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동료를 지도하는 수학 학습 능력 우수 학생의 학습 과정 탐색 = Exploring on Learning Process of Higher-Level Performers during Peer Tutoring in Mathematic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74417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mall Group Collaborative Instruction in school settings has been endorsed by many educational experts over the years. Some studies found that learners greatly benefit from one another through communication and interaction with their peers. These stud...

      Small Group Collaborative Instruction in school settings has been endorsed by many educational experts over the years. Some studies found that learners greatly benefit from one another through communication and interaction with their peers. These studies previously indicated improvement of a learner’s academic ability as well as the application of the affective domain when using this type of instruction. Lower-level students with limited mathematical abilities improved their problem-solving and conceptual thinking skills when tasked to work with other learners. On the other hand, the effectiveness of this process was questioned to be less evident with higher-level performers. Therefore, this study was designed to observe the efficacy of Small Group Collaborative Instruction on higher-level students and to explore their learning process as they interact with and teach lower-level students. This study observed that higher-level students use high-level mathematical thinking skills when helping lower-level students, and they improved problem-solving ability as well as communication skill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많은 교육학자들은 학교 수업에서 소집단 협력학습을 강조하고 있다. 소집단 협력학습은 구성원 간의 의사소통을 통해 학습 능력의 향상 뿐 아니라 정의적 태도 면에서도 도움을 준다. 학습...

      많은 교육학자들은 학교 수업에서 소집단 협력학습을 강조하고 있다. 소집단 협력학습은 구성원 간의 의사소통을 통해 학습 능력의 향상 뿐 아니라 정의적 태도 면에서도 도움을 준다. 학습 능력의 향상이라는 측면에서 보면 상대적으로 부진한 학생들은 개념, 원리, 법칙들을 이해하면서 문제해결 능력이 향상됨을 스스로 느끼는데 반해 상대적으로 우수한 학생들은 그 효과에 대해 반신반의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수학 학습 능력이 상대적으로 우수한 학생이 부진한 학생과의 상호작용 특히 부진한 학생에게 수학을 지도하면서 어떤 수학 학습 과정을 가지는지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 결과 상대적으로 우수한 학생은 동료를 지도함으로 인해 문제해결 능력과 의사소통 능력이 향상되는 모습을 보였으며, 높은 수준의 수학적 사고를 하는 모습을 보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영진, "학습부진아의 학업성취향상을 위한 교사와 동료학생지도자의 상담효과"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1991

      2 홍우주, "초등학교 6학년 수업에서의 수학적 의사소통과 학생의 수학적 사고 분석" 한국학교수학회 11 (11): 201-219, 2008

      3 김귀련, "초등학교 1학년 입문기 수학과 지도에서 동료지도학습의 효과에 관한 연구"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4 이정미, "중학교 수학 또래교수 활동에 나타난 의사소통 특성 분석" 단국대학교 일반대학원 2007

      5 백순근, "수행평가의 이론과 실제" 원미사 2000

      6 Skemp, R., "수학학습심리학" 민음사 1997

      7 이종희, "수학적 의사소통 능력의 평가 기준 개발" 대한수학교육학회 11 (11): 207-221, 2001

      8 강옥기, "수학 학습 지도와 평가론" 경문사 2007

      9 조승래, "동료학생과의 협력을 통한 수학 학습 부진아의 지도에 관하여"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10 남미애, "동료지도학습이 아동의 자아존중감, 친사회적 행동 및 학교태도에 미치는 효과" 건국대학교 대학원 1998

      1 김영진, "학습부진아의 학업성취향상을 위한 교사와 동료학생지도자의 상담효과"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1991

      2 홍우주, "초등학교 6학년 수업에서의 수학적 의사소통과 학생의 수학적 사고 분석" 한국학교수학회 11 (11): 201-219, 2008

      3 김귀련, "초등학교 1학년 입문기 수학과 지도에서 동료지도학습의 효과에 관한 연구"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4 이정미, "중학교 수학 또래교수 활동에 나타난 의사소통 특성 분석" 단국대학교 일반대학원 2007

      5 백순근, "수행평가의 이론과 실제" 원미사 2000

      6 Skemp, R., "수학학습심리학" 민음사 1997

      7 이종희, "수학적 의사소통 능력의 평가 기준 개발" 대한수학교육학회 11 (11): 207-221, 2001

      8 강옥기, "수학 학습 지도와 평가론" 경문사 2007

      9 조승래, "동료학생과의 협력을 통한 수학 학습 부진아의 지도에 관하여"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10 남미애, "동료지도학습이 아동의 자아존중감, 친사회적 행동 및 학교태도에 미치는 효과" 건국대학교 대학원 1998

      11 정계원, "동료지도학습이 수학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일반계 고등학교 2학년을 대상으로-"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12 심재선, "동료지도학습이 수학교과 지도에서 학습태도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 수학 10-가를 중심으로"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13 교육인적자원부, "교육인적자원부 고시 2006-75 [별책 8] 수학과 교육과정"

      14 Devin-Sheehan, L., "Research on children tutoring children : A critical review" 46 (46): 355-385, 1976

      15 Greenwood, C. R., "Peer tutoring programs in the regular education classroom. in: Interventions for achievement and behavior problems" Silver 179-200, 1991

      16 Webb, N. M., "Peer interaction and learning in cooperative small groups" 74 (74): 642-655, 1989

      17 Lake, D. A., "Peer Tutoring improves Student Performance in an Advanced Phy- siology Course" 276 : 86-92, 1999

      18 Ehly, S. W., "Peer Tutoring for Individualized Instruction" Allyn and Bacon, Inc. 1980

      19 Goodlad, S., "Peer Tutoring : A Guide to Learning by Teaching" Nichols Publishing Company 1989

      20 Vygotsky, L., "Mind in Society: The Development of Higher Psychologist Pro- cesses" Harvard University Press 1978

      21 Cobb, P., "Communication and Language: A Research Companion to Principles and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NCTM 289-303, 2003

      22 Wood, T., "Children's Mathematical Thinking in Different Classroom Cultures" 37 (37): 222-255, 200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1 0.91 1.1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5 1.03 1.504 0.2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