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조의 주된 문학담당층인 사대부들에게 있어 자연은 학문 탐구의 대상이면서인격 수양의 장소이다. 따라서 시조에 등장하는 자연물은 상징적 의미를 갖는경우가 많은데, 그 대표적인 것이...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8914896
김성문 (중앙대학교)
2023
Korean
韓國時調大事典 ; 시조 ; 새(鳥) ; 기러기 ; 출현 양상 ; 상징적 의미 ; Korean Sijo Dictionary(韓國時調大事典) ; Sijo(時調) ; bird ; pattern of occurrence ; symbolic meaning
KCI등재
학술저널
197-214(18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시조의 주된 문학담당층인 사대부들에게 있어 자연은 학문 탐구의 대상이면서인격 수양의 장소이다. 따라서 시조에 등장하는 자연물은 상징적 의미를 갖는경우가 많은데, 그 대표적인 것이...
시조의 주된 문학담당층인 사대부들에게 있어 자연은 학문 탐구의 대상이면서인격 수양의 장소이다. 따라서 시조에 등장하는 자연물은 상징적 의미를 갖는경우가 많은데, 그 대표적인 것이 바로 동물과 식물이다. 특히 동물은 상상 속에 존재하는 용에서부터 일상생활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가축에 이르기까지 매우 다양한 양상으로 시조에 수용되었는데, 그중에서도 하늘을 날 수 있는 새는특히 중요한 의미를 지니는 동물 중 하나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기 수행한 연구를 통해서 확인한 바, 『韓國時調大事典』 수록시조에 가장 자주 출현하는 새인, 기러기를 중심으로 수용의 양상과 그 의미를살펴보았다.
먼저, 기러기의 시조 수용 양상은 기러기가 단독으로 수용된 경우와 다른 새와 조합하여 수용된 경우의 둘로 나눌 수 있었는데, 기러기가 출현하는 131수중에서 106수에 기러기가 단독으로 등장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기러기가 다른 새에 비해서 강한 상징성을 가진 새라는 점과 관련이 있어 보인다.
다음으로는 시조에 수용된 기러기의 상징적 의미는 크게 ‘절개’, ‘소식의 전달자’, ‘가을’의 셋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우선, 기러기는 절개의 상징으로 시조에 수용된 경우가 많았는데, 이는 기러기가 한번 짝을 지으면 죽을 때까지 지조와 절개를 지키는 습성에서 말미암은 것으로, 전통 혼례의 전안례를 통해서도확인할 수 있다. 시조에서는 대체로 짝을 잃고 외로운 신세가 된 시적 화자의정서를 투영하는 객관적 상관물로 기러기가 등장하는 경우가 많았다. 다음으로소식의 전달자라는 상징적 의미로 기러기가 시조에 수용된 경우는, 기러기가 특정한 시기에 남북을 왕래하는 철새라는 점과 관련 깊은데, 이는 雁書의 고사를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다. 시조에서는 주로 기러기가 없어 소식을 전하지 못한다는 상황 설정을 통해서 시적 화자의 답답하고 애타는 심정을 입체적으로 드러내는 데 기러기가 관여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끝으로 가을에 대한 상징은 기러기가 날씨가 추워지기 시작하는 가을이 되면, 우리나라로 왔다가 봄이되면 다시 북으로 날아가는 候鳥라는 것과 관련을 맺는다. 가을이면 만날 수 있는 기러기가 가을을 상징하는 새가 된 것은 자연스러운 일이다. 흔히 가을은 수확과 결실의 계절로 여겨지지만, 점점 추워지는 날씨와 높아지는 하늘은 쓸쓸하고 쇠락하는 분위기를 자아낸다. 이에 가을을 시간적 배경으로 하는 시조의 경우 대체로 시적 화자의 쓸쓸한 마음이 주된 정조로 자리하는 경우가 많고, 여기에 기러기가 일정한 기능을 수행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Nature serves as a subject of academic exploration and personaldevelopment for the literary class, known as the sadaebu, in the Sijogenre of poetry. Therefore, natural elements often hold symbolicmeanings in Sijo, with animals and plants standing out ...
Nature serves as a subject of academic exploration and personaldevelopment for the literary class, known as the sadaebu, in the Sijogenre of poetry. Therefore, natural elements often hold symbolicmeanings in Sijo, with animals and plants standing out prominently.
Among these, flying birds hold significant symbolic importance.
This study, based on previous research, examines the bird thatappears most frequently in the Sijo genre—the goose—in terms of itsacceptance and symbolic meanings in the Korean Sijo Dictionary. First,the acceptance of geese in Sijo can be categorized into two: whengeese appear alone and when they appear in combination with otherbirds. Among the 131 Sijo examined, geese appeared alone in 106,suggesting that the symbolism of geese is more pronounced than thatof other birds.
Next, the symbolic meanings of geese in Sijo were categorized intothree main themes: “separation,” “bearers of news,” and “autumn.”Firstly, geese often symbolize separation in Sijo, given theircharacteristic of mating for life and remaining faithful to their partnersuntil death. This aspect is also reflected in traditional wedding customs.
In Sijo, geese frequently appear as objective correlatives, reflecting theemotions of the poetic speaker who has lost their partner and feelslonely. Secondly, geese symbolize the bearers of news. As migratory birds that travel between the north and south at specific times, geeseare closely associated with this role, evident in poems like “Yansho”(Wild Goose Letter). In Sijo, the absence of geese often signifies theinability to deliver news, reflecting the frustrated and anxious emotionsof the poetic speaker. Lastly, geese symbolize autumn. Migrating toKorea as the weather turns colder and returning north in spring; geesebecome a symbol of the changing seasons. In addition to this, geeseencountered during autumn naturally symbolize the season. Althoughautumn is commonly regarded as a season of harvest and fruition, thechilly weather and high sky create a melancholic and decliningatmosphere. In Sijo set in autumn, the predominant sentiment of thepoetic speaker is often a sense of loneliness, with geese playing asignificant role in conveying this emotion.
참고문헌 (Reference)
1 정 민, "한시 속의 두견이와 소쩍새" 한국한시학회 9 : 45-73, 2001
2 이우신, "한국의 새" LG상록재단 76-, 2014
3 조동민, "한국시가에 나타난 새의 상징성 연구" 건국대학교 동화와번역연구소 8 : 7-40, 1989
4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5 "한국민족문화대백과"
6 유시욱, "한국 시가에 나타난 두견의 소재사적 특성에 대하여" 서강어문학회 1 : 21-44, 1981
7 김남일, "우리 새 도감" 지성사 1-639, 2013
8 신은경, "생성시학과 ‘두견’의 의미론" 한국언어문학회 43 : 61-75, 1999
9 정민, "새를 통해 본 고전시가의 몇 국면" 한국시가학회 (15) : 13-39, 2004
10 김성문 ; 이기성, "디지털 기법을 활용한 시조의 ‘새(鳥)’ 수용 양상 고찰 -『韓國時調大事典』 수록 작품을 중심으로-" 동아시아고대학회 (70) : 35-60, 2023
1 정 민, "한시 속의 두견이와 소쩍새" 한국한시학회 9 : 45-73, 2001
2 이우신, "한국의 새" LG상록재단 76-, 2014
3 조동민, "한국시가에 나타난 새의 상징성 연구" 건국대학교 동화와번역연구소 8 : 7-40, 1989
4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5 "한국민족문화대백과"
6 유시욱, "한국 시가에 나타난 두견의 소재사적 특성에 대하여" 서강어문학회 1 : 21-44, 1981
7 김남일, "우리 새 도감" 지성사 1-639, 2013
8 신은경, "생성시학과 ‘두견’의 의미론" 한국언어문학회 43 : 61-75, 1999
9 정민, "새를 통해 본 고전시가의 몇 국면" 한국시가학회 (15) : 13-39, 2004
10 김성문 ; 이기성, "디지털 기법을 활용한 시조의 ‘새(鳥)’ 수용 양상 고찰 -『韓國時調大事典』 수록 작품을 중심으로-" 동아시아고대학회 (70) : 35-60, 2023
11 빙허각이씨, "규합총서" 질시루 2003
12 이찬욱, "고전문학에 나타난 ‘파랑새(靑鳥)’의 문화원형 상징성 연구" 우리문학회 (25) : 125-165, 2008
13 변승구, "고시조에 나타난 ‘학’의 수용양상과 문학적 의미" 어문연구학회 79 : 221-245, 2014
14 이영태, "각시네 시조의 검토와 각시 내 첩이 되나의 해석" 한국시조학회 (22) : 225-248, 2005
15 趙東珉, "韓國詩歌에 나타난 새의 象徵性 硏究" 建國大學校 大學院 1989
16 박을수, "韓國時調大事典" 아세아문화사 1992
17 안영희, "言語에서 본 새의 文化的 意味" 숙명여자대학교 국어국문학과 14 : 163-182, 1984
18 진재식, "李世輔 時調 硏究: 主題分析 및 自然素材 <꽃>, <나무>, <새>의 分析" 단국대 교육대학원 1990
19 金衡泰, "古時調에 나타난 自然觀 연구 : [꽃]. [나무]. [새]를 중심으로" 檀國大學校 敎育大學院 1992
20 안영희, "古典文學에 反映된 새의 意味"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12 : 123-149, 1973
21 신은경, "‘두견’의 시적 내포" 한국시가학회 6 : 47-80, 2000
22 김종대, "33가지 동물로 본 우리문화의 상징세계" 다른세상 94-97, 2001
남북의 외래어 표기 비교 연구 -외국 국가명 표기를 중심으로-
『西友』와 『少年韓半島』의 언어 양상비교로 본 20세기 초의 한국어
사전 사용자를 고려한 국어사전의 체계와 방향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을 중심으로-
명저 기반 교양 교육 연구 -서울여대 ‘명저 읽기 프로그램’을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