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나니아 연대기』와 문학적 환상 : 아동문학 판타지의 경계를 넘어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595214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德成女子大學校 大學院, 2017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德成女子大學校 大學院 , 英語英文學科 , 2017.8

      • 발행연도

        2017

      • 작성언어

        한국어

      • DDC

        823 판사항(22)

      • 발행국(도시)

        서울

      • 형태사항

        61 p. ; 26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禹廷旻
        (The)Chronicles of Narnia and literary fantasy: beyond the boundaries of children's literature fantasy
        참고문헌: p. 57-59

      • 소장기관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덕성여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thesis aims to explore the stereotypes of literary fantasy especially those which are categorized under the name of children’s literature, and to analyse how the ‘unrealistic’ literary fantastic world, The Chronicles of Narnia by C. S. Lewis, would be constructed by realistic notions. Fantasy literature has often been regarded as less important or valuable compared to ‘realistic’ literary works because of its escapist qualities from the real world. In spite of this unrealistic nature, literary fantasy itself can’t be considered as free and simple fancy pleasure from the real world because the fantastic world is based on realistic historical and sociocultural ideologies. The fantastic world therefore, is paradoxically bounded by complicated realistic elements that are disguised delicately as fantastic creatures.
      Since literary fantasy has frequently been included in the field of children’s literature, such limitations against the freedom of imagination have been reinforced with the notion of childhood. Adults believe children must be protected and guided because they are immature. In addition to this stereotype, based upon a legacy from Romanticism, the concept of children and childhood is strongly connected with the notion of innocence. So the notion of children is mystified, rather different from actual ‘children’ existing in the real world. Given these ideas for childhood, the fantasy novel in children’s literature area is not only treated merely as a mode of delivery for didactic lessons, but also have to meet the restrictions for its specially designated children readers.
      C. S. Lewis’s The Chronicles of Narnia has been one of the most popular children’s fantasy books in the world since its first publication in 1950’s. One might consider that Narnia is an unrealistic imaginative world where every free imagination is allowed. At the same time, one might consider that this whole series of the Narnia story would consist of ‘appropriate’ content that is suitable for children.
      Unlike these beliefs, even though fantastic Narnia seems to allow diverse elements freely, it is technically restrained perhaps more strictly compared to ‘adult’ genres. The Narnian world is constructed by the notion of children ‘imagined’ by grown-ups and social realistic ideologies just as much as other fiction. Therefore, one’s imaginary world has boundaries, so it seems ultimately impossible to escape real world mimesis through fantasy, and the value of fantasy literature is only as an assistant tool to serve a realistic purpose: education.
      Notwithstanding such limitations that are interrelated with real world factors, there are certain elements and parts that blur the clear interpretations of didactic and realistic narrative because of the undefinable nature of fantasy itself. Literary fantasy resists of the ability of readers to reach the certain purposes that are designed at the first place, allows the delay of judgements and liberates the symbols from concrete meanings. Therefore, children’s fantasy literature is not just for kids, nor just educational tools for them, but just literary fantasy itself that denies its limited perceptions.
      번역하기

      This thesis aims to explore the stereotypes of literary fantasy especially those which are categorized under the name of children’s literature, and to analyse how the ‘unrealistic’ literary fantastic world, The Chronicles of Narnia by C. S. Lewi...

      This thesis aims to explore the stereotypes of literary fantasy especially those which are categorized under the name of children’s literature, and to analyse how the ‘unrealistic’ literary fantastic world, The Chronicles of Narnia by C. S. Lewis, would be constructed by realistic notions. Fantasy literature has often been regarded as less important or valuable compared to ‘realistic’ literary works because of its escapist qualities from the real world. In spite of this unrealistic nature, literary fantasy itself can’t be considered as free and simple fancy pleasure from the real world because the fantastic world is based on realistic historical and sociocultural ideologies. The fantastic world therefore, is paradoxically bounded by complicated realistic elements that are disguised delicately as fantastic creatures.
      Since literary fantasy has frequently been included in the field of children’s literature, such limitations against the freedom of imagination have been reinforced with the notion of childhood. Adults believe children must be protected and guided because they are immature. In addition to this stereotype, based upon a legacy from Romanticism, the concept of children and childhood is strongly connected with the notion of innocence. So the notion of children is mystified, rather different from actual ‘children’ existing in the real world. Given these ideas for childhood, the fantasy novel in children’s literature area is not only treated merely as a mode of delivery for didactic lessons, but also have to meet the restrictions for its specially designated children readers.
      C. S. Lewis’s The Chronicles of Narnia has been one of the most popular children’s fantasy books in the world since its first publication in 1950’s. One might consider that Narnia is an unrealistic imaginative world where every free imagination is allowed. At the same time, one might consider that this whole series of the Narnia story would consist of ‘appropriate’ content that is suitable for children.
      Unlike these beliefs, even though fantastic Narnia seems to allow diverse elements freely, it is technically restrained perhaps more strictly compared to ‘adult’ genres. The Narnian world is constructed by the notion of children ‘imagined’ by grown-ups and social realistic ideologies just as much as other fiction. Therefore, one’s imaginary world has boundaries, so it seems ultimately impossible to escape real world mimesis through fantasy, and the value of fantasy literature is only as an assistant tool to serve a realistic purpose: education.
      Notwithstanding such limitations that are interrelated with real world factors, there are certain elements and parts that blur the clear interpretations of didactic and realistic narrative because of the undefinable nature of fantasy itself. Literary fantasy resists of the ability of readers to reach the certain purposes that are designed at the first place, allows the delay of judgements and liberates the symbols from concrete meanings. Therefore, children’s fantasy literature is not just for kids, nor just educational tools for them, but just literary fantasy itself that denies its limited perception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의 목적은 문학 작품에서 발현하는 환상의 특성을 주목하며 아동 문학 판타지의 고정관념을 넘어서는 데에 있다. 환상은 상상력의 현실 인지적 능력을 실재 세계 밖 영역까지 확장한 상상의 극단이다. 그러나 대개 이러한 환상적인 요소를 포함한 문학 작품들은 최근까지 문학사 내에서 하위 문학으로 평가되어 왔는데, 이는 이성적 현실성이 결여된 순전한 상상의 세계로서 그 가치가 떨어진다고 보여 왔기 때문이다.
      그러나 환상 문학 속의 상상의 세계는 오히려 현실적 미메시스(mimesis)의 고리로 연결되어, 실제 세계의 요소들과 궤를 같이 한다. 환상은 비슷한, 혹은 일견 전혀 다른 상(像)으로 현실적인 주제와 세계관을 투영하는 거울의 역할을 수행한다. 동시에 환상 문학 역시도 현실 속 개인의 산물이기에, 저자의 개인적, 혹은 사회· 문화적인 배경은 상상 세계 속에서 분방하게 뻗어나갈 환상적 요소를 현실적 제약 속에 정박하게 한다.
      환상 문학에 얽힌 또 다른 제약이 있다면 바로 ‘적합한’ 독자층의 범위이다. 소위 비현실적인 요소들을 포괄하는 환상 문학은 성인에게 적합하지 않다고 여겨지며, 주로 성숙하지 못한 아동기에 허락되는 요소로 그 영역이 축소되는 경향이 있다. 이런 아동을 위한 아동 문학의 맹점 중의 하나가 바로 ‘아동 문학’이 문학 그 자체로서의 문학성으로 평가받기보다는 아동에게 특정한 인지적, 교훈적 성과를 학습시키려는 도구적인 요소로 활용되는 목적에 더 가치를 둔다는 것이다.
      아동의 틀을 결정짓는 것은 ‘아동’이 아닌 성인들이기에, 아동 문학은 그 명칭과는 모순적이게도 제작과 유통, 소비까지 전적으로 성인의 손에서 이루어진다. 이에 아동 문학은 보호자적 위치의 성인이 피상적으로 상상한 아동들을 위한 산물이 되고, 동시에 성인들은 아동 문학의 내용이 어린이들에게 적합한 요소들로‘만’ 구성되어 있어야 한다고 믿는다. 이러한 까다로운 조건들로 인하여, 아동 문학으로 경계 지어지는 환상 문학들은 아동 문학의 도구적 특수성과 맞물려, 현실이 아니기에 현실의 제약이 없어야 할 자유로운 상상의 활동인 환상의 요소들을 도리어 지극히 현실적인 교훈의 목적에 맞추어 제약하는 모순적인 양상을 보이기도 한다. 그리하여 아동 문학 속의 환상 문학은, 그 독자층이 어린아이들로 상정되는 순간부터 작품의 근간을 이룬 환상에 수많은 울타리가 생겨나며, 아동의 틀에 맞춰 그 세계관이 제약 받는다.
      이처럼 환상 문학의 서사와 구성 요소들은 현실에 유리되어 있다는 편견과 달리, 실제 환상은 현실의 목적과 현실적인 주체의 세계관, 이데올로기의 한계 속에서, 모순적이게도 그 상상력이 허용되는 범위의 한계에 부딪친다. 하위 문학, 유희적 문학, 아동에게나 적합한 요소, 비현실성 등 환상 문학의 ‘환상적’인 고정관념들은 역설적으로 환상에 제동을 걸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영국의 대표적인 판타지 아동 문학 작품인 C. S. 루이스(Lewis)의 『나니아 연대기』(The Chronicles of Narnia)를 통하여 이러한 판타지 아동 문학의 ‘환상’을 분해해보고자 한다. 일곱 권으로 구성되는 방대한 나니아의 세계가 과연 현실과 동떨어져 있는 ‘환상의 나라’로만 구성이 되는 지, 그리고 『나니아 연대기』가 정말 어린이만을 위한 아동 문학의 범주로 묶여있어야 하는 지, 그리하여 상상의 나라 나니아에서는 얼마나 자유로운 상상의 힘이 허용되는 지 살펴본다.
      이를 통해 우리는 판타지 아동 문학이라는 장르에 대한 관념들이 얼마나 ‘환상적’인 지 직시할 수 있다. 판타지의 구성과 더불어, 아동 문학의 테두리 내에서 제약 받는 판타지 문학의 문학성에 대한 가치 평가의 절하는 상상이 허용하는 최대의 일탈인 환상에 경계를 긋는다.
      그러나 동시에 상상과 환상의 불분명한 정의와 명확치 않은 성질은, 명징한 도덕적 결론을 향해 서사를 전개하는 판타지 아동 문학의 한계 내에서도 해석의 새로운 여지를 남기는 경계적인 틈을 열어 둔다. 환상은 일탈과 모호한 여지, 상상의 과정을 허락한다. 환상이 주축을 이루는 이야기들은 유희적, 도구적 문학이라는 굴레를 넘어 새로운 상상적 세계관의 인지를 보여주는 요소로, 경계나 정의 없는 환상 그 자체로 남아 독자의 완전한 인지와 해석에 또 다른 가능성을 담보한다.
      번역하기

      본 논문의 목적은 문학 작품에서 발현하는 환상의 특성을 주목하며 아동 문학 판타지의 고정관념을 넘어서는 데에 있다. 환상은 상상력의 현실 인지적 능력을 실재 세계 밖 영역까지 확장한...

      본 논문의 목적은 문학 작품에서 발현하는 환상의 특성을 주목하며 아동 문학 판타지의 고정관념을 넘어서는 데에 있다. 환상은 상상력의 현실 인지적 능력을 실재 세계 밖 영역까지 확장한 상상의 극단이다. 그러나 대개 이러한 환상적인 요소를 포함한 문학 작품들은 최근까지 문학사 내에서 하위 문학으로 평가되어 왔는데, 이는 이성적 현실성이 결여된 순전한 상상의 세계로서 그 가치가 떨어진다고 보여 왔기 때문이다.
      그러나 환상 문학 속의 상상의 세계는 오히려 현실적 미메시스(mimesis)의 고리로 연결되어, 실제 세계의 요소들과 궤를 같이 한다. 환상은 비슷한, 혹은 일견 전혀 다른 상(像)으로 현실적인 주제와 세계관을 투영하는 거울의 역할을 수행한다. 동시에 환상 문학 역시도 현실 속 개인의 산물이기에, 저자의 개인적, 혹은 사회· 문화적인 배경은 상상 세계 속에서 분방하게 뻗어나갈 환상적 요소를 현실적 제약 속에 정박하게 한다.
      환상 문학에 얽힌 또 다른 제약이 있다면 바로 ‘적합한’ 독자층의 범위이다. 소위 비현실적인 요소들을 포괄하는 환상 문학은 성인에게 적합하지 않다고 여겨지며, 주로 성숙하지 못한 아동기에 허락되는 요소로 그 영역이 축소되는 경향이 있다. 이런 아동을 위한 아동 문학의 맹점 중의 하나가 바로 ‘아동 문학’이 문학 그 자체로서의 문학성으로 평가받기보다는 아동에게 특정한 인지적, 교훈적 성과를 학습시키려는 도구적인 요소로 활용되는 목적에 더 가치를 둔다는 것이다.
      아동의 틀을 결정짓는 것은 ‘아동’이 아닌 성인들이기에, 아동 문학은 그 명칭과는 모순적이게도 제작과 유통, 소비까지 전적으로 성인의 손에서 이루어진다. 이에 아동 문학은 보호자적 위치의 성인이 피상적으로 상상한 아동들을 위한 산물이 되고, 동시에 성인들은 아동 문학의 내용이 어린이들에게 적합한 요소들로‘만’ 구성되어 있어야 한다고 믿는다. 이러한 까다로운 조건들로 인하여, 아동 문학으로 경계 지어지는 환상 문학들은 아동 문학의 도구적 특수성과 맞물려, 현실이 아니기에 현실의 제약이 없어야 할 자유로운 상상의 활동인 환상의 요소들을 도리어 지극히 현실적인 교훈의 목적에 맞추어 제약하는 모순적인 양상을 보이기도 한다. 그리하여 아동 문학 속의 환상 문학은, 그 독자층이 어린아이들로 상정되는 순간부터 작품의 근간을 이룬 환상에 수많은 울타리가 생겨나며, 아동의 틀에 맞춰 그 세계관이 제약 받는다.
      이처럼 환상 문학의 서사와 구성 요소들은 현실에 유리되어 있다는 편견과 달리, 실제 환상은 현실의 목적과 현실적인 주체의 세계관, 이데올로기의 한계 속에서, 모순적이게도 그 상상력이 허용되는 범위의 한계에 부딪친다. 하위 문학, 유희적 문학, 아동에게나 적합한 요소, 비현실성 등 환상 문학의 ‘환상적’인 고정관념들은 역설적으로 환상에 제동을 걸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영국의 대표적인 판타지 아동 문학 작품인 C. S. 루이스(Lewis)의 『나니아 연대기』(The Chronicles of Narnia)를 통하여 이러한 판타지 아동 문학의 ‘환상’을 분해해보고자 한다. 일곱 권으로 구성되는 방대한 나니아의 세계가 과연 현실과 동떨어져 있는 ‘환상의 나라’로만 구성이 되는 지, 그리고 『나니아 연대기』가 정말 어린이만을 위한 아동 문학의 범주로 묶여있어야 하는 지, 그리하여 상상의 나라 나니아에서는 얼마나 자유로운 상상의 힘이 허용되는 지 살펴본다.
      이를 통해 우리는 판타지 아동 문학이라는 장르에 대한 관념들이 얼마나 ‘환상적’인 지 직시할 수 있다. 판타지의 구성과 더불어, 아동 문학의 테두리 내에서 제약 받는 판타지 문학의 문학성에 대한 가치 평가의 절하는 상상이 허용하는 최대의 일탈인 환상에 경계를 긋는다.
      그러나 동시에 상상과 환상의 불분명한 정의와 명확치 않은 성질은, 명징한 도덕적 결론을 향해 서사를 전개하는 판타지 아동 문학의 한계 내에서도 해석의 새로운 여지를 남기는 경계적인 틈을 열어 둔다. 환상은 일탈과 모호한 여지, 상상의 과정을 허락한다. 환상이 주축을 이루는 이야기들은 유희적, 도구적 문학이라는 굴레를 넘어 새로운 상상적 세계관의 인지를 보여주는 요소로, 경계나 정의 없는 환상 그 자체로 남아 독자의 완전한 인지와 해석에 또 다른 가능성을 담보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요약 1
      • Ⅰ. 서 론 3
      • Ⅱ. 문학적 환상: 실재와 상상의 영역 6
      • 국문요약 1
      • Ⅰ. 서 론 3
      • Ⅱ. 문학적 환상: 실재와 상상의 영역 6
      • 1. 토도로프의 정의: 망설임 7
      • 2. 잭슨의 정의: 환상이 담보하는 현실의 전복성 9
      • 3. 흄의 정의: 미메시스와 환상의 통합 13
      • Ⅲ. 아동과 아동 문학 판타지 15
      • 1. 아동의 탄생과 아동 문학의 역사 15
      • 2. 아동에의 낭만적 환상과 아동 문학의 특수성 18
      • Ⅳ. 『나니아 연대기』와 아동 문학 판타지의 경계들 25
      • 1. 나니아, 현실과 상상의 교차점: 상상으로의 유입과 현실적 이데올로기의 한계 26
      • 2. 아동 문학으로서의 『나니아 연대기』: 아동 문학의 규범과 굴레 34
      • 3. 기독교적 세계로서의 『나니아 연대기』: 종교적 암시와 부정적 한계 42
      • 4. 나니아, 상징과 제한을 넘어서: 규범과 확정적 의미의 해체 47
      • Ⅴ. 결 론 54
      • 참고문헌 58
      • ABSTRACT 6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