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녹비보리의 환원시기가 후작물 벼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20070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보리를 녹비로 이용하기 위하여 녹비보리 토양 환원시기가 후작물 벼 생육 및 수량에 마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경기도 수원의 국립식량과학원 시험포장에서 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

      보리를 녹비로 이용하기 위하여 녹비보리 토양 환원시기가 후작물 벼 생육 및 수량에 마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경기도 수원의 국립식량과학원 시험포장에서 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호밀과 보리의 질소함량은 생육 초기에 1.4~2.4%, 생육후기에 0.6~1.0%를 나타냈다. 2. 보리 바이오매스량은 출수기에 421 kg/l0a, 출수 후 10일에 449 kg/10a, 출수 후 20일에 473 kg/ l0a이었고, C/N율은 출수기에 26.3, 출수 후 10 일에 38.0, 출수 후 20 일에 42.5로 출수 후 시간이 경과함에 띠라 C/N율이 높아졌다. 3. 보리의 지상부 질소함량은 출수기에 0.9~1.5%로 가장 높았고 출수 후 시간이 경과하면서 점차 낮아졌으며, 질소 총함유량은 출수기에 4.3, 출수후 20일에 6.3 kg/10a이였다. 4. 녹비보리 지상부에 함유된 질소, 인산, 칼리 총량은 출수 후 10일에 가장 높게 나타났다. 5. 후작물 벼의 생육은 녹비보리 투입구가 표준시비구에 비하여 간장이 7.2~7.7 cm 길었으며, 수장은 녹비보리 투입구와 표준시비구가 비슷한 경향이었다. 6. 후작물 벼 정조의 질소총량은 출수기 녹비보리 토양투입구 > 출수 후 10 일 녹비보리 토양투입구 > 출수 후 20일 녹비보리 토양 투입구 순으로 많았고, 볏짚의 질소 총량도 같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7. 쌀 수량은 출수기 녹비보리 토양투입구는 457 kg/l0a, 출수 후 10 일 녹비보리 토양투입구는 465 kg/10a, 출수 후 20일 녹비보리 토양투입구는 438 kg/10a로 관행시비구 515 kg/10a 에 비하여 10~15% 낮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o use barley as a green manure crop, this study has been conducted in Suwon, Gyeonggi-do to establish the barley green manure (BGM)-rice cropping system with emphasis on soil incorporation date and BGM density. The nitrogen (N) contents of rye and ba...

      To use barley as a green manure crop, this study has been conducted in Suwon, Gyeonggi-do to establish the barley green manure (BGM)-rice cropping system with emphasis on soil incorporation date and BGM density. The nitrogen (N) contents of rye and barley, grass green manure crops, were 1.4~2.4% at early growth stage and decreased rapidly to 0.6~1.0% at late growth stage. The biomass of barley was 449 kg/l0a at heading stage (HS) and increased to 421 kg/10a at 10 days after heading stage (DAH), 473 kg/10a at 20 DAH. C/N ratio of BGM was the lowest 26.3 at HS. The N contents of BGM was in the range of 0.9~1.5%, the highest at HS and gradually decreased, and the output of N were 4.3-6.3 kg/10a. The total amount of nitrogen, phosphorous and potassium of BGM showed the highest level at 10 DAH. Culm length of rice was relatively longer as the BGM application time was delayed. The application of BGM into soil increased plant height of rice by 7.2~7.7 em as compared to the plants treated with commercial fertilizer at recommended rate. but panicle length of rice showed a similar tendency in both the soil-applied of BGM and commercial fertilizer. N contents of unhulled rice was the highest at HS of BGM and followed by 10 DAH of BGM and 20 DAH of BGM. This trend could also be seen in rice straw. The yield of rice in the soil-applied of BGM was 10~15% lower than in the soil-applied of commercial fertilizer. Based on this study, application of BGM made it possible to save 30~50% of application amount of nitrogen fertilizer for following crop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송범헌, "친환경농업기술 개발을 위한 벼 재배 시 벼의 생육 및 수량에 대한 두과와 화본과 녹비작물의 효과" 한국작물학회 55 (55): 144-150, 2010

      2 김상열, "장기간 보리후작 벼 건답직파재배시 벼 생육, 수량 및 토양 물리화학성 변화"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 18 (18): 281-286, 2006

      3 손보균, "자운영 및 보리 재배 혼입처리에 따른 벼의 생육과 수량" 한국토양비료학회 37 (37): 156-164, 2004

      4 이종식, "수원지역 빗물의 이온 조성" 한국토양비료학회 40 (40): 151-155, 2007

      5 신상욱, "보리후작 벼 건답직파 시 보리짚 시용에 따른 토양질소 변화와 벼 생육 및 수량성"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 18 (18): 112-115, 2006

      6 양창휴, "벼 재배시 녹비작물 혼입에 따른 지력개선 효과" 한국토양비료학회 42 (42): 371-378, 2009

      7 農村振興廳, "農業科學技術調査分析 基準" 2003

      8 大森正, "稻, 麥わら施用による土壤の理化學性變化" 中國農業試驗場 5 : 65-67, 1970

      9 Jeon, W. T, "Effect of Hairy Vetch-Bariey Mixtures on Soil Physical Properties by Different Years" 8-, 2009

      10 Kim, C. G, "Effect of Hairy Vetch as Green Manue on Rice Cultivation" 35 (35): 169-174, 2002

      1 송범헌, "친환경농업기술 개발을 위한 벼 재배 시 벼의 생육 및 수량에 대한 두과와 화본과 녹비작물의 효과" 한국작물학회 55 (55): 144-150, 2010

      2 김상열, "장기간 보리후작 벼 건답직파재배시 벼 생육, 수량 및 토양 물리화학성 변화"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 18 (18): 281-286, 2006

      3 손보균, "자운영 및 보리 재배 혼입처리에 따른 벼의 생육과 수량" 한국토양비료학회 37 (37): 156-164, 2004

      4 이종식, "수원지역 빗물의 이온 조성" 한국토양비료학회 40 (40): 151-155, 2007

      5 신상욱, "보리후작 벼 건답직파 시 보리짚 시용에 따른 토양질소 변화와 벼 생육 및 수량성"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 18 (18): 112-115, 2006

      6 양창휴, "벼 재배시 녹비작물 혼입에 따른 지력개선 효과" 한국토양비료학회 42 (42): 371-378, 2009

      7 農村振興廳, "農業科學技術調査分析 基準" 2003

      8 大森正, "稻, 麥わら施用による土壤の理化學性變化" 中國農業試驗場 5 : 65-67, 1970

      9 Jeon, W. T, "Effect of Hairy Vetch-Bariey Mixtures on Soil Physical Properties by Different Years" 8-, 2009

      10 Kim, C. G, "Effect of Hairy Vetch as Green Manue on Rice Cultivation" 35 (35): 169-174, 2002

      11 Jeon. W. T, "Changes of Rice yield and Soil Physical Properties by Incorporation of Barley and Barley+hairy vetch mixture in Different Soil Textures" 23-, 200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6 0.46 0.4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9 0.49 0.91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