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네 사중주』에 나타난 T. S. 엘리엇의 시간 인식에 대한 고찰: 선(禪)불교적 시간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esent ‘directionality’ for the proper understanding of Four Quartets in terms of Zen Buddhism. In the Four Quartets, T. S. Eliot considers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 in time, a life of bondage and suffering, and life in eternity, freedom, and happiness. The basis of the poem remains Eastern with the Bhagavad-Gita as the primary source of inspiration beyond his belief as an Anglo-Catholic. Furthermore, the spiritual leader of Hinduism, Maharishi’s Vedic Science is the most comprehensive discuss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 in time and life in eternity. Therefore, Four Quartets has many points of view and voices which interlace Christian, Hindu and Buddhist philosophies and traditions. Zen is unity consciousness: individual life raised to the level of the universal, and the temporal raised to the level of the eternal. Time and timelessness are fundamental to Zen. It is a way of simply seeing life without abstractions and preconceptions beyond time. Zen is also defined as waking up in the present and Zen is beyond time and timelessness. From these perspectives, we can see the relationship between Four Quartets and Zen Buddhism.
      번역하기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esent ‘directionality’ for the proper understanding of Four Quartets in terms of Zen Buddhism. In the Four Quartets, T. S. Eliot considers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 in time, a life of bondage and sufferin...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esent ‘directionality’ for the proper understanding of Four Quartets in terms of Zen Buddhism. In the Four Quartets, T. S. Eliot considers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 in time, a life of bondage and suffering, and life in eternity, freedom, and happiness. The basis of the poem remains Eastern with the Bhagavad-Gita as the primary source of inspiration beyond his belief as an Anglo-Catholic. Furthermore, the spiritual leader of Hinduism, Maharishi’s Vedic Science is the most comprehensive discuss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 in time and life in eternity. Therefore, Four Quartets has many points of view and voices which interlace Christian, Hindu and Buddhist philosophies and traditions. Zen is unity consciousness: individual life raised to the level of the universal, and the temporal raised to the level of the eternal. Time and timelessness are fundamental to Zen. It is a way of simply seeing life without abstractions and preconceptions beyond time. Zen is also defined as waking up in the present and Zen is beyond time and timelessness. From these perspectives, we can see the relationship between Four Quartets and Zen Buddhism.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Ⅱ. 선(禪)의 기원인 불교와 선(禪)
      • Ⅲ. 「번트 노턴」(“Burnt Norton”): “Still Point”와 비유비무(非有非無)
      • Ⅳ. 「이스트 코우커」(“East Coker”): 회광반조(廻光返照)
      • Ⅴ. 「드라이 샐비지즈」(“The Dry Salvages”): 선정(禪定)
      • Ⅰ. 서론
      • Ⅱ. 선(禪)의 기원인 불교와 선(禪)
      • Ⅲ. 「번트 노턴」(“Burnt Norton”): “Still Point”와 비유비무(非有非無)
      • Ⅳ. 「이스트 코우커」(“East Coker”): 회광반조(廻光返照)
      • Ⅴ. 「드라이 샐비지즈」(“The Dry Salvages”): 선정(禪定)
      • Ⅵ. 「리틀 기딩」(“Little Gidding”): 연기(緣起)와 공(空)
      • Ⅶ. 결론
      • Works Cited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석지현, "임제록" 민족사 2019

      2 최희섭, "월러스 스티븐즈와 불교사상" 5 : 22-23, 2000

      3 중촌원, "용수의 삶과 사상" 불교시대사 1993

      4 동봉, "용수의 대승사상" 관음 출판사 1994

      5 성창규, "영미시에 나타난 날개의 시학과 새 이미저리의 메타분석" 한국동서비교문학학회 (53) : 175-201, 2020

      6 최종수, "엘리엇의 속과 성에 대한 집념" 11 : 66-67, 2001

      7 최창호, "엘리어트의 네 개의 四重奏 그 理解와 鑑賞" 三志社 1988

      8 박희선, "선의 탐구: 증도가의 세계" 홍법원 1982

      9 엘리엇, T. S., "브래들리 철학의 인식과 경험" 형설 1997

      10 동국대학교, "불교경전" 역경원 1986

      1 석지현, "임제록" 민족사 2019

      2 최희섭, "월러스 스티븐즈와 불교사상" 5 : 22-23, 2000

      3 중촌원, "용수의 삶과 사상" 불교시대사 1993

      4 동봉, "용수의 대승사상" 관음 출판사 1994

      5 성창규, "영미시에 나타난 날개의 시학과 새 이미저리의 메타분석" 한국동서비교문학학회 (53) : 175-201, 2020

      6 최종수, "엘리엇의 속과 성에 대한 집념" 11 : 66-67, 2001

      7 최창호, "엘리어트의 네 개의 四重奏 그 理解와 鑑賞" 三志社 1988

      8 박희선, "선의 탐구: 증도가의 세계" 홍법원 1982

      9 엘리엇, T. S., "브래들리 철학의 인식과 경험" 형설 1997

      10 동국대학교, "불교경전" 역경원 1986

      11 김정휴, "달을 가리키면 달을 봐야지 손가락 끝은 왜 보고 있나" 대원정사 1990

      12 석지현, "禪으로 가는 길" 일지사 1989

      13 오경웅, "禪學의 黃金時代. 서돈각" 삼일당 1978

      14 김용정, "佛敎와 現代思想" 同和出版公社 1982

      15 Gish, Nancy K., "Time in the Poetry of T. S. Eliot: A Study in Structure and Theme" The Macmillan P 1981

      16 Moody, A. D, "Thomas Stearns Eliot : Poet" Cambridge UP 1980

      17 Park, Kyung-Il, "The Study on T. S. Eliot" 5 : 44-50, 1997

      18 Eliot, T. S., "The Sacred Wood: Essays on Poetry and Criticism" Methuen 1972

      19 Eliot, T. S., "The Sacred Wood: Essays on Poetry and Criticism" Methuen 1972

      20 Kenner, Hugh, "The Invisible Poet: T. S. Eliot" Methuen 1959

      21 Eliot, T. S., "The Complete Poems and Plays of T. S. Eliot" Faber and Faber 1978

      22 Eliot, T. S., "The Complete Poems and Plays of T. S. Eliot" Dongguk UP 2001

      23 정갑동, "T. S. 엘리엇의 불교사상" 7 : 34-35, 1999

      24 박경일, "T. S. 엘리엇과 불교" 52-60, 1993

      25 이창배, "T. S. 엘리엇 인간과 문학" 동국대학교 2001

      26 김양수, "T. S. Eliot의 詩와 思想" 한신문화사 1992

      27 김동룡, "T. S. Eliot’s Poetry" 신아 1988

      28 Hay, Eloise Knapp, "T. S. Eliot’s Negative Way" Harvard UP 1982

      29 Traversi, Derek, "T. S. Eliot: The Longer Poems" Harcourt Brace Jovanovich 1976

      30 Unger, Leonard, "T. S. Eliot: Moments and Patterns" Minnesota UP 1966

      31 Bergonzi, Bernard, "T. S. Eliot: Four Quartets" The Macmillan 1969

      32 Bodelsen, C. A., "T. S. Eliot: Four Quartets" Rosenbilde and Baggen 1966

      33 Shusterman, Richard, "T. S. Eliot and the Philosophy of Criticism" Columbia UP 1988

      34 Spender, Stephen, "T. S. Eliot" The Viking 1975

      35 Eliot, T. S., "On Poetry and Poets" Faber and Faber 1979

      36 이명섭, "Four Quartets와 태장계 만달라에 육화된 자비와 신앙" (창간) : 117-145, 1993

      37 Eliot, T. S., "Essays Ancient and Modern" Faber and Faber 1936

      38 Eliot, T. S., "Collected Poems, 1909-1962" Faber and Faber 1909

      39 Bradley, F. H., "Appearance And Reality" Clarendon 1951

      40 Eliot, T. S., "After Strange Gods: A Primer of Modern Heresy" Faber and Faber 1933

      41 Kim, Hyun-Ho, "A Zen Buddhist Approach to T. S. Eliot’s Four Quartets" Unpublished Personal Studies 200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6 0.56 0.5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 0.45 1.007 0.1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