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의 평균수명(life expectancy, 기대수 명)은 1970년 여성 65.6세, 남성 58.7세에 불 과했다. 그러나 이는 2010년도에 여성 84.1세, 남성 77.2세, 그리고 2014년도에 여성 85.5세, 남성 79.0세까지 늘...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5797241
2016
-
338
KCI등재
학술저널
1-7(7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한국인의 평균수명(life expectancy, 기대수 명)은 1970년 여성 65.6세, 남성 58.7세에 불 과했다. 그러나 이는 2010년도에 여성 84.1세, 남성 77.2세, 그리고 2014년도에 여성 85.5세, 남성 79.0세까지 늘...
한국인의 평균수명(life expectancy, 기대수
명)은 1970년 여성 65.6세, 남성 58.7세에 불
과했다. 그러나 이는 2010년도에 여성 84.1세,
남성 77.2세, 그리고 2014년도에 여성 85.5세,
남성 79.0세까지 늘어났다. 아울러 2010년부터
2015년 사이의 우리나라 출산율은 마카오, 홍
콩, 대만에 이어 세계에서 4번째로 낮았다. 그
결과, 전체인구에서 노인인구가 차지하는 비
율이 매우 빠르게 증가했으며, 그 증가속도가
세계에서 가장 빠른 편이다. 노인인구의 비율
도 2000년 7%에서 내년에는 14%, 2027년에
21%로 늘어날 것으로 전망될 정도이다. 노인
인구의 증가로 인구구조도 빠르게 달라지고
있다. 예를 들면, 0세부터 49세사이의 인구는
2000년 전체인구의 71.0%를 차지했으나 2015
년 65.5%로 낮아졌고, 2060년도에는 41.8%로
감소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는 반면, 65세 이
상의 인구는 2000년 전체인구의 11.0%에서
2015년 13.1%로 늘어났으며, 2060년에는 40.1%
에 육박할 것으로 전망된다(통계청, 2015). 생
산가능 연령층이 감소하면서 노년부양비가 급
격하게 늘어나면서 사회적 부담도 더욱 커질
것이다.
목차 (Table of Contents)
노인의 건강상태 측정 및 평가를 위한 디지털화된 도구의 접근방향
‘초고령 사회’ 일본의 노인복지 실천과 교훈: 우리나라 노인복지의 해법과 정책 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