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13개월~24개월 영아의 배경변인에 따라 보육시설 적응은 어떻게 달라지는지 알아보고 어머니 양육태도와 영아의 기질이 보육시설 적 응간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는데 그 목...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3937098
군산 : 군산대학교, 2014
2014
한국어
전북특별자치도
; 26 cm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13개월~24개월 영아의 배경변인에 따라 보육시설 적응은 어떻게 달라지는지 알아보고 어머니 양육태도와 영아의 기질이 보육시설 적 응간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는데 그 목...
본 연구는 13개월~24개월 영아의 배경변인에 따라 보육시설 적응은 어떻게 달라지는지 알아보고 어머니 양육태도와 영아의 기질이 보육시설 적 응간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 선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영아의 배경변인에 따라 보육시설 적응은 어떻게 달라지는가?
2. 어머니 양육태도와 영아의 보육시설 적응간 관계는 어떠한가?
3. 영아의 기질과 보육시설 적응간 관계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전라북도 군산 시에 위치한 21개소 가정보육시설 어린이집의 13개월~24개월 영아 11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조사도구는 어머니 양육태도와 영아의 기질을 측정하는 어머니용 질문지, 보육시설 적응을 측정하는 교사용 질문지이다. 수집된 자료에서 연구대상의 일반적인 배경을 파악하기 위해서 빈도와 백분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고, 연구문제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일원변량분석과 상관관계분석 그리고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영아의 배경변인에 따라 달라지는 보육시설 적응 정도를 분석한 결과 성별에서 남아가 여아보다 공격성이 더 낮은 적응 정도를 보였다. 월령에서는 친사회적 행동과 일과에 대한 적응에서 13개월~18개월이 19개월~24개월에 비해 더 낮은 적응정도를 보였다. 자녀수와 출생순위, 어머니의 학력에서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어머니의 연령에서는 긍정적 감정과 분리불안에서 35세 이상, 30~34세가 29세 이하의 어머니를 둔 영아들에 비해 유의하게 더 낮은 적응정도를 보였다.
둘째, 어머니 양육태도와 영아의 보육시설 적응간 관계에 대한 결과를 보면 애정적 태도를 주로 더 사용하였으며 자율적 태도, 통제적 태도 순으로 사용하였고, 거부적 태도를 가장 적게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아의 보육시설 적응에서는 공격성, 자기 주도성, 친사회적 행동, 일과에 대한 적응, 분리불안, 긍정적 감정 순으로 부적응을 크게 나타내었다. 자율적 태도는 보육시설 적응의 하위요소 중 분리불안에 대해 유의한 부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애정적 태도, 거부적 태도, 통제적 태도는 보육시설 적응에 대해 유의한 상관관계를 이루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양육태도가 보육시설 적응의 하위요소 중 친사회적 행동, 긍정적 감정, 자기 주도성, 일과에 대한 적응, 공격성에 대한 예측력을 비교해 본 결과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밝혀졌다. 분리불안만이 애정적 태도와 자율적 태도에서 유의하게 밝혀졌다.
셋째, 영아의 기질과 보육시설 적응간 관계에 대한 결과를 보면 생리적 규칙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기분, 적응성, 접근성 순으로 반응강도가 가장 낮은 경향성을 보이고 있다. 영아의 기질의 하위요인 중 생리적 규칙성은 보육시설 적응의 친사회적행동, 긍정적 감정, 자기 주도성, 일과에 대한 적응과는 부적인 상관관계를 이루는 것으로 나타났다. 접근성은 보육시설 적응에 있어 분리불안과 부적인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적응성은 보육시설 적응의 일과에 대한 적응, 공격성과 부적인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반응강도는 공격성과 부적인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기분은 보육시설 적응의 긍정적 감정, 일과에 대한 적응, 분리불안과 부적인 상관관계로 나타났다.
기질이 보육시설 적응의 하위요소 중 친사회적 행동에 대한 예측력을 비교해 본 결과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긍정적 감정에 대한 기질요인인 기분과 생리적 규칙성은 유의하게 밝혀졌다. 자기 주도성에 대한 기질요인인 생리적 규칙성과 유의하게 밝혀졌다. 일과에 대한 적응에 대한 기질요인인 기분이 유의하게 밝혀졌다. 분리불안에 대한 기질요인인 접근성이 유의하게 밝혀졌다. 공격성에 대한 기질 요인인 접근성과 반응강도가 유의하게 밝혀졌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hange of adjustment of 13-month-old toddlers to 24-month-toddlers according to background variable and the relationship among the attitude of mother's bringing up and temperament of the toddlers about adju...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hange of adjustment of 13-month-old toddlers to 24-month-toddlers according to background variable and the relationship among the attitude of mother's bringing up and temperament of the toddlers about adjustment at the nursery.
Three research questions were posed:
1. What changes are about the nursery adjustment according to background variable of toddlers?
2.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ttitude of mother's bringing up and the adjustment of toddlers at the nursery?
3.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emperament and the adjustment of toddlers at the nursery?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110 toddlers from 13-month-old to 24-month-old at 21 different nursery located in Gunsan, Jeonllabukdo.
The instruments used in this study were the attitude of mother's bringing up and a toddler temperament questionnaire for mother and a questionnaire for teacher that was designed to assess the nursery adjustment of toddlers. As for data analysis, statistical data on frequency and percentage were obtained to grasp the general background of the toddlers, and a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arried out address the research questions.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change of adjustment of toddlers at the nursery according to background variable was analyzed, the boys are in lower adjustment than the girls on aggression. and pro-social behavior and adjustment for daily task was anlyzed from 13-month-toddlers to 18-month-toddlers in lower adjustment than from 19-month-toddlers to 24-month-toddlers. The number of children, the order of birth and the degree of mothers' scholarship didn't have significant positive effect. When their mothers are over 35 years and 30~34 years, positive emotion and anxiety had significant positive effect to be in lower adjustment than the toddlers whose mothers are under 29 years.
Second, concer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ttitude of mother's bringing up and adjustment of toddlers at the nursery, most of them used affectionate attitudes, and than autonomous attitudes, controlled attitudes were used in order and negative attitudes were used least.
Concerning the adjustment of the toddlers at the nursery, they showed not to adjust about aggression, self-direction, pro-social behavior, adjustment for daily task, anxiety and positive emotion in order.
Autonomous attitudes had a negative correlation to anxiety among the subfactor temperament of the nursery on positive effect. Affectionate attitudes, negative attitudes, and controlled attitudes didn't have a correlation on positive effect. Bringing up attitudes didn't have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pro-social behavior, positive emotion, self-direction, adjustment for daily task and prediction of aggression among the subfactor temperament of the nursery on positive effect. Only anxiety had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affectionate attitudes, autonomous attitudes.
Third, how much the temperament of the toddlers predicted their nersery adjustment was analyzed, and biological dailiness was found to exert the largest influence on the nursery adjustment than temperament. Things in order oh feeling, adjustment and access was found to exert the smallest influence on the nursery adjustment. Biological dailiness had significant negative effects on pro-social behavior, positive emotion, self-direction and adjustment for daily task. Access had significant negative effects on anxiety. Adjustment had significant negative effects on adjustment for daily task and
aggression. Degree of response had significant negative effects on aggression. Feeling had significant negative effects on positive emotion, adjustment for daily task and anxiety.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o-social behavior and the adjustment of the toddlers at the nursery, it didn't have significant positive effect. Among factors of temperament about positive emotion, feeling and biological dailiness had significant positive effect. Among factors of temperament about self-direction, biological dailiness had significant positive effect. Among factors of temperament about adjustment for daily task, feeling had significant positive effect. Among factors of temperament about anxiety, access had significant positive effect. Among factors of temperament about aggression, access and degree of response had significant positive effe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