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횡성군 일대에서 채취한 야생뽕의 형태학적 특성 및 오디의 효능 =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Physiological Effects of Mulberry Leaves and Fruits with Wild Varieti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56353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우리나라의 논둑, 밭둑 및 야산에서 자라고 있는 뽕나무 자원의 육종소재화 및 생리활성물질 이용 효율을 높이고자 횡성군 일대의 뽕나무와 오디를 지역별.그루별로 채취하여 뽕나무의 형...

      우리나라의 논둑, 밭둑 및 야산에서 자라고 있는 뽕나무 자원의 육종소재화 및 생리활성물질 이용 효율을 높이고자 횡성군 일대의 뽕나무와 오디를 지역별.그루별로 채취하여 뽕나무의 형태적 특성을 조사하였으며, 냉동건조시킨 야생오디의 추출물 및 분획물을 조제하여 고지혈증을 유발시킨 흰쥐에 투여함으로써 지질대사 및 간장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1. 강원도 횡성군 일대에서 채취한 야생종(12점) 뽕나무의 엽선, 엽형, 엽각, 거치의 형태적 관찰 결과, 산상형(Morus bombycis) 백상형(Morus alba) 계통이 혼재함을 알 수 있었으나. 공시개체 중 노상형 계통은 존재하지 않았다. 2. 야생종 뽕나무의 오디 당도는 5.1~22.7 Brix %로서 지역별.그루별 차가 심하였다. 수집된 개체 중 6개체는 16Brix % 이상이었다. 3. 냉동건조시킨 야생오디 3kg으로부터 얻은 85% MeOH 추출물의 수율은 60.2%(1,805g)이었으며, MeOH 추출물로부터 얻은 Hexane, BuOH 및 Water 분획물의 수율은 각각 2.8%(50 g), 4.6%(82 g) 및 92.3%(1,666g)이었다. 4. 야생오디의 추출물 및 분획물 투언가 흰쥐의 지질대사 및 간장 효소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콜레스테롤을 투여하여 고지혈증을 유발시킨 대조군의 체중 증가량은 정상군보다 12% 높았으나 MeOH 추출물과 물 분획물 투여군의 체중은 각각 6%, 3%만이 증가하였다. 총콜레스테롤, HDL-콜레스테롤/총콜레스테롤비 및 중성지질함량을 측정한 결과, MeOH 추출물과 물 분획물 투여군은 총콜레스테롤과 중성지질 함량을 감소시켰는데, 총콜레스테롤 함량은 각각 정상군의 71%, 70% 수준으로, 중성지질 함량은 각각 정상 군의 92%, 90% 수준까지 회복되었다. 또한 물 분획물 투여군은 GPT, GOT 및 LDH 활성에 있어서 각각 정상군 수준으로 회복되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e conducted this study to investigate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physiological effects of mulberry leaves and fruits with wild varieties. Morphologically sampling materials were showed Morus bombycis type and Morus alba type characteristic...

      We conducted this study to investigate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physiological effects of mulberry leaves and fruits with wild varieties. Morphologically sampling materials were showed Morus bombycis type and Morus alba type characteristics. Water contents of mulberry fruits were higher than that of mulberry leaves. Sugar degree of sampling materials was 5.1∼22.7 Brix %. The yield of 85% MeOH extract from freezing dried Mulberry Fruits was 60.2% and Hexane, BuOH and H$_2$O fraction from MeOH extract were 2.8%, 4.6%, 92.3% respectively. In the cholesterol-induced hyperlipidemia rats administered with subfraction of mulberry fruit extract, total cholesterol and serum triglyceride were decreased in the MeOH extract group and H$_2$O soluble fraction group. Also H$_2$O soluble fraction group decreased GPT, GOT and LDH level. Therefore, the above results suggested that mulberry fruit with wild varieties can help to maintain normal liver functions and to protect hyperlipidemia.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