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용학은 태생적으로 융복합의 성격을 띄고 있다. 그동안의 무용학은 타학문 영역의 이론을 수용하여 예술이론으로만은 설명할 수 없는 무용현상을 다각도에서 이론적으로 규명해나가면서...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99627332
2012
Korean
무용학 ; 융복합 ; 테크늄 ; Dance Studies ; Convergence and Integration ; Techuim
310
KCI등재
학술저널
605-615(11쪽)
13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무용학은 태생적으로 융복합의 성격을 띄고 있다. 그동안의 무용학은 타학문 영역의 이론을 수용하여 예술이론으로만은 설명할 수 없는 무용현상을 다각도에서 이론적으로 규명해나가면서...
무용학은 태생적으로 융복합의 성격을 띄고 있다. 그동안의 무용학은 타학문 영역의 이론을 수용하여 예술이론으로만은 설명할 수 없는 무용현상을 다각도에서 이론적으로 규명해나가면서 무용학 영역을 확장해왔다. 그러나 디지털 혁명에 따른 테크늄과 인터렉션 그리고 자유와 개방이라는 융합사회의 특성을 종전의 무용학만으로 설명하기에는 역부족이다. 이에 국내 무용학의 융복합 연구동향을 고찰한 결과,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 무용학은 1.다양한 영역의 융복합 무용학 연구 촉발, 2.융복합 프로그램 개발 연구 시도, 3.무용디지털콘텐츠 융복합 연구 활성화, 4 융복합 무용공연예술현상 연구 이상 , 네 측면에서 각 영역이 개별적이긴 하지만 지속적으로 연구가 진행되어 왔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무용예술의 기술융합 및 과학분야와 학제간 융복합 연구 그리고 타 학문영역과 통섭연구라는 측면에서 무용학의 영역확장 및 구조변화를 일으킬 수 있는 촉진제 역할을 하고 있었다. 그러나 문제점은 현재 연구개발안이나 연구프로그램은 무용디지털콘텐츠 융합 연구이외에는, 거의 대부분 현실화되거나 실용화되는 경우가 없었다. 이에 융합시대에 따른 무용학 발전을 위하여 다음 세 가지 결론을 도출했다. 첫째, 과학과 무용과 기술 이론이 집약된 무용융합학을 제안한다. 이는 융합사회에 따른 새로운 인문학적 모델을 제시할 수 있는 학문적 토대를 마련해 줄 수 있다. 둘째, 무용학의 학제적 융합연구가 현실에서 실효성을 거둘 수 있도록 이론을 현장에 상용화하는 행동주의적 단계로 이행해야 한다. 섯째, 무용융합공연의 연구기술 축적 및 활성화를 위해 대규모 위주의 융합공연 형태에서 아이디어가 참신한 소규모 융합공연 형태로 전환이 필요하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Dance studies inherently have a nature of convergence and integration. Meanwhile, dance studies have extended their realm by investigating dance phenomena from many perspectives which art theories cannot explain. However, the previous and current danc...
Dance studies inherently have a nature of convergence and integration. Meanwhile, dance studies have extended their realm by investigating dance phenomena from many perspectives which art theories cannot explain. However, the previous and current dance studies are inadequate to explain a confluence society which is characterized as techuim, Interaction, freedom and openness according to the digital revolution. Hence, a result of research trend in domestic dance studies, it is found that dance studies have been studied in four perspectives since the early 2000s: first, a triggering the various studiesa of the convergent and integrative dance; second, an attempt to the convergent and integrative program development research; third, the vitalization of the convergent research on dance digital contents; and fourth, a research on the convergent dance art phenomena. These researches have played an important role in boosting a change in the structure and realm expansion of dance studies that are interdisciplinary research enabling a holistic approach to the integration and convergence between scientific technique, skills of dance art and other studies. However, it should be acknowledged that one problem is the current research development plan or/and research program have very little feasibility and practicality except an interdisciplinary research on the dance digital contents. Therefore, it is suggested for the development of dance studies in the age of convergence as follows: first, a dance convergent study integrated in skills and theories of dance and science that would pave the way for an academic foundation leading to a new humanistic model in the age of convergent; and second, a need for a paradigm shift that theories should be deployed in the scene on a commercial scale in order to produce effectiveness of the interdisciplinary and integrative research on dance studies by turning into a behavioristic research phase. third, it needs to changeover from large scale of convergent performance into small scale of convergent performance based on original idea for accumulation of teachnique research and promotion of dance convergent performance.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말복, "현대 춤의 디지털 미학 - 가상성과 상호작용성의 개념을 중심으로 -" 한국무용예술학회 24 (24): 1-27, 2008
2 김말복, "현대 춤의 디지털 미학 - 가상성과 상호작용성의 개념을 중심으로 -" 한국무용예술학회 24 (24): 1-27, 2008
3 권은경, "한국문화원형 기반의 OSMU형 문화콘텐츠 개발 프로세스 연구" 연세대학교 생활환경대학원 2006
4 이중원, "학문융합-철학에선 어떻게 볼 것인가?" 84 : 44-45, 2010
5 이중원, "학문융합-철학에선 어떻게 볼 것인가?" 84 : 44-45, 2010
6 홍경화, "인터렉티브(Interactive) 디지털 매체와 무용" 세종대학교 대학원 2005
7 이정모, "인지과학이 인문사회과학, 자연과학, 공학융합에 주는 시사, In 지식의 지평, 제9호" 154-166, 2010
8 정명지, "융복합 교육에서 대학 무용교육과정 개선 방안 탐색" 세종대학교 대학원 2011
1 김말복, "현대 춤의 디지털 미학 - 가상성과 상호작용성의 개념을 중심으로 -" 한국무용예술학회 24 (24): 1-27, 2008
2 김말복, "현대 춤의 디지털 미학 - 가상성과 상호작용성의 개념을 중심으로 -" 한국무용예술학회 24 (24): 1-27, 2008
3 권은경, "한국문화원형 기반의 OSMU형 문화콘텐츠 개발 프로세스 연구" 연세대학교 생활환경대학원 2006
4 이중원, "학문융합-철학에선 어떻게 볼 것인가?" 84 : 44-45, 2010
5 이중원, "학문융합-철학에선 어떻게 볼 것인가?" 84 : 44-45, 2010
6 홍경화, "인터렉티브(Interactive) 디지털 매체와 무용" 세종대학교 대학원 2005
7 이정모, "인지과학이 인문사회과학, 자연과학, 공학융합에 주는 시사, In 지식의 지평, 제9호" 154-166, 2010
8 정명지, "융복합 교육에서 대학 무용교육과정 개선 방안 탐색" 세종대학교 대학원 2011
9 정명지, "융복합 교육에서 대학 무용교육과정 개선 방안 탐색" 세종대학교 대학원 2011
10 정명지, "융복합 교육에서 대학 무용교육과정 개선 방안 탐색" 세종대학교 대학원 2011
11 엄태영, "우리 춤사위의 분석과 재구성에 기반한 다시점 영상으로부터의 감정인식" 우리춤연구소 1 (1): 1-14, 2005
12 엄태영, "우리 춤 동작의 정량적 분석을 위한 가상환경 시스템" 우리춤연구소 5 (5): 267-281, 2009
13 김현정, "센서시스템이 무용공연요소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2005
14 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 "세계콘텐츠 산업 전망:한국10대전망&세계 7대 메가 트랜드" 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 65-, 2007
15 케빈 케일리, "서울디지털포럼 2012공동기조연설"
16 유승희, "발레와 공간디자인의 통섭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1
17 안지형, "문화원형 디지털콘텐츠화 사업을 중심으로 본 무용콘텐츠 활성화 방안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8
18 이미희, "무용에서의 컴퓨터 활용 동향" 우리춤연구소 4 (4): 229-248, 2008
19 한지현, "무용에 있어서 컴퓨터 테크놀로지의 활용 : Laban Writer와 Life Forms을 중심으로"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1996
20 김민채, "무용 활성화를 위한 무용관련 동영상 UCC의 현황과 실태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0
21 정윤지, "무용 정보기술 경영을 위한 지역별 인명관리 프로그램 개발" 세종대학교 대학원 2003
22 오영근, "몸 움직임에 따른 감성표현과 공간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17 (17): 170-177, 2008
23 정현주, "모션캡처 테크놀로지를 활용한 Fouetté en Tournant의 무용역학적 분석과 3D 멀티미디어 컨텐츠 개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1
24 Negroponte,Nicholrs, "디지털이다" 커뮤니케이션북스 1996
25 유희주, "디지털시대의 커뮤니케이션 환경변화가 무용예술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대학원 2008
26 태혜신, "디지털시대 무용학 연구패러다임과 미래전망" 한국체육학회 51 (51): 411-427, 2012
27 박진희, "디지털미디어시대의 댄스와 영상디자인" 한국무용기록학회 (6) : 31-50, 2004
28 배수을, "디지털무용콘텐츠에 대한 가치 인식 조사와 발전 방안" 경희대학교 대학원 2006
29 한경자, "디지털매체를 활용한 e-러닝 무용 수업 운영사례" 대한무용학회 56 (56): 227-252, 2008
30 정보통신정책연구원, "디지털 시대, 예술과 기술의 상호작용 연구" 정보통신정책연구원 2005
31 정보통신정책연구원, "디지털 시대, 예술과 기술의 상호작용 연구" 정보통신정책연구원 25-, 2005
32 정보통신정책연구원, "디지털 시대, 예술과 기술의 상호작용 연구" 정보통신정책연구원 15-, 2005
33 황인주, "디지털 무용환경하에서의 무용교육과정 개발 연구" 한국무용기록학회 10 (10): 139-171, 2006
34 황인주, "디지털 무용교육의 현황과 발전방안" 대한무용학회 (41) : 235-256, 2004
35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무용교육의 활성화 및 발전방안 연구 - 정보통신학술연구과제" 2004
36 엄태영, "다시점 정성적/정량적 분석을 통한 우리 전통춤의 특성 이해" 우리춤연구소 2 (2): 1-15, 2006
37 이순열, "건축과 무용의 비상" 39 (39): 37-41, 1995
38 "http://www.nrf.re.kr"
39 "http://www.kocca.kr"
40 "http://www.kocca. kr"
41 "http://www. kofac.re.k"
42 "http://sports.chosun.com/news/ntype.htm"
43 "http://media.daum.net/new/view"
44 장정윤, "OSMU 방식에 의한 무용공연 콘텐츠 제작 연구" 석당학술원 (42) : 59-108, 2008
45 H. park, "Emotion Recognitin from Dance ImageSequence Using Contour Approximation" 547-555, 2004
움직임 정보 피드백이 가능한 응용을 위한 BER모델을 이용한 고속 분산 비디오 복호화 기법
uLAMP: 자연어 처리를 위한 자원 통합 관리 플랫폼
연구 개발 트렌드 분석을 위한 기술 지식 온톨로지 구축
혼합트래픽 환경에서 Open Flow 네트워크 성능 평가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7-05-04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The Korea Contents Society ->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21 | 1.21 | 1.2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29 | 1.25 | 1.573 | 0.3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