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일 경제분업관계의 역사와 대한 수출규제의 의미 = The Transformation of Korea-Japan Trade Relation and the Significancy of Japan’s Export Restriction on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46505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ince the 2000s, the economic division of labor between Korea and Japan has shifted from the vertical division of labor into a horizontal division of labor. The background of this transformation was the expansion of the global value chain and the modularization of the industrial architecture. In response to these new environmental changes, Korea has a comparative advantage in finished goods and Japan in parts and materials.
      This relationship is similar in appearance to the vertical division of labor between Japan and Korea that went on until the 1990s. However, this is a new division of labor in that Korea’s finished goods companies have more bargaining power than Japanese materials and parts companies. This division of labor is a new equilibrium that creates benefits for both companies.
      But this equilibrium presupposes the free movement of capital and raw materials. If there is a problem with the supply chain, there is a risk of serious damage. The current Japanese export restrictions on Korea can be said to be the actual risk. However, this export restriction is expected to be difficult to sustain for a long time because it is an anachronistic policy that counters global trends and is an inefficient policy that will ultimately cause more damage to Japan.
      번역하기

      Since the 2000s, the economic division of labor between Korea and Japan has shifted from the vertical division of labor into a horizontal division of labor. The background of this transformation was the expansion of the global value chain and the modu...

      Since the 2000s, the economic division of labor between Korea and Japan has shifted from the vertical division of labor into a horizontal division of labor. The background of this transformation was the expansion of the global value chain and the modularization of the industrial architecture. In response to these new environmental changes, Korea has a comparative advantage in finished goods and Japan in parts and materials.
      This relationship is similar in appearance to the vertical division of labor between Japan and Korea that went on until the 1990s. However, this is a new division of labor in that Korea’s finished goods companies have more bargaining power than Japanese materials and parts companies. This division of labor is a new equilibrium that creates benefits for both companies.
      But this equilibrium presupposes the free movement of capital and raw materials. If there is a problem with the supply chain, there is a risk of serious damage. The current Japanese export restrictions on Korea can be said to be the actual risk. However, this export restriction is expected to be difficult to sustain for a long time because it is an anachronistic policy that counters global trends and is an inefficient policy that will ultimately cause more damage to Japa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2000년대 이후 한일간의 경제분업관계는 종래의 수직적 분업관계에서 수평적 분업관계로 전환되었는데, 그 배후에는 글로벌 가치사슬의 확대와 산업 아키텍처의 모듈화라는 현상이 있었다. 이러한 새로운 환경변화에 대응하는 과정에서 한국은 완성품에, 일본은 부품 및 소재에 비교우위를 지니게 되었다.
      이 관계는 외형적으로는 1990년대까지의 수직적 분업구조와 유사하지만, 한국의 완성품 기업이 역학관계상 우위를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실질적으로 새로운 분업구조이다. 이 분업구조는 양국 모두에게 이익을 창출해주는 구조로 새로운 균형관계라고 할 수 있다.
      그런데 이 균형관계는 자본과 원자재의 자유로운 이동을 전제로 한다. 서플라이 체인에 문제가 발생할 경우, 심각한 타격을 입을 리스크가 존재하는데, 이번 일본의 대한 수출규제는 바로 그 리스크가 현실화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번 일본의 수출규제 조치는 국제적 환경변화에 역행하는 시대착오적인 정책이고, 궁극적으로 일본에게 더 큰 피해를 끼칠 가능성이 큰 비효율적인 정책이기 때문에 장기간 지속되기 어려울 것으로 전망된다.
      번역하기

      2000년대 이후 한일간의 경제분업관계는 종래의 수직적 분업관계에서 수평적 분업관계로 전환되었는데, 그 배후에는 글로벌 가치사슬의 확대와 산업 아키텍처의 모듈화라는 현상이 있었다. ...

      2000년대 이후 한일간의 경제분업관계는 종래의 수직적 분업관계에서 수평적 분업관계로 전환되었는데, 그 배후에는 글로벌 가치사슬의 확대와 산업 아키텍처의 모듈화라는 현상이 있었다. 이러한 새로운 환경변화에 대응하는 과정에서 한국은 완성품에, 일본은 부품 및 소재에 비교우위를 지니게 되었다.
      이 관계는 외형적으로는 1990년대까지의 수직적 분업구조와 유사하지만, 한국의 완성품 기업이 역학관계상 우위를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실질적으로 새로운 분업구조이다. 이 분업구조는 양국 모두에게 이익을 창출해주는 구조로 새로운 균형관계라고 할 수 있다.
      그런데 이 균형관계는 자본과 원자재의 자유로운 이동을 전제로 한다. 서플라이 체인에 문제가 발생할 경우, 심각한 타격을 입을 리스크가 존재하는데, 이번 일본의 대한 수출규제는 바로 그 리스크가 현실화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번 일본의 수출규제 조치는 국제적 환경변화에 역행하는 시대착오적인 정책이고, 궁극적으로 일본에게 더 큰 피해를 끼칠 가능성이 큰 비효율적인 정책이기 때문에 장기간 지속되기 어려울 것으로 전망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성주, "한일 산업경쟁력 비교"

      2 팽성일, "한국 소재·부품산업의 현황과 과제"

      3 한국투자증권, "일본수출규제와 시장: 국산화 (2)" 투자전략 2019

      4 김규판, "일본 제조업의 경쟁력 실태분석과 시사점"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1

      5 여인만, "일본 전자산업의 국제경쟁력 하락과 그 원인" 글로벌일본연구원 (26) : 151-177, 2016

      6 유노가미 다카시, "일본 전자 반도체 대붕괴의 교훈" 성안당 2013

      7 이근, "산업의 추격, 추월, 추락" 21세기북스 2014

      8 세노오 겐이치로, "기술력의 일본이 사업에 실패하는 이유" 21세기북스 2011

      9 윤우진, "국제가치사슬의 구조변화와 한국의 위상"

      10 水野順子, "韓国の輸出戦略と技術ネットワ―ク―家電·情報産業にみる対日赤字問題" アジア経済研究所 2012

      1 박성주, "한일 산업경쟁력 비교"

      2 팽성일, "한국 소재·부품산업의 현황과 과제"

      3 한국투자증권, "일본수출규제와 시장: 국산화 (2)" 투자전략 2019

      4 김규판, "일본 제조업의 경쟁력 실태분석과 시사점"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1

      5 여인만, "일본 전자산업의 국제경쟁력 하락과 그 원인" 글로벌일본연구원 (26) : 151-177, 2016

      6 유노가미 다카시, "일본 전자 반도체 대붕괴의 교훈" 성안당 2013

      7 이근, "산업의 추격, 추월, 추락" 21세기북스 2014

      8 세노오 겐이치로, "기술력의 일본이 사업에 실패하는 이유" 21세기북스 2011

      9 윤우진, "국제가치사슬의 구조변화와 한국의 위상"

      10 水野順子, "韓国の輸出戦略と技術ネットワ―ク―家電·情報産業にみる対日赤字問題" アジア経済研究所 2012

      11 佐野孝治, "韓国の成長モデルと日韓経済関係の変化" 83 (83): 2014

      12 吉岡英美, "韓国の工業化と半導体産業―世界市場におけるサンスン電子の発展" 有斐閣 2010

      13 百本和弘, "韓国の対日, 対中経済関係の変容" 国際貿易投資研 究所 111 : 2018

      14 向山英彦, "貿易関係を変える日韓企業のサプライチェ―ン―電子·半導体産業にみる求心力と遠心力" 18 (18): 2018

      15 小川紘一, "製品ア―キテクチャ―のダイナミズムとオ―プン国際分業の進展" 東京大学 2009

      16 藤本隆宏, "現場主義の競争戦略―次代への日本産業論" 新潮社 2013

      17 服部民夫, "東アジア経済の発展と日本―組立型工業化と貿易関係" 東京大学出版会 2007

      18 新宅 純二郞, "東アジアにおける製造業ネットワクの形成と日本企業のポジショニング" 한일경상학회 37 : 169-196, 2007

      19 安倍誠, "日韓関係史 1965~2015 II 経済" 東京大学出版 2015

      20 金龍烈, "日韓関係史 1965~2015 II 経済" 東京大学出版会 2015

      21 金都享, "日韓関係史 1965~2015 II 経済" 東京大学出版会 2015

      22 奥田聡, "日韓関係史 1965~2015 II 経済" 東京大学出版会 2015

      23 安倍誠, "日韓経済関係の過去と現在" アジア 経済研究所 2019

      24 李鴻培, "日韓 関係史 1965~2015 II 経済" 東京大学出版会 2015

      25 鈴木智也, "基礎研レタ―" ニッセイ基礎研究所 2019

      26 青木昌彦, "モジュ―ル化―新しい産業ア―キテクチャ―の本質" 東洋経済新 報社 2002

      27 向山英彦, "グロ―バル化で変化する日韓経済関係―自動車·電子産業を例に" 15 (15): 2015

      28 赤松要, "わが国産業発展の雁行形態―機械器具工業について" 36 (36): 1956

      29 Christensen, C. M, "The Innovator’s Dilemma: When New Technologies CauseGreat Firms to Fail" Harvard Business School Press 1997

      30 Vernon R., "International Investment and International Trade in the Product Cycle" 80 (80): 1966

      31 "Innovation" Pitman Publishing Inc 1982

      32 Abernathy, W, "Industrial Renaissance: Producing a Competitive Future of America" Basic Books 1983

      33 吉岡英美, "2000年代以降の韓国の産業発展の進化―半導体·LCDの部材·製造装置産業の形成" 55 (55): 201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9 1.09 0.9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5 0.85 1.637 0.5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