국화교의 역사적 위상 2. 정치권력의 화교경제에 대한 영향력 문제 3. 월경적 존재와 국민국가 Ⅴ. 결론을 대신하여 – 몇 가지 제언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강진아, "화상 네트워크 속의 근대 조선을 묻다[서평] 石川亮太(2016), 『近代アジア市場と朝鮮 — 開港⋅華商⋅帝国』, 名古屋大学出版会, 568쪽." 인문학연구원 73 (73): 327-347, 2016

      2 이시카와 료타, "화교·화인의 시점에서 본 아시아 속 조선 개항" 역사문제연구소 (114) : 82-112, 2016

      3 왕은미, "해방 70년, 한국화교에 대한 이해" 역사문제연구소 (115) : 301-336, 2016

      4 "한중수교 25년과 조선족 - ① 동북아 3국으로 ‘영토확장’"

      5 이영옥, "한중 민간소송연구, 1906-1910―導之案姚貴春案劉金有案 등 살인사건을 중심으로 ―" 중국근현대사학회 (35) : 1-30, 2007

      6 왕언메이, "한반도 화교들의 한국전쟁" 91 : 2010

      7 金慶國, "한국의 화교연구 배경 및 동향 분석" 중국인문학회 26 : 29-516, 2003

      8 류상영, "한국의 경제개발과 1960년대 한일 경제관계 : 민간 경제외교를 중심으로" 한국정치외교사학회 24 (24): 291-318, 2003

      9 유전명, "한국내 화교기독교의 역사와 미래" 2012

      10 김기호, "초국가 시대의 이주민 정체성 : 한국 화교의 사례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5

      1 강진아, "화상 네트워크 속의 근대 조선을 묻다[서평] 石川亮太(2016), 『近代アジア市場と朝鮮 — 開港⋅華商⋅帝国』, 名古屋大学出版会, 568쪽." 인문학연구원 73 (73): 327-347, 2016

      2 이시카와 료타, "화교·화인의 시점에서 본 아시아 속 조선 개항" 역사문제연구소 (114) : 82-112, 2016

      3 왕은미, "해방 70년, 한국화교에 대한 이해" 역사문제연구소 (115) : 301-336, 2016

      4 "한중수교 25년과 조선족 - ① 동북아 3국으로 ‘영토확장’"

      5 이영옥, "한중 민간소송연구, 1906-1910―導之案姚貴春案劉金有案 등 살인사건을 중심으로 ―" 중국근현대사학회 (35) : 1-30, 2007

      6 왕언메이, "한반도 화교들의 한국전쟁" 91 : 2010

      7 金慶國, "한국의 화교연구 배경 및 동향 분석" 중국인문학회 26 : 29-516, 2003

      8 류상영, "한국의 경제개발과 1960년대 한일 경제관계 : 민간 경제외교를 중심으로" 한국정치외교사학회 24 (24): 291-318, 2003

      9 유전명, "한국내 화교기독교의 역사와 미래" 2012

      10 김기호, "초국가 시대의 이주민 정체성 : 한국 화교의 사례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5

      11 정은주, "차이나타운 아닌 중국인 집거지:근현대 동아시아 역학 속에 주조된 서울 화교 집단거주지의 지형" 서울학연구소 (53) : 129-175, 2013

      12 김종호, "중일전쟁초기(1937~1941) 중국 및 화교 금융기업의 생존전략 - 동남아시아 화교 송금 네트워크와 中國銀行ㆍ中南銀行 -" 중국근현대사학회 (71) : 161-187, 2016

      13 이은상, "중일전쟁(中日戰爭) 이전 시기(1912∼1936) 조선의 원산화교(元山華僑)" 인문학연구원 (60) : 103-147, 2016

      14 이은상, "중국 중산계층의 성장과 新華僑의 제주도 유입" 효원사학회 49 : 63-95, 2016

      15 최승현, "조선족 정체성의 ‘다름’과 ‘선택’에 관한 역사적 고찰" 한국동북아학회 21 (21): 109-128, 2016

      16 야스이 산키치(安井三吉), "제국일본과 화교" 학고방 2013

      17 김승, "일제강점기 부산화교의 존재형태와 사회정치적 동향" 부경역사연구소 (34) : 213-277, 2014

      18 이옥연, "인천화교사회의 형성과 전개" 인천문화재단 2008

      19 송승석, "인천에 잠든 중국인들 – 인천화교협회 소장자료를 중심으로" 학고방 2015

      20 이은상, "원산화교와 배화폭동(排華暴動)" 중국근현대사학회 (72) : 91-117, 2016

      21 김민규, "외국인토지법의 변천·보유실태 및 그 법적 위상" 20 : 2005

      22 왕언메이, "동아시아현대사 속의 한국화교 – 냉전체제와 조국의 식" 학고방 2013

      23 강진아, "동순태호 – 동아시아 화교자본과 근대조선" 경북대학교 출판부 2011

      24 송승석, "동남아화교와 동북아화교 마주보기" 학고방 2015

      25 왕언메이, "동남아화교와 동북아화교 마주보기" 학고방 2015

      26 송승석, "동남아화교와 동북아화교 마주보기" 학고방 2015

      27 송승석, "근대인천화교의 사회와 경제 - 인천화교협회 소장자료를 중심으로" 학고방 2015

      28 김희신, "근대 한중관계의 변화와 외교당안의 생성 ― 「淸季駐韓使館保存檔」을 중심으로 ―" 중국근현대사학회 (50) : 35-73, 2011

      29 이시카와 료타, "국경을 뛰어넘는 지역의 다중적 구조-개항기 조선과 아시아교역권론-" 한국학연구소 (19) : 235-253, 2008

      30 김희신, "駐朝鮮使館의 화교 실태조사와 관리 ― 청일전쟁 이전 漢城ㆍ仁川을 중심으로 ―" 명청사학회 (34) : 205-236, 2010

      31 文明基, "韓國民族主義的現在 - ‘種族性’民族主義與多文化主義的挑戰" 臺灣成功大學 4 : 2013

      32 石川亮太, "近代アジア市場と朝鮮 – 開港·華商·帝國" 名古屋大學出版會 2016

      33 平井健介, "砂糖の帝國 - 日本植民地とアジア市場" 東京大學出版會 2017

      34 김희신, "淸末(1882-1894년) 漢城 華商組織과 그 位相" 중국근현대사학회 (46) : 53-80, 2010

      35 王恩美, "東アジア現代史のなかの韓國華僑 – 冷戰體制と‘祖國’意識" 三元社 2008

      36 李正熙, "朝鮮華僑と近代東アジア" 京都大學學術出版會 2012

      37 中川恒次郞, "朝鮮彙報" 1894

      38 川島眞, "書評FORUM: 國際政治の文脈を重視して韓國華僑を讀み解いた勞作– 王恩美著, 『東アジア現代史のなかの韓國華僑 – 冷戰體制と‘祖國’意識』, 三元社, 2008年5月" 21 (21): 2008

      39 陳來幸, "書評: 李正熙, 『朝鮮華僑と近代東アジア』" 72 (72): 2013

      40 伊藤正子, "新刊紹介: 王恩美著, 『東アジア現代史のなかの韓國華僑 – 冷戰體制と‘祖國’意識』, 三元社, 2008年5月刊, 596頁" 5 : 2008

      41 籠谷直人, "アジア國際通商秩序と近代日本" 名古屋大學出版會 2000

      42 송승석, "‘한국화교’ 연구의 현황과 미래 ― 동아시아 구역 내 ‘한국화교’ 연구를 중심으로" 한국중국현대문학학회 (55) : 163-200, 2010

      43 김종호, "‘중화성’ 모색을 위한 시도들 ― 서구권 및 동남아시아 지역 화교 화인 디아스포라 연구 경향 분석 ―" 중국근현대사학회 (73) : 169-193, 2017

      44 박준형, "‘잡거’의 역사, 한국화교와 이웃하기" 국학연구원 (161) : 77-118, 2013

      45 김희신, "20세기 초기(1912-1931년) 한국 화교교육의 역사와 화교사회- 서울지역 화교소학을 중심으로 -" 한국중국학회 (77) : 341-378, 2016

      46 이정희, "20세기 전반기 대구지역 화교의 경제적 활동 (1905~1955년)" 대구사학회 80 : 71-102, 2005

      47 이은상, "20세기 전반(1912∼1936) 식민지 조선의 신의주화교" 중국근현대사학회 (70) : 53-88, 2016

      48 김승욱, "20世紀初 韓半島의 山東華僑 -半島空間의 도시 네트워크와 이민" 중국사학회 (82) : 263-295, 2013

      49 박정현, "19세기 말 仁川과 漢城의 중국인 居留地 운영체제" 동양사학회 (113) : 171-198, 2010

      50 문명기, "19세기 동아시아를 읽는 눈" 너머북스 2017

      51 이은자, "19世紀末 在朝鮮 未開口岸의 淸商 密貿易 관련 領事裁判案件 硏究" 동양사학회 (111) : 233-265, 2010

      52 문정인, "1950년대 한국사의 재조명" 선인 2004

      53 공제욱, "1950~1960년대 한국형 발전모델의 원형과 그 변용과정: 내부동원형 성장모델의 후퇴와 외부의존형 성장모델의 형성" 한울 2005

      54 배성수, "1940년대 초 인천지역 화교사회의 동향 -인천광역시립박물관 소장 1942년 화교자료의 분석을 중심으로-" 인천학연구원 1 (1): 79-121, 2016

      55 김희신, "1932년 이전 인천의 화교학교 교육 -‘인천화교소학’과 ‘인천노교소학’-" 역사연구소 (89) : 69-110, 2016

      56 김희신, "1930年 前後 仁川華僑小學을 통해 본 華僑社會의 動向" 중국사학회 (104) : 141-176, 2016

      57 문명기, "1880년대 漢城開棧을 둘러싼 韓·中 갈등과 그 의미" 중앙사학연구소 (33) : 179-213, 2011

      58 籠谷直人, "1880年代のアジアからの‘衝擊’と日本の反應" 608 : 199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5-31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외대사학 -> 역사문화연구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5 0.75 0.6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6 0.49 1.216 0.2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