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un-su Kim understood the essence of French symbolism as Platonism. The concept of Platonism’s Idea is inherited by Baudelaire’s poetics of artificial paradise and Mallarmé and Valéry’s metaphysical exploration of the self. The concept of pur...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7894467
2021
Korean
폴 발레리 ; 김춘수 ; 순수시 ; 상징주의 ; 시인-철학자 ; Paul Valey ; Chun-su Kim ; Pure Poetry ; Symbolism ; poet-philosopher
KCI등재
학술저널
167-198(32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Chun-su Kim understood the essence of French symbolism as Platonism. The concept of Platonism’s Idea is inherited by Baudelaire’s poetics of artificial paradise and Mallarmé and Valéry’s metaphysical exploration of the self. The concept of pur...
Chun-su Kim understood the essence of French symbolism as Platonism. The concept of Platonism’s Idea is inherited by Baudelaire’s poetics of artificial paradise and Mallarmé and Valéry’s metaphysical exploration of the self. The concept of pure poetry as poetry that is composed of only musical elements excluding all elements other than poetry was artistically realized in Baudelaire’s poetry, starting with Poe. The first use of the phrase “la poésie pure” in Valéry’s poetics was found in “Avant-propos à la Connaissance de la Déesse”. Next, in Valéry’s prose “Situation de Baudelaire”, he thought that Mallarmé developed Baudelaire’s poetry with perfection and poetic purity. In Valéry’s prose “Propos sur la Poésie”, he pointed out that the expression of excitement was incidentally pure. In Valéry’s prose “Nécessité de la Poésie”, he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intellect in poetizing and the importance of abstract thinking. Furthermore, he asserted that poetry should be inevitably narcissism. Finally, in Valéry’s prose “Poésie Pure”, it was emphasized that pure poetry should be an inaccessible ideal. Chun-su Kim described in detail the pure poetry that built up abstract thoughts into the poet’s inner world through the musical language in Poetics. Chun-su Kim analyzed Valéry’s poetry in Sense and Nonsense, and criticized Valéry’s poetry for failing to reach the ideal of pure poetry in that it was speculative. Valéry’s poetics of pure poetry was adopted in Chun-su Kim’s poetry. When Chun-su Kim created the works of the musical and philosophical pure poetry, it was same as Valéry’s. On the other hand, Valéry’s poetics of pure poetry was criticized in Chun-su Kim’s poetics, when Chun-su Kim wrote an autobiographical epic that embraced Korean tradition and history. In conclusion, Chun-su Kim created a new poetics beyond poetics of pure poetry by appropriating Valéry’s poetics.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발레리, 폴, "해변의 묘지" 민음사 1996
2 폴 발레리, "해변의 묘지" 민음사 1996
3 김윤식, "한국문학의 이론" 일지사 1974
4 조영복, "한국 현대시와 언어의 풍경" 태학사 1999
5 레몽, 마르셀, "프랑스 현대시사" 현대문학 221-247, 2015
6 문충성, "프랑스 상징주의 시와 한국의 현대시" 제주대학교 출판부 2000
7 김경란, "프랑스 상징주의" 연세대학교 출판부 2005
8 김진하, "폴 발레리의 '정신(esprit)'의 시학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3
9 르가르, 앙드레, "폴 발레리. 발레리 시전집" 민음사 225-238, 1987
10 노은희, "폴 발레리 시에 나타난 몸, 에스프리 그리고 세계" 한국프랑스학회 72 : 263-282, 2010
1 발레리, 폴, "해변의 묘지" 민음사 1996
2 폴 발레리, "해변의 묘지" 민음사 1996
3 김윤식, "한국문학의 이론" 일지사 1974
4 조영복, "한국 현대시와 언어의 풍경" 태학사 1999
5 레몽, 마르셀, "프랑스 현대시사" 현대문학 221-247, 2015
6 문충성, "프랑스 상징주의 시와 한국의 현대시" 제주대학교 출판부 2000
7 김경란, "프랑스 상징주의" 연세대학교 출판부 2005
8 김진하, "폴 발레리의 '정신(esprit)'의 시학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3
9 르가르, 앙드레, "폴 발레리. 발레리 시전집" 민음사 225-238, 1987
10 노은희, "폴 발레리 시에 나타난 몸, 에스프리 그리고 세계" 한국프랑스학회 72 : 263-282, 2010
11 오주리, "이데아로서의 ‘꽃’ 그리고 ‘책’-김춘수 시론에서의 말라르메 시론의 전유-" 우리문학회 (67) : 275-311, 2020
12 장경렬, "응시와 성찰" 문학과지성사 2008
13 신원철, "영미시 연구자의 눈으로 읽은 보들레르와 서정주" 한국동서비교문학학회 (44) : 81-99, 2018
14 윌슨, 에드먼드, "악셀의 성" 홍성사 1997
15 김현, "상상력과 인간·시인을 찾아서: 김현 문학 전집 3" 문학과지성사 1991
16 최귀동, "뽈 발레리 연구" 배재대학교 7 : 1985
17 유제식, "뽈 발레리 연구" 신아사 1995
18 바디우, 알랭, "비미학" 이학사 2010
19 김기봉, "발레리의 시와 사유체계" 소나무 2000
20 咸有宣, "발레리의 시에 나타난 자아 탐구"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1993
21 이진성, "발레리의 순수시론과 브르몽의 순수시론" 인문학연구원 63 : 235-263, 1990
22 레몽, 마르셀, "발레리와 존재론" 예림기획 1999
23 발레리, 폴, "발레리 시전집(詩全集)" 민음사 1987
24 블랑쇼, 모리스, "문학의 공간" 그린비 2014
25 바르트, 롤랑, "목소리의 결정" 동문선 2006
26 블랑쇼, 모리스, "도래할 책" 그린비 2011
27 김유중, "김춘수의 문학과 구원" 한중인문학회 (45) : 51-79, 2014
28 김유중, "김춘수와 존재의 성화(聖化) -김춘수와 루오-" 한국어문학회 (128) : 215-246, 2015
29 김유중, "김춘수와 도스토예프스키 (1) -시집 『들림, 도스토예프스키』에 나타난 대화적 관계의 특성-" 한중인문학회 (49) : 1-35, 2015
30 이재선, "김춘수연구" 학문사 1982
31 오주리, "김춘수 형이상시의 존재와 진리 연구 - 천사의 변용을 중심으로" 국학자료원 2020
32 남기혁, "김춘수 초기시의 자아 인식과 미적 근대성- '무의미의 시'로 이르는 길" 한국시학회 (1) : 64-100, 1998
33 조남현, "김춘수 연구" 학문사 1982
34 유치환, "김춘수 연구" 학문사 1982
35 유기룡, "김춘수 연구" 학문사 1982
36 이승훈, "김춘수 연구" 학문사 1982
37 김용직, "김춘수 연구" 학문사 1982
38 김주연, "김춘수 연구" 학문사 1982
39 김춘수, "김춘수 시론 전집 II" 현대문학 2004
40 김춘수, "김춘수 시론 전집 I" 현대문학 2004
41 김춘수, "김춘수 시 전집" 현대문학 2004
42 김유중, "김춘수 문학을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한국현대문학회 (30) : 443-466, 2010
43 바르트, 롤랑, "글쓰기의 영도" 동문선 2007
44 플라톤, "국가" 서광사 2011
45 김성택, "「해변의 묘지 Le Cimetière marin」의 구조 연구 : 오르페우스 신화의 회귀" 한국불어불문학회 (88) : 41-77, 2011
46 Baudelaire, Charles, "Œuvres complètes II" Gallimard 2016
47 Baudelaire, Charles, "Œuvres complètes I" Gallimard 2016
48 Valéry, Paul, "Œuvres I" Gallimard 1361-1378, 1957
49 Valéry, Paul, "Œuvres I" Gallimard 1957
50 Valéry, Paul, "Œuvres I" Gallimard 598-613, 1957
51 Valéry, Paul, "Œuvres I" Gallimard 1378-1390, 1957
52 Valéry, Paul, "Œuvres I" Gallimard 686-706, 1957
53 Valéry, Paul, "Œuvres I" Gallimard 1314-1339, 1957
54 Valéry, Paul, "Œuvres I" Gallimard 1456-1463, 1957
55 Mallarmé, Stéphane, "Œuvres Complètes II" Gallimard 2003
56 Valéry, Paul, "Variété III, IV et V" Gallimard 1938
57 Valéry, Paul, "Variété I et II" Gallimard 1930
58 Blüher, Karl Alfred, "Valéry et Kant" L’Harmattan 92 : 2002
59 Poe, Edgar Allan, "The Poetic Principle" A Word to the Wise 2013
60 Poe, Edgar Allan, "The Complete Works of Edgar Allan Poe: Criticism Volume 7·8·9. Memphis" General Books 2012
61 Signorile, Patricia, "Regards sur Paul Valéry" Musée Paul Valéry 47-70, 2011
62 Brémond, Henri, "Prière et Poésie" Hachette Livre BNF 2018
63 Rey, Alain, "Paul Valéry-intelligence et sensualité" Musée Paul Valéry 2014
64 Jarrety, Michel, "Paul Valéry-en ses miroirs intimes" Musée Paul Valéry 13-33, 2013
65 Cianni, Jean-Louis, "Paul Valéry-contemporain" Musée Paul Valéry 47-64, 2012
66 Liebert, Georges, "Paul Valéry et les Artes" Actes Sud 1995
67 Launay, Claude, "Paul Valéry" La Manufacture 1990
68 김진아, "P. Valéry의 La jeune Parque에 나타난 여성의 이미지와 운동"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69 Nunez, Laurent, "Le Magazine Littéraire" Autmne 2011
70 Brémond, Henri, "La Poésie Pure - avec un Débat sur la Poésie" Hachette Livre BNF 2018
71 Prigent, Michel, "Histoire de la France littéraire Tome 3: Modrenités XIXe-XXe siècle" PUF 298-300, 2015
72 Valéry, Paul, "Cahiers II" Gallimard 1974
73 이지수, "(A) la recherche du fonctionnement de l'esprit" 서강대학교 대학원 2002
영화 〈토미리스: 전쟁의 여신〉을 통해 본 스키타이 문화와 샤머니즘 고찰
트랜스미디어 전략과 기법을 활용한 캐릭터와 내러티브 확장 연구
『네 사중주』에 나타난 T. S. 엘리엇의 시간 인식에 대한 고찰: 선(禪)불교적 시간을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3-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56 | 0.56 | 0.55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 | 0.45 | 1.007 | 0.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