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경산 소월리 유적 출토 人面透刻土器와 목간의 기능 - 목간의 기능과 농경의례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90227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경산 소월리 유적 수혈 유구에서는 목간과 함께 인면투각토기, 시루토기, 나뭇가지다발 목제품 등이 동반 출토되었다. 나뭇가지 다발은 풍작기원 관련 주술행위와 유관하며, 시루토기는 경...

      경산 소월리 유적 수혈 유구에서는 목간과 함께 인면투각토기, 시루토기, 나뭇가지다발 목제품 등이 동반 출토되었다. 나뭇가지 다발은 풍작기원 관련 주술행위와 유관하며, 시루토기는 경산 지역에서 고래로 제의에 활용되었다. 인면투각토기 역시 제의과 유관하며, 묘사된 인면은 지역사회의 농경과 안녕을 관장하는 토착신을 의인화한 것으로 보인다. 민속지적 사례로 볼 때, 영동신과 그 성격이 흡사해 보인다. 한편 이들과 함께 매납된 목간 역시 제의물의 용도로서 헌상된 것으로 판단된다. 지역사회의 소출이 기록된 목간의 내용, 75cm라는 장대한 외형은 풍작기원의 취지에 부합한다. 이 목간은 원래는 관문서로서 작성되었다가 그 문서적 기능이 폐기된 후, 2차적으로 지역사회의 농경의례에 활용되었다. 용도폐기 된 관문서가 지역 농경의례에 활용되었다는 것은, 국가가 지역사회의 농업 및 농경의례까지도 깊숙이 간여하고 있었음을 말해준다. 즉 토지개간과 수리시설 확충, 농업진작을 매개로 국가의 지역사회에 대한 장악이 국가의 저변 바닥까지 관철되고 있었음을 보여준다. 또 6세기초에 불교가 공인된 이후인 6~7세기 단계에도 여전히 지역사회에서는 도교 혹 토착색 짙은 종교와 신앙이 지역사회를 규제하고 있었으며, 국가 역시 지역 관리에 토착 종교를 존중하며 이에 의존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e pit remains of Sowol-ri in Gyeongsan-si, human face carved earthenware, Siru earthenware, and wooden items made with bundles of twigs were found along with a wooden tablet. The bundles of twigs are linked to the practice of witchcraft relating ...

      In the pit remains of Sowol-ri in Gyeongsan-si, human face carved earthenware, Siru earthenware, and wooden items made with bundles of twigs were found along with a wooden tablet. The bundles of twigs are linked to the practice of witchcraft relating to good harvest prayers and the Siru Earthenware was used to steam the underfloor pipes of the house in the Gyeongsan area. The Human Face Carved Earthenware is also related to ritualism as the human face depicted is believed to be a personification of the indigenous spirit responsible for the farming and well-being of the local community. According to folklore, the nature of Yeongdongshin is similar. It is also believed that the Wooden Tablet, which was buried together, was also used as a ritual object. The Wooden Tablet records the local community’s harvest and the grand appearance of 75cm is consistent with the purpose of good harvest prayer.
      The Wooden Tablet was originally prepared as an official document, but after its documentary function was discarded, it was used for farming rituals in the local community. The use of discarded official documents in local agricultural rituals evidences that the state was deeply involved in the farming rituals of the local community. In other words, the state"s control of the community was being carried out to the bottom through land reclamation, expansion of repair facilities, and agricultural promotion. Even in the 6th and 7th centuries, after Buddhism was introduced in the early 6th century, Taoism or indigenous religions and faiths still regulated the community and the state was also seen to rely on local administration, thereby respecting indigenous religion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1. 序言
      • 2. 木簡 共伴遺物의 樣相과 農耕儀禮
      • 3. 木簡의 再活用과 그 時期
      • 4. 結言
      • 국문초록
      • 1. 序言
      • 2. 木簡 共伴遺物의 樣相과 農耕儀禮
      • 3. 木簡의 再活用과 그 時期
      • 4. 結言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橋本繁, "한국출토 論語 목간의 원형복원" 2020

      2 최준식, "한국의 풍속 민간신앙"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005

      3 김종대, "한국의 도깨비 연구" 국학자료원 1994

      4 임석재, "한국의 도깨비" 국립민속박물관 1981

      5 국립창원문화재연구소, "한국의 고대 목간" 2005

      6 오승연, "투각 인면문 옹형 토기가 출토된 경산 소월리 유적" 국립문화재연구소 2020

      7 전옥천, "집안의 주인 조왕신" 천케이 2008

      8 한전사전연구사, "종교학대사전" 한국사전연구사 1998

      9 이능화, "조선무속고" 2008

      10 송재선, "우리말 속담 큰사전" 서문당 1983

      1 橋本繁, "한국출토 論語 목간의 원형복원" 2020

      2 최준식, "한국의 풍속 민간신앙"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005

      3 김종대, "한국의 도깨비 연구" 국학자료원 1994

      4 임석재, "한국의 도깨비" 국립민속박물관 1981

      5 국립창원문화재연구소, "한국의 고대 목간" 2005

      6 오승연, "투각 인면문 옹형 토기가 출토된 경산 소월리 유적" 국립문화재연구소 2020

      7 전옥천, "집안의 주인 조왕신" 천케이 2008

      8 한전사전연구사, "종교학대사전" 한국사전연구사 1998

      9 이능화, "조선무속고" 2008

      10 송재선, "우리말 속담 큰사전" 서문당 1983

      11 오승환, "시루의 形式分類와 變遷過程에 關한 試論" 호남고고학회 17 : 41-82, 2003

      12 김성식, "부여 쌍북리 56번지 사비한옥마을 조성부지 유적 출토 목간" 한국목간학회 (21) : 341-353, 2018

      13 이관호, "볏가릿대고" 국립민속박물관 4 : 2002

      14 이용현, "백제문화사대계12" 충남역사문화원 2007

      15 황루시, "무당굿놀이개관" 3 : 1980

      16 윤선태, "동아시아 고대도서의 축조의례와 월성해자 목간" 2017

      17 전경효, "동아시아 고대 도서의축조의례와 월성해자 목간" 2017

      18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동아시아 고대 도서의 축조의례와 월성해자 목간" 2017

      19 국립부여박물관·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 "나무 속 암호 목간(특별전 도록)"

      20 이수훈, "김해 양동산성 출토 목간의 검토" 효원사학회 58 : 253-284, 2020

      21 이선미, "김해 양동산성 집수지 유적" 대성동고분박물관 2020

      22 松永悅枝, "고분출토 취사용 토기로 본 고대 한·일 장송의례의 비교 -일본열도 瀨戶內地域을 중심으로-" 영남고고학회 (50) : 81-109, 2009

      23 이용현, "계양산성 논어목간은 언제 만든 것일까"

      24 국립문화재연구소, "경상북도 세시풍속" 2002

      25 화랑문화재연구원, "경산 소월리 유적 사람 얼굴 모양 토기 출토" 문화재청 182 : 2020

      26 전경효, "경산 소월리 목간의 기초적 검토" 한국목간학회 (24) : 357-378, 2020

      27 고대민족문화연구소, "韓國民俗文化大觀4: 세시풍속, 전승놀이" 1982

      28 橋本繁, "金海出土論語木簡と新羅社會" 193 : 2004

      29 宋在璇, "農漁俗談辭典" 東文選 1995

      30 戸部 民夫, "神秘の道具" 新紀元社 2001

      31 公益財団法人向日市埋蔵文化財センター, "物忌木簡" 2018

      32 이용현, "月城垓子: 발굴조사보고2 고찰" 2004

      33 이용현, "慶山 所月里 木簡의 내용"

      34 이용현, "慶山 所月里 木簡의 綜合的 分析 : 木簡의 機能과 農耕儀禮" 2021

      35 이용현, "慶山 所月里 木簡에 보이는 지명의 지역적 범주"

      36 平川南, "墨書土器の研究" 2000

      37 高島英之, "古代出土文字資料の研究" 2000

      38 이기문, "俗談辭典" 一潮閣 1995

      39 鬼塚久美子, "人面墨書土器からみた古代における祭祀の場" 181 : 1996

      40 黃曉芬, "中國漢代" 70 : 2000

      41 三品彰英, "三品彰英論文集4 : 增補日鮮神話傳說の硏究" 1972

      42 손환일, "「경산소월리출토목간」의 내용과 서체" 한국고대사탐구학회 (34) : 581-618, 202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3-24 학회명변경 영문명 : Academy of Humanitie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Institute of Humanities Studie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4-02-12 학회명변경 한글명 : 인문과학연구소 -> 인문학술원
      영문명 : Institute of Humanitie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Academy of Humanitie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