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초록 최근 Z세대가 소비의 주역, 마케팅 대상으로 주목받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Z세대 부동산학 전공 대학생들의 향후 주거 및 출산 인식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천안시 소재...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국문초록 최근 Z세대가 소비의 주역, 마케팅 대상으로 주목받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Z세대 부동산학 전공 대학생들의 향후 주거 및 출산 인식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천안시 소재...
국문초록
최근 Z세대가 소비의 주역, 마케팅 대상으로 주목받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Z세대 부동산학 전공 대학생들의 향후 주거 및 출산 인식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천안시 소재 부동산학과 재학생 110명을 대상으로 2024년 5월 1일부터 6월 30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후 회수된 110부 중 100부만의 설문지를 SPSS V.18.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및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희망하는 주택의 규모는 30평형과 20평형의 거실, 주방 공간이 큰 경기도 권역과 서울시 역세권의 아파트를 가장 많이 선호했고, 다세대/연립/빌라는 선호도가 낮았다. 응답자의 86%가 수도권지역에 주거를 희망하는바, 향후 수도권 집중이 더 심화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둘째, 주택구입 시 고려하는 주택 가격은 6억~10억 원대로서 향후 가격상승 가능성의 투자가치를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고, 조망권․일조권보다도 유해시설(소음, 진동, 공해)의 유무를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대학 졸업 후, 희망 지역의 주택 구입 실현과 결혼 계획 실현도 6~10년 이내가 가장 많았다.
넷째, 자가주택 구입 실현 후 계획하는 자녀출산 인원은 2명이 가장 높았으나 자가주택의 구입 미실현 시 자녀출산 계획 인원은 0명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출산율을 높일 수 있는 신혼부부의 주거정책 인식은 ‘2명 출산 시 10억 이하의 자가주택 구입 비용의 70% 융자지원’이 가장 높았다.
이러한 Z세대의 주거 및 출산 인식의 결과는 저출산 초고령사회 도래에 따른 인구의 사회적 지속가능성을 위해 주택 및 사회정책 수립에 고려되어야 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bstract Recently, Generation Z has been attracting attention as a driving force of consumption and a target of market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future housing and childbirth perceptions of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real ...
Abstract
Recently, Generation Z has been attracting attention as a driving force of consumption and a target of market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future housing and childbirth perceptions of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real estate among Generation Z.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on 110 real estate students in Cheonan City from May 1 to June 30, 2024.
Afterwards,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on only 100 of the 110 copies of the questionnaire collected using the SPSS V.18.0 statistical program. The analysis results and implications are as follows.
First, as for the size of the desired house, most people preferred apartments in the Gyeonggi-do area and Seoul subway areas with large living room and kitchen spaces of 30 pyeong and 20 pyeong, while multi-family houses/rows/villas were less preferred. 86% of respondents wish to live in the metropolitan area, and these results suggest that population concentration in the metropolitan area may accelerate further in the future. Second, when considering purchasing a house, the house price considered was in the range of 600 million to 1 billion won, and the investment value of the possibility of future house price increases was recognized as the most important. In additi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harmful facilities (noise, vibration, pollution) was recognized as more important than the right to view and sunlight.
Third, after graduating from university, most of the time it took to purchase a house in the desired area and to realize marriage plans were within 6 to 10 years. Fourth, after realizing the purchase of one's own home, the number of people planning to have children was highest at 2 people, but when the purchase of one's own home was not realized, the number of people planning to have children was 0. Lastly, the highest awareness of newlyweds' housing policy that can increase the birth rate was "bank loan support for 70% of the purchase cost when giving birth to two children and purchasing a home worth less than 1 billion won." For the social sustainability of the population following the advent of a low birth rate and super-aging society, the results of Generation Z's perception of housing and childbirth should be considered in establishing housing and social policies.
토지소유권 보호를 위한 소형드론의 비행 규제에 관한 연구
국가유산 체제로의 개편에 따른 제·개정 법률의 검토 - 손실보상을 중심으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