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연구논문 : 환경복지 개념 도입에 관한 시론적 연구 = Toward a Preliminary Conceptualization of Environmental Welfar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82361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aims to explore the concept of ``environmental werlfare`` as a newframework of environmental policy to deal with emerging environmental challenges and social inequality at the same time. Large-scale and global environmental hazards such as ...

      This paper aims to explore the concept of ``environmental werlfare`` as a newframework of environmental policy to deal with emerging environmental challenges and social inequality at the same time. Large-scale and global environmental hazards such as climate change, loss of biodiversity and stresses on food-producing systems pose a major threat to human health and well-being of the future generation as well as the present one. Furthermore, the socially and economically disadvantaged are often more vulnerable to increasing environmental risk, and environmental goods and services vary between different areas and communities. The welfare state, faced with new challenges, reveals limitations to ensure the quality of life, which demands a new paradigm to link the environmental inequality and social inequality. The concept of ``environmental welfare`` is founded on the premise that a clean and healthy environment is vital for everyone`s quality of life and happiness, and it puts priority on environmentally vulnerable groups excluded from minimum environmental services. ``Environmental welfare`` is an emerging concept in environmental policy, therefore, in this paper a preliminary theoretical framework is constructed by reviewing similar concepts such as environmental justice, environmental equality and sustainable development. This paper also suggests basic principles and guidelines of environmental welfare policy, which should be developed in detail in the future research.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회성, "환경정책의 불평등 해소를 위한 정책방안 개발에 관한 연구" 환경부 2003

      2 정회성, "환경정책의 분배효과 논쟁과 정책적 대응" 11 (11): 5-28, 2003

      3 변병설, "환경정책론" 박영사 2011

      4 토다기요시, "환경정의를 위하여" 창작과 비평사 1996

      5 반영운, "환경정의 지표 개발" 한국도시행정학회 20 (20): 3-23, 2007

      6 박재묵, "환경정의 개념의 한계와 대안적 개념화" 한국환경사회학회 10 (10): 75-114, 2006

      7 고재경, "환경의식과 환경오염회피 비용에 대한 소득계층별 분석" 5 (5): 215-232, 1997

      8 추장민, "환경불평등 실태와 환경복지 정책과제" 한국정책지식센타,한국행정연구소

      9 정회성, "환경복지정책의 이념과 과제, 환경복지 토론회; 환경복지, 방향과 과제는?"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12

      10 황석규, "환경복지사회로 나아가는 길 위에서-제주도 사회복지정책을 중심으로-" 27 : 1-16, 2005

      1 정회성, "환경정책의 불평등 해소를 위한 정책방안 개발에 관한 연구" 환경부 2003

      2 정회성, "환경정책의 분배효과 논쟁과 정책적 대응" 11 (11): 5-28, 2003

      3 변병설, "환경정책론" 박영사 2011

      4 토다기요시, "환경정의를 위하여" 창작과 비평사 1996

      5 반영운, "환경정의 지표 개발" 한국도시행정학회 20 (20): 3-23, 2007

      6 박재묵, "환경정의 개념의 한계와 대안적 개념화" 한국환경사회학회 10 (10): 75-114, 2006

      7 고재경, "환경의식과 환경오염회피 비용에 대한 소득계층별 분석" 5 (5): 215-232, 1997

      8 추장민, "환경불평등 실태와 환경복지 정책과제" 한국정책지식센타,한국행정연구소

      9 정회성, "환경복지정책의 이념과 과제, 환경복지 토론회; 환경복지, 방향과 과제는?"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12

      10 황석규, "환경복지사회로 나아가는 길 위에서-제주도 사회복지정책을 중심으로-" 27 : 1-16, 2005

      11 최경구, "환경복지국가 연구: 지속가능성의 패러다임과 사회복지의 결합"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4) : 337-360, 2006

      12 최경구, "환경복지국가 : 공생의 길" 한국학술정보 2013

      13 고재경, "환경복지 패러다임의 필요성과 정책방향, 환경복지 토론회; 환경복지, 방향과 과제는?"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15-31, 2012

      14 박순애, "환경복지 실현을 위한 구상(안)마련" 환경부 2013

      15 관계부처 합동, "환경보건종합계획(2011-2020)" 2011

      16 정주철, "환경갈등관리의 제도적 접근방안 - 사회영향평가를 중심으로 -" 한국환경정책학회 17 (17): 65-86, 2009

      17 추장민, "환경 분야 공정한 사회 구현을 위한 기획 연구"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11

      18 최경구, "통일시대의 복지 이데올로기:파라다임의 전환과 환경복지자본주의" 성균관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45 : 1-18, 1997

      19 이정전, "우리는 행복한가" 한길사 2008

      20 양장일, "서울의 지역별 대기오염도와 소득분포간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서울大學校 環境大學院 1992

      21 홍성태, "생태위기와 세대정의 생태복지사회의 관점" 비판사회학회 (81) : 89-111, 2009

      22 최재천, "생태복지의 개념 및 적용모델 개발" 보건복지부 2009

      23 고재경, "미래의 복지는 환경복지" 경기개발연구원 2012

      24 추장민, "도시지역 저소득계층 보호를 위한 환경정책연구 III"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09

      25 추장민, "도시지역 저소득계층 보호를 위한 환경정책연구 II"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08

      26 추장민, "도시지역 저소득계층 보호를 위한 환경정책연구 I"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07

      27 이양주, "도시공원의 불균형 문제와 대안" 경기개발연구원 2010

      28 서현진, "대구시 도시근린공원의 접근성에 따른 환경적 형평성 분석" 한국지리정보학회 14 (14): 221-237, 2011

      29 이정임, "농촌지역 생활폐기물의 효율적인 관리방안" 경기개발연구원 2011

      30 이정필, "녹색성장에서 녹색복지로의 패러다임 전환 모색" 25-37, 2011

      31 문순홍, "녹색국가 논의의 구조와 과정 : 녹색국가의 유형 및 단계를 결정하는 변수들" 94-123, 2002

      32 농촌진흥청, "기후변화로 인해 눈덩이처럼 불어나는 의료비용" (12) : 2011

      33 신호성, "기후변화 취약성과 환경복지, 환경복지 토론회; 환경복지, 방향과 과제는?"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47-67, 2012

      34 권오상, "기상이변에 따른 농업생산 손실의 경제적 효과: 투입산출 및 CGE 분석" 한국농업경제학회 53 (53): 1-32, 2012

      35 조명래, "국가론의 녹색화를 위한 시론" 한국정치학회 36 (36): 47-68, 2002

      36 최승철, "경제위기, 환경위기에 대한 대안적 접근방식으로서 환경복지의 필요성" 2012

      37 고재경, "경기도 생활복지 지표개발 연구" 2013

      38 Agyeman, Julian., "‘Just Sustainability’ : The Emerging Discourse of Environmental Justice in Britain?" 170 (170): 155-164, 2004

      39 뉴스메이커, "[지상중계] 생태계가 건강해져야 인간이 건강해집니다, 기후변화 리더십과정 제1강 기후변화와 지속가능성(최재천)"

      40 "WHO 홈페이지"

      41 OECD, "The Social Dimension of Environmental Policy" Policy Brief 2006

      42 Easterbrook, G., "The Progress Paradox" Random House 2003

      43 Stiglitz, Joseph E., "The Price of Inequality : How Today’s Divided Society Endangers Our Future" W. W. Norton & Company 2012

      44 Sachs, Jeffrey D., "The Price of Civilization : Reawakening American Virtue and Prosperity" Random House 2011

      45 Asch, P., "The Incidence of Water Quality: A County Level Analysis" 16 (16): 319-324, 1980

      46 Asch, P., "Some Evidence on the Distribution of Air Quality" 54 (54): 278-297, 1978

      47 Pops, Gerald M., "Seeking Environmental Equity and Justice" KETRI 1-32, 1997

      48 고재경, "Rio+20과 한국의 지속가능발전 과제" 경기개발연구원 2012

      49 Cutter, S., "Race, Class and Environmental Justice" 19 (19): 111-122, 1995

      50 Prüss-Üstün, Annette, "Preventing Disease through Healthy Environments" WHO 2006

      51 OECD, "OECD Environmental Performance Reviews : Spain" 2004

      52 OECD, "OECD Environmental Performance Reviews : Greece" 2009

      53 Environmental Justice Protection, "No Place Like Home"

      54 Brainard, J S., "Modelling Environmental Equity : Access to Air Quality in Birmingham, England" 34 : 695-716, 2002

      55 OECD, "Health and the Environment" Policy Brief 1-8, 2008

      56 Brereton, F., "Happiness, Geography and the Environment" 65 (65): 386-396, 2008

      57 Pollin, Robert, "Green Recovery: A Program to Create Good Jobs and Start Building a Low-Carbon Economy" Center for American Progress 2008

      58 OECD, "Environmental Strategy for the First Decade of the 21st Century" 2001

      59 Bryant, B., "Environmental Justice and the Quality of Life, In Modernizing the Korean Welfare State" Transaction Publisher 261-289, 2004

      60 EPA, "Environmental Justice Collaborative Problem-Solving Cooperative Agreement Program"

      61 Bryant, B., "Environmental Justice : Issues, Policies, and Solutions" Island Press 1995

      62 Bullard, Robert, "Environmental Justice : Grassroots Activism and its Impact on Public Policy Decision Making" 56 (56): 555-578, 2000

      63 Alcamo, Joseph., "Ecosystems and Human Well-being : a Framework for Assessment" Island Press 2003

      64 Corvalán, Carlos., "Ecosystems and Human Well-Being: Health Synthesis" WHO 2005

      65 Freeman III, A. Myrick, "Distribution of Environmental Quality, In Environmental Quality Analysis:Theory and Method in the Social Sciences" The Johns Hopkins Press 243-278, 1972

      66 DARA, "Climate Vulnerability Monitor 2010 -the State of the Climate Crisis" 2010

      67 Mitchell, G., "An Environmental Justice Analysis of British Air Quality" 35 (35): 909-929, 2003

      68 환경부, "2011년 상반기 민,관합동 수질 검사 결과 먹는 물 수질 안전성 확인"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6-03-02 통합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5 0.65 0.7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1 0.67 0.964 0.2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