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Discourse Marker kunyang in Korean as a Second Languag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06849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중국인 이주노동자의 구어 담화에 나타난담화표지 ‘그냥’의 사용과 발달 양상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국어 능력에 따라 상(5), 중(11), 하(12)의 세 그룹으로 나뉜 28명...

      본 연구는 중국인 이주노동자의 구어 담화에 나타난담화표지 ‘그냥’의 사용과 발달 양상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국어 능력에 따라 상(5), 중(11), 하(12)의 세 그룹으로 나뉜 28명의 중국인 이주노동자와 다섯 명의 상급 중국 유학생과의 인터뷰를 통해 구어 담화를채집하고 이들의 발화에 나타난 담화표지 ‘그냥’의 기능과 의미를 분석하였다. 또한 원어민 비교 자료로 세종말뭉치 중 일상대화 부분을 선택하여54,467단어의 말뭉치를 만들었다 ‘그냥’의 기능은 이정애(2002), 박혜선(2012), 심란희(2011), 그리고 Maschler(1994, 2009)를 참고하여 여덟 범주로분류하였다.
      이주노동자들은 한국어 능력이 중급에 도달하기 전까지는 ‘그냥’을 사용하지 못하였다. 고급단계의 학습자들은 중급 학습자에 비해 채우기 기능의‘그냥’은 적게 사용하고 상호작용을 돕는 ‘그냥’을 더 많이 사용하여 언어발달 단계에 따라 ‘그냥’의 기능이 인지기능에서 상호작용기능으로 발달함을 보였다. 한국 거주 기간이 82개월인 고급단계 이주노동자에 비해 거주기간이 42개월인 유학생이 좀 더 유창하게 ‘그냥’을 사용함을 볼 때 비교수(untutored) 언어습득의 한계를 엿볼 수 있다. 한국인 화자와 중국인 학습자의 자료에 나타난 ‘그냥’의 분포의 차이는 자료 수집의 방법과 관련되었을 수도 있다. 따라서 추후 연구에서는 인터뷰가 아닌 자유대화와 같은 다양한 자료 수집을 통해 담화표지의 사용 양상을 살펴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서희정, "한국어 교육 항목으로서의 담화표지 '말이다'에 대한 고찰" 이중언어학회 43 (43): 217-246, 2010

      2 신수진, "초등 저학년 아동의 학년에 따른 이야기 산출 능력"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12 (12): 16-31, 2007

      3 엄진숙,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요’ 습득 양상" 이중언어학회 41 (41): 229-269, 2009

      4 박혜선, "담화표지어 ‘좀’ 사용 연구: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국응용언어학회 27 (27): 29-52, 2011

      5 박혜선, "담화표지어 ‘그냥’에 대하여" 대한언어학회 20 (20): 211-228, 2012

      6 Fraser, B., "What are Discourse Markers?" 31 : 931-952, 1999

      7 Liao, S., "Variation in the Use of Discourse Markers by Chinese Teaching Assistants in the US" 41 : 1313-1328, 2009

      8 Chun, J-E., "Sengpyol-ey Ttalun Hankwuke Pwusa Sayong Yangsang : Sejong Kwue Malmwungchi-lul Hwalyonghaye. (‘The Different Usage of Korean Adverbs in Male and Female Speech : Using Sejong Korean Corpus’)" 47 : 257-281, 2010

      9 Brinton, L., "Pragmatic Markers in English : Grammaticalization and Discourse Functions" Mouton de Gruyter 1996

      10 Brown, P., "Politeness : Some Universals in Language Usa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7

      1 서희정, "한국어 교육 항목으로서의 담화표지 '말이다'에 대한 고찰" 이중언어학회 43 (43): 217-246, 2010

      2 신수진, "초등 저학년 아동의 학년에 따른 이야기 산출 능력"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12 (12): 16-31, 2007

      3 엄진숙,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요’ 습득 양상" 이중언어학회 41 (41): 229-269, 2009

      4 박혜선, "담화표지어 ‘좀’ 사용 연구: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국응용언어학회 27 (27): 29-52, 2011

      5 박혜선, "담화표지어 ‘그냥’에 대하여" 대한언어학회 20 (20): 211-228, 2012

      6 Fraser, B., "What are Discourse Markers?" 31 : 931-952, 1999

      7 Liao, S., "Variation in the Use of Discourse Markers by Chinese Teaching Assistants in the US" 41 : 1313-1328, 2009

      8 Chun, J-E., "Sengpyol-ey Ttalun Hankwuke Pwusa Sayong Yangsang : Sejong Kwue Malmwungchi-lul Hwalyonghaye. (‘The Different Usage of Korean Adverbs in Male and Female Speech : Using Sejong Korean Corpus’)" 47 : 257-281, 2010

      9 Brinton, L., "Pragmatic Markers in English : Grammaticalization and Discourse Functions" Mouton de Gruyter 1996

      10 Brown, P., "Politeness : Some Universals in Language Usa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7

      11 Min, Y-M., "Mokwuke-wa Swuktalto-ey Ttalun Damhwa Pyoci Mwe-uy Uymi Kinung Ihay (‘A Study about Understanding of Semantic Functions of Discourse Marker Mwe according to Learners’ Native Language and Proficiency’)" Ewha Womans University 2011

      12 Maschler, Y., "Metalanguaging and Discourse Markers in Bilingual Conversation" 23 : 325-366, 1994

      13 Maschler, Y., "Metalanguage in Interaction : Hebrew Discourse Markers" John Benjamins 2009

      14 Ahn, E-J, "Malmwungchi-lul Iyonghan Ehwi-uy Kwueseng Chukceng-kwa Hwalyong(‘A Study on the Orality Score of Words and its Application Using Corpus’)" 57 : 93-119, 2008

      15 Hellerman, J., "Language Which is Not Taught: Discourse Marker Use of Beginning Adult Learners of English" 39 : 157-179, 2007

      16 Lee, J-A., "Kwuke Hwayongpyoci-uy Yenkwu(‘Korean Discourse Markers’)" Welin 2002

      17 Han, H-M., "Iyaki Damhwa-ey Natananun Damhwa Pyoci Sayong Yangsang Yenkwu (‘Discourse Marker in Narratives’), In Hankwue Haksupca-uy Cwungkan Ene Yenkwu (‘A Study of Interlanguage of Korean Learners’)" Communication Books 439-472, 2005

      18 Lee, H-J., "Hankwuke-uy Kule-hyeng Tamhwapyoci Yenkwu(‘A Study of Kule-form Discourse Markers in Korean’)" Yonsei University 2003

      19 Paek, E-J., "Hankwuke Moe Hwaca-wa Hankwuke Haksupca-uy Tamhwapyoci Sayong Yangsang Tayco Yenkwu (‘A Study of Comparison between Native Korean Speakers and Foreign Learners in Use of Discourse Markers’)" Youngnam University 2011

      20 Lam, P., "Discourse Particles in Corpus Data and Textbooks : The Case of Well" 31 : 260-281, 2009

      21 Müller, S., "Discourse Markers in Native and Non-native English Discourse" John Benjamins 2005

      22 Fung, L., "Discourse Markers and Spoken English : Native and Learner Use in Pedagogic Settings" 28 : 410-439, 2007

      23 Schourup, L. C., "Discourse Markers" 107 : 227-265, 1999

      24 Schiffrin, D., "Discourse Marker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7

      25 Fuller, J., "Discourse Marker Use Across Speech Contexts : A Comparison of Native and Non-native Speaker Performance" 22 : 185-208, 2003

      26 Craig, H. K., "Average C-unit Lengths in the Discourse of African-American Children from Low-income, Urban Homes" 41 : 433-444, 1998

      27 Fischer, K., "Approaches to Discourse Particles" Elsevier 2006

      28 Shen, L-J., "A Study on the Discourse Marker Kunyang for Korean Language Teaching Focused on Communication" Yonsei University 2011

      29 Martin, S., "A Reference Grammar of Korean. Rutland, Vermont & Tokyo" Charles E. Tuttle Co 1992

      30 Kyungja Ahn, "A Discourse-Pragmatic Study of com in Korean." 언어교육원 45 (45): 257-281, 200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1 1.01 1.0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5 1 1.563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