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시민사회 및 사회운동의 지형과 민주주의의 발전 방향: 한국, 필리핀, 칠레의 비교 = The Terrains of Civil Society and Social Movements, and the Direction of Democracy: Comparison between Korea, Philippine and Chil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43585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에서는 시민사회와 사회운동의 지형이 민주주의의 발전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으며, 나아가 민주주의의 발전이 역으로 시민사회와 사회운동의 지형 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를 ...

      이 글에서는 시민사회와 사회운동의 지형이 민주주의의 발전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으며, 나아가 민주주의의 발전이 역으로 시민사회와 사회운동의 지형 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그래서 여기서는 유사한 민주주의 발전 경로를 보여주고 있는 한국, 필리핀, 칠레의 역사적 경험들을 비교 분석해 볼 것이다. 세 나라는 민주화 이후의 시민사회와 사회운동의 지형과 이를 반영하는 정치적 지배구조에서 차이를 보여주는데, 이것은 실질적 민주주의의 발달 수준에서 차이로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보면 민주화 이후에 집권한 정치세력(정당)이 어떠한 개혁정책을 실시하였고, 이 정책들이 구체제와의 단절에 얼마나 성공하였느냐에 따라 시민사회와 사회운동의 지형은 변화하게 된다. 이것은 실질적 민주주의의 발달 방향에 영향을 미친다. 그러므로 신자유주의 경제정책을 실시해온 민간 정권에서 이에 대항하는 시민사회 세력들의 연대와 연합의 형태가 실질적 민주주의의 발전 가능성을 가늠하는 잣대가 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article, I want to study how the terrain of civil society and social movements affected the development of democracy and how the development of democracy affected the change of the terrain of civil society and social movements inversely. Thus ...

      In this article, I want to study how the terrain of civil society and social movements affected the development of democracy and how the development of democracy affected the change of the terrain of civil society and social movements inversely. Thus I will compare the historical experiences of Korea, Philippine and Chile which show similar development paths of democracy. The three countries show a little difference in the terrain of civil society and social movements, and the structure of political domination which reflects the terrain since Democratization.
      Overall, the terrain of civil society and social movements will change depending on what policies the ruling political forces(parties) carried out and how successful the policies were for the break with the old regime. This affects the direction of the development of substantial democracy. Thus in the civil government which has carried out the neo-liberalist economic policy, tthe form of solidarity and coalition in civil society against the policy in civil society will be the yardstick to gauge the possibilities of the development of democrac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조희연, "한국 민주주의와 사회운동의 동학" 나눔의 집 2002

      2 박기덕, "필리핀의 정치변동과 시민사회의 역할: 호혜적 포섭, 전략적 동원 그리고 민주적 참여" 한국정치학회 36 (36): 263-285, 2002

      3 정영국, "필리핀의 정당정치와 민주주의 공고화" 한국동남아학회 14 (14): 87-120, 2004

      4 정영국, "필리핀의 민주화와 좌파혁명세력의 쇠퇴" (6) : 1998

      5 서경교, "필리핀의 민주주의: 민주화 과정을 통한 고찰" 한국동남아학회 15 (15): 1-39, 2005

      6 박승우, "필리핀의 노동운동: 사회주의, 민족주의, 민주주의 운동의 대위법적 결합" (97) : 2005

      7 박승우, "필리핀의 과두제 민주주의, in 복합적 갈등 속의 아시아 민주주의" 한울 2008

      8 Ferrer, Miriam C., "필리핀, 선거와 민주주의: 공고화를 향한 지그재그 경로" (겨울) : 2003

      9 박기덕, "필리핀 정당체제의 변화와 정당정치의 문제점: 사회구조와 정치행태를 중심으로" (11) : 2001

      10 박사명, "필리핀 사회운동의 충격과 전환" 39 (39): 1999

      1 조희연, "한국 민주주의와 사회운동의 동학" 나눔의 집 2002

      2 박기덕, "필리핀의 정치변동과 시민사회의 역할: 호혜적 포섭, 전략적 동원 그리고 민주적 참여" 한국정치학회 36 (36): 263-285, 2002

      3 정영국, "필리핀의 정당정치와 민주주의 공고화" 한국동남아학회 14 (14): 87-120, 2004

      4 정영국, "필리핀의 민주화와 좌파혁명세력의 쇠퇴" (6) : 1998

      5 서경교, "필리핀의 민주주의: 민주화 과정을 통한 고찰" 한국동남아학회 15 (15): 1-39, 2005

      6 박승우, "필리핀의 노동운동: 사회주의, 민족주의, 민주주의 운동의 대위법적 결합" (97) : 2005

      7 박승우, "필리핀의 과두제 민주주의, in 복합적 갈등 속의 아시아 민주주의" 한울 2008

      8 Ferrer, Miriam C., "필리핀, 선거와 민주주의: 공고화를 향한 지그재그 경로" (겨울) : 2003

      9 박기덕, "필리핀 정당체제의 변화와 정당정치의 문제점: 사회구조와 정치행태를 중심으로" (11) : 2001

      10 박사명, "필리핀 사회운동의 충격과 전환" 39 (39): 1999

      11 장석준, "칠레판 민주대엽합 균열"

      12 김원호, "칠레의 패러독스 Pre-피노체트 세력의 신자유주의 발전전략" 한국라틴아메리카학회 18 (18): 5-38, 2005

      13 원재홍, "칠레의 민주화" (18) : 2001

      14 곽재성, "칠레의 민주주의: 피노체트의 정치적 유산과 민주화 과정" (봄) : 2004

      15 조돈문, "칠레 민주정권 시기의 노사관계와 노동조합의 선택" 한국라틴아메리카학회 19 (19): 5-42, 2006

      16 조돈문, "칠레 민주 정권의 신자유주의 경제정책: 다시 생각해보는 "성공신화"" 한국라틴아메리카학회 17 (17): 5-43, 2004

      17 Rueschemeyer, Dietrich, "자본주의 발전과 민주주의: 민주주의의 비교역사 연구" 나남출판 1997

      18 허성우, "아시아 민주주의, 젠더-거버넌스와 사회경제적 독점해체: 필리핀 사계를 중심으로, in 아시아 민주화와 사회경제적 불평 등의 동학" 한울 2009

      19 이남섭, "신자유주의 시대 칠레 사회정책의 변화와 시민사회의 대응" 한국라틴아메리카학회 17 (17): 45-79, 2004

      20 조영훈, "신자유주의 사회개혁 이후:칠레 중도좌파 정부 사회정책의 한계" 한국사회학회 37 (37): 4-90, 2003

      21 정태석, "시민사회의 다원적 적대들과 민주주의" 후마니타스 2007

      22 서두원, "사회운동과 한국민주주의"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2002

      23 허성우, "민주화 이후 필리핀 여성운동의 변화·분화와 신자유주의 대항 헤게모니, in 아시아 정치변동과 사회운동의 변화" 한울 2010

      24 박승우, "민주화 이후 필리핀 사회운동의 변화, in 아시아 정치변동과 사회운동의 변화" 한울 2010

      25 박승우, "민주주의 이행 이후 필리핀의 사회경제적 독점과 그 변형적 재편, in 아시아 민주화와 사회경제적 불평등의 동학" 한울 2009

      26 김원호, "남미가 확 보인다" 학민사 2001

      27 마인섭, "남미 신자유주의 경제개혁과 복지개혁의 정치: 칠레, 아르헨티나, 브라질" 한국정치외교사학회 29 (29): 135-162, 2007

      28 Gey, Peter, "국제노동: 칠레의 경제성장, 노사관계, 노동운동" (54) : 2001

      29 O’Donnell, Guillermo, "Transitions from Authoritarian Rule: Tentative Conclusions about Uncertain Democracies"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986

      30 Oxhorn, Philip, "Organizing Civil Society: The Popular Sectors and the Struggle for Democracy in Chile" Penn State University Press 1995

      31 Przeworski, Adam, "Democracy and the Market" Cambridge Univ. Press 199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4-15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사회과학연구소 -> 한국사회과학연구회
      영문명 : Korea Social Science Institute -> Korea Social Science Studies Association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59 1.59 1.5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8 1.29 2.393 0.4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