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조니(Ferrucio Benvenuto Busoni 1866-1924)는 피아니스트이자 작곡가로서 피아노곡에서부터 오페라, 관현악, 성악곡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장르의 작품을 남겼는데 특히, 편곡자로서 더 뛰어난 능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9339020
용인 : 명지대학교 대학원, 2003
2003
한국어
675 판사항(4)
경기도
i, 31p. : 삽도,악보 ; 26cm.
참고문헌: p. 27-29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부조니(Ferrucio Benvenuto Busoni 1866-1924)는 피아니스트이자 작곡가로서 피아노곡에서부터 오페라, 관현악, 성악곡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장르의 작품을 남겼는데 특히, 편곡자로서 더 뛰어난 능력...
부조니(Ferrucio Benvenuto Busoni 1866-1924)는 피아니스트이자 작곡가로서 피아노곡에서부터 오페라, 관현악, 성악곡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장르의 작품을 남겼는데 특히, 편곡자로서 더 뛰어난 능력을 발휘하였다. 이러한 그의 능력은 많은 편곡 작품들을 통해서 현대에 이르기까지 높이 평가되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J. S. 바흐의 편곡 작품들은 편곡의 차원을 넘어서 하나의 작품으로 승화되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본 논문에서 다루고자 하는 부조니의 피아노 편곡 작품인 「J. S. 바흐의 파르티타 2번의 5악장 샤콘느」는 이러한 부조니의 편곡 작품 중 대표적으로 손꼽히는 작품이다.
본 논문에서는 부조니가 피아노 곡으로 편곡한 Bach-Bosoni Chaconne를 중심으로 J. S. 바흐의 원곡과 비교분석하였다. 부조니가 피아노의 악기주법과 음향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시도한 현대적 화성과 선율의 첨가, 리듬의 변화, 음역의 극대화 등을 살펴보고 이러한 작곡기법별로 부조니의 샤콘느를 분석하였다.
「J. S. 바흐-부조니 샤콘느」는 조성이나 화성, 기본적 리듬의 변화에 있어서는 대체로 원곡에 충실하고 있다. 한편, 부조니는 뛰어난 피아노 연주자였던 자신의 장점을 살려 음역, 리듬, 속도, 다이나믹, 세밀한 악상 표현, 폭넓고 밀집된 화성 등을 부가시킴으로서 효과적인 편곡작품을 탄생시켰다. 또한, 편곡을 통하여 바이올린이 가진 악기의 음향적 한계를 극복하고 피아노만의 특성을 최대한 발휘하여 J. S. 바흐의 작품을 새롭게 재조명했다는 데 그 음악적 가치가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s a pianist and composer, Ferrucio Benvenuto Busoni (1866-1924) has left numerous works throughout various music genres, not only confined to piano pieces but also vocal pieces, operas, and orchestral works. He has especially showed a remarkable perf...
As a pianist and composer, Ferrucio Benvenuto Busoni (1866-1924) has left numerous works throughout various music genres, not only confined to piano pieces but also vocal pieces, operas, and orchestral works. He has especially showed a remarkable performance in the field of arrangement, which has been highly praised ceaselessly until today. Among his arranged compositions, several works based on J. S. Bach's pieces are particularly regarded as an original recreation, reaching far beyond a mere arrangement. This research is mainly focused on J. S. Bach's Partita No. 2, 5th Movement, Chaconne arranged into a piano piece by Busoni, which is one of the most representative works that fully demonstrates his talent as a brilliant arranger.
In the text, it thoroughly deals with idiosyncratic features of Busoni's original compositions and his arranged works, as well as definition of Chaconne and its fundamental traits as a variation. Moreover, in order to improve the understanding of his music, it is analytically compared with J. S. Bach's original Partita for the violin, in the aspects of rhythm, dynamic, and tempo changes. It also deals with general flow of the piece, based on the technical performing analysis.
J. S. Bach-Busoni's Chaconne ordinarily remains similar tonal, harmonic and basic rhythm pattern with its authentic piece, Nevertheless, Busoni recreated a distinguished masterpiece through enlarging tonal range, intensifying rhythmical diversity and changes in dynamics, expressing his elaborate sensitivity, and displaying broad but densely constructed harmonic texture. This is partly ascribable to the fact that he himself was an excellent pianist, having rich technical knowledge about the instrument. Its additional musical value lies in the disengagement of certain acoustical limitation that violin intrinsically has, and optimizing the piece to the piano, thereby successfully regenerating J. S. Bach's work.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