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정부조직법 개편의 비교를 통해서 본 축적부재의 한국 대통령제 = Korean Presidentialism without Inter-Presidential Continuity: An Analysis through Comparative Review of the Administrative Reorganization Ac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85569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regards the presidential politics without inter-presidential continuity as one of the gravest challenges the current Korean presidentialism faces. To explore into this endemic problem of Korean presidentialsim, this article compares the first Administrative Reorganization Acts of each of the new Administrations since the 1987 democratization with the last ones of the its immediately previous Administration. This article finds that there has been the attempts by the new president to “undo,“ or differentiate itself from, the policies pursued by its previous president, and that the motivation would be stronger when the Administration changes took place between the parties with different political ideologies, and when there was a series of sustained intra-party feud between the outgoing president and the incoming one even within the same party.
      번역하기

      This article regards the presidential politics without inter-presidential continuity as one of the gravest challenges the current Korean presidentialism faces. To explore into this endemic problem of Korean presidentialsim, this article compares the f...

      This article regards the presidential politics without inter-presidential continuity as one of the gravest challenges the current Korean presidentialism faces. To explore into this endemic problem of Korean presidentialsim, this article compares the first Administrative Reorganization Acts of each of the new Administrations since the 1987 democratization with the last ones of the its immediately previous Administration. This article finds that there has been the attempts by the new president to “undo,“ or differentiate itself from, the policies pursued by its previous president, and that the motivation would be stronger when the Administration changes took place between the parties with different political ideologies, and when there was a series of sustained intra-party feud between the outgoing president and the incoming one even within the same part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민주화 이후 지금까지 한국 대통령제가 안고 있는 문제 가운데 하나를 린즈가 지적한 바있는 대통령제의 고정된 임기문제와 관련하여 “축적부재의 대통령제”로 규정하였다. 이러한 전제 하에서 이 글은 민주화 이후 역대 행정부의 정부조직법에 대한 비교분석을 통해서 축적부재를 야기하는 신임 대통령의 차별화의 시도가 존재하고 있는지를 검토하였다. 일반적으로 지적되어 온 대통령과 의회 간의 대립, 승자독식, 그리고 고정된 임기가 가져오는 대통령제의 문제점 이외에도, 민주화이후의 한국 대통령제는 행정부 간 정책연속성을 저해하여 국가적인 차원에서 경쟁력을 약화시키는축적부재의 대통령제라는 고질적인 문제를 안고 있다고 보인다. 실제로 직전 대통령 임기 중의 마지막 정부조직법과 신임 대통령의 임기 최초의 정부조직법을 비교해 보면, 새로운 행정부에 의해서 전임 행정부와의 차별화를 시도하려는 노력이 존재해 왔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차별화 시도는 특정조건 하에서 더욱 강하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었는데, 전반적으로 정권의 이념이 바뀌면서 정권교체가 이루어지는 경우나 혹은 정권의 이념이 바뀌지 않고 정권이 이양되는 경우라도 동일한 정당 소속신임 대통령과 전임 대통령 간의 당내 갈등이 심각했던 경우가 그러한 조건에 속한다고 추정된다. 3 김시대가 종식되고 정당에 대한 장악력이 상대적으로 약화된 대선후보가 등장하여 새로운 대통령으로 당선될 때, 이러한 정치적 동기가 그 요인 가운데 하나로 작동하는 차별화의 유혹은 점점 더 커져갈 우려가 있어 한국 대통령제의 문제로 부각될 수 있다.
      번역하기

      이 글은 민주화 이후 지금까지 한국 대통령제가 안고 있는 문제 가운데 하나를 린즈가 지적한 바있는 대통령제의 고정된 임기문제와 관련하여 “축적부재의 대통령제”로 규정하였다. 이러...

      이 글은 민주화 이후 지금까지 한국 대통령제가 안고 있는 문제 가운데 하나를 린즈가 지적한 바있는 대통령제의 고정된 임기문제와 관련하여 “축적부재의 대통령제”로 규정하였다. 이러한 전제 하에서 이 글은 민주화 이후 역대 행정부의 정부조직법에 대한 비교분석을 통해서 축적부재를 야기하는 신임 대통령의 차별화의 시도가 존재하고 있는지를 검토하였다. 일반적으로 지적되어 온 대통령과 의회 간의 대립, 승자독식, 그리고 고정된 임기가 가져오는 대통령제의 문제점 이외에도, 민주화이후의 한국 대통령제는 행정부 간 정책연속성을 저해하여 국가적인 차원에서 경쟁력을 약화시키는축적부재의 대통령제라는 고질적인 문제를 안고 있다고 보인다. 실제로 직전 대통령 임기 중의 마지막 정부조직법과 신임 대통령의 임기 최초의 정부조직법을 비교해 보면, 새로운 행정부에 의해서 전임 행정부와의 차별화를 시도하려는 노력이 존재해 왔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차별화 시도는 특정조건 하에서 더욱 강하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었는데, 전반적으로 정권의 이념이 바뀌면서 정권교체가 이루어지는 경우나 혹은 정권의 이념이 바뀌지 않고 정권이 이양되는 경우라도 동일한 정당 소속신임 대통령과 전임 대통령 간의 당내 갈등이 심각했던 경우가 그러한 조건에 속한다고 추정된다. 3 김시대가 종식되고 정당에 대한 장악력이 상대적으로 약화된 대선후보가 등장하여 새로운 대통령으로 당선될 때, 이러한 정치적 동기가 그 요인 가운데 하나로 작동하는 차별화의 유혹은 점점 더 커져갈 우려가 있어 한국 대통령제의 문제로 부각될 수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강원택, "한국정치에서 이원적 정통성의 갈등 해소에 대한 논의: 준대통령제를 중심으로" 7 (7): 29-50, 2001

      2 김용호, "한국의 민주화 이후 단점 ․ 분점정부에 대한 평가" 1 (1): 89-114, 2002

      3 박경미, "한국의 민주주의: 공고화를 넘어서 심화로" 도서출판 오름 2012

      4 김용호, "한국의 대통령제 헌정질서의 불안정 요인 분석 : 분점정부와 대통령-국회간의 대립" 동아시아국제정치학회 8 (8): 257-284, 2005

      5 곽진영, "한국 정당의 이합집산과 정당체계의 불안정성" 한국정당학회 8 (8): 115-146, 2009

      6 오승용, "한국 분점정부의 입법과정 분석: 13대-16대 국회의 중심으로" 한국정치학회 38 (38): 167-192, 2004

      7 장훈, "한국 대통령제의 불안정성의 기원: 분점정부의 제도적, 사회적, 정치적 기원" 35 (35): 107-127, 2001

      8 "정부조직법"

      9 송희영, "전대통령 탓하기"

      10 "이명박 행정부 최초 정부조직법 [시행 2008.2.29.] [법률 제8852호, 2008.2.29., 전부개정] [제정 ․ 개정이유]"

      1 강원택, "한국정치에서 이원적 정통성의 갈등 해소에 대한 논의: 준대통령제를 중심으로" 7 (7): 29-50, 2001

      2 김용호, "한국의 민주화 이후 단점 ․ 분점정부에 대한 평가" 1 (1): 89-114, 2002

      3 박경미, "한국의 민주주의: 공고화를 넘어서 심화로" 도서출판 오름 2012

      4 김용호, "한국의 대통령제 헌정질서의 불안정 요인 분석 : 분점정부와 대통령-국회간의 대립" 동아시아국제정치학회 8 (8): 257-284, 2005

      5 곽진영, "한국 정당의 이합집산과 정당체계의 불안정성" 한국정당학회 8 (8): 115-146, 2009

      6 오승용, "한국 분점정부의 입법과정 분석: 13대-16대 국회의 중심으로" 한국정치학회 38 (38): 167-192, 2004

      7 장훈, "한국 대통령제의 불안정성의 기원: 분점정부의 제도적, 사회적, 정치적 기원" 35 (35): 107-127, 2001

      8 "정부조직법"

      9 송희영, "전대통령 탓하기"

      10 "이명박 행정부 최초 정부조직법 [시행 2008.2.29.] [법률 제8852호, 2008.2.29., 전부개정] [제정 ․ 개정이유]"

      11 "이명박 행정부 마지막 정부조직법 [시행 2011.10.26.] [법률 제10912호, 2011.7.25., 타법개정]"

      12 손병권, "새로운 행정부의 대내외 과제와전망: 변화와 지속" 2013

      13 "박근혜 행정부 최초 정부조직법 [시행 2013.3.23.] [법률 제11690호, 2013.3.23., 전부개정] [제정 ․ 개정이유]"

      14 강원택, "대통령제, 내각제와 이원정부제: 통치형태의 특성과 운영의 원리" 인간사랑 2006

      15 박재완, "대통령 일 잘하면 10년 맡기는 시스템 필요"

      16 "노태우 행정부 마지막 정부조직법 [시행 1991.7.8.] [법률 제4371호, 1991.5.31., 타법개정]"

      17 "노무현 행정부 최초 정부조직법 [시행 2004.3.11.] [법률 제7186호, 2004.3.11., 일부개정] [제정 ․ 개정이유]"

      18 "노무현 행정부 마지막 정부조직법 [시행 2007.11.12.] [법률 제8417호, 2007.5.11., 타법개정]"

      19 "김영삼 행정부 최초 정부조직법 [시행 1993.3.6.] [법률 제4541호, 1993.3.6., 일부개정][제정 ․ 개정이유]"

      20 "김영삼 행정부 마지막 정부조직법 [시행 1996.8.8.] [법률 제5153호, 1996.8.8., 일부개정]"

      21 "김대중 행정부 최초 정부조직법 [시행 1998.2.28.] [법률 제5529호, 1998.2.28., 전부개정] [제정 ․ 개정이유]"

      22 "김대중 행정부 마지막 정부조직법 [시행 2002.1.19.] [법률 제6622호, 2002.1.19., 타법개정]"

      23 Linz, Juan, "The Perils of Presidentialism" 1 (1): 51-69, 1990

      24 Linz, Juan J., "The Failure of Presidential Democracy:Comparative Perspectives. Vol. I"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994

      25 Linz, Juan, "The Failure of Presidential Democracy"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994

      26 Marsteintredet, Leiv, "Reducing the Perils of Presidentialism in Latin America through Presidential Interruptions" 41 (41): 83-101, 2008

      27 Negretto, Gabriel L., "Minority Presidents and Democratic Performance in Latin America" 48 (48): 63-92, 2006

      28 Cheibub, Jose Antonio, "Minority Governments, Deadlock Situations, and the Survival of Presidential Democracies" 35 (35): 284-312, 2002

      29 Valenzuela, Arturo, "Latin American Presidencies Interrupted" 15 (15): 5-19, 2004

      30 Valenzuela, Arturo, "Latin America: Presidentialism in Crisis" 4 (4): 3-16, 1993

      31 Mainwaring, Scott, "Juan Linz, Presidentialism and Democracy" 29 (29): 449-471, 1997

      32 O'Donnell, Guillermo, "Horizontal Accountability in New Democracies" 9 (9): 112-126, 1998

      33 Perez-Linan, Anibal, "Democratization and Constitutional Crises in Presidential Regimes: Toward Congressional Supremacy?" 38 (38): 51-74, 2005

      34 Lijphart, A., "Democracies: Patterns of Majoritarian and Consensus Government in Twenty-One Countries" Yale University Press 1984

      35 Fukuyama, Francis, "Challenge and Change in East Asia: Facing the Perils of Presidentialism?" 16 (16): 102-116, 200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 0.5 0.3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 0.37 0.67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