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윤치호의 『찬미가』(1908) 번역 양상 연구 = Translation Aspects of Yun, Chi-Ho’s Chan-Mi-Ga (1908)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91489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is a study of the hymnal Chan-Mi-Ga (1908), translatedby Yun, Chi-Ho, that seek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histranslations to highlight the need for the study of Christian hymnbooksin the literary history of the modern transition period. Chan-Mi-Ga wasfirst published between 1905 and 1906, with a reprint in 1908; thereare no extant copies of the first edition. Unlike other hymnals of thetime, Yun, Chi-Ho’s Chan-Mi-Ga was a privately published hymnalthat included the national anthem. Yun believed that belief in God wasthe way to save the country, an idea he expressed in his hymnal. Asa hymn translator, Yun, Chi-Ho was not only fluent in English andKorean, but also had a strong command of Chinese characters, a skillrare among missionaries who translated hymns at the time. Yun,Chi-Ho’s translation of hymns have three characteristics. First, heparaphrased rather than directly translated, using language that suitedthe culture and sentiment of the Korean people. Second, in the case ofplace names, he used direct translations, reflecting his pragmatic spirit.
      Third, he did not use the character “ㆍ.” Consequently, his hymnal ismore linguistically clear than others.
      번역하기

      This article is a study of the hymnal Chan-Mi-Ga (1908), translatedby Yun, Chi-Ho, that seek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histranslations to highlight the need for the study of Christian hymnbooksin the literary history of the modern transition...

      This article is a study of the hymnal Chan-Mi-Ga (1908), translatedby Yun, Chi-Ho, that seek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histranslations to highlight the need for the study of Christian hymnbooksin the literary history of the modern transition period. Chan-Mi-Ga wasfirst published between 1905 and 1906, with a reprint in 1908; thereare no extant copies of the first edition. Unlike other hymnals of thetime, Yun, Chi-Ho’s Chan-Mi-Ga was a privately published hymnalthat included the national anthem. Yun believed that belief in God wasthe way to save the country, an idea he expressed in his hymnal. Asa hymn translator, Yun, Chi-Ho was not only fluent in English andKorean, but also had a strong command of Chinese characters, a skillrare among missionaries who translated hymns at the time. Yun,Chi-Ho’s translation of hymns have three characteristics. First, heparaphrased rather than directly translated, using language that suitedthe culture and sentiment of the Korean people. Second, in the case ofplace names, he used direct translations, reflecting his pragmatic spirit.
      Third, he did not use the character “ㆍ.” Consequently, his hymnal ismore linguistically clear than other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윤치호가 역술(譯述)한 『찬미가』(1908) 연구를 통해 윤치호의 찬송가 번역의 특징을 규명하고 근대 전환기 문학 연구에서 기독교 찬송가집 연구의 필요성을 환기하고자 했다. 『찬미가』는 1905년과 6년 사이에 처음 간행되었다. 그리고 1908년에 재판이 출간되었다. 현재 초판은 남아 있지 않다. 윤치호의 『찬미가』는 당시 다른 찬송가집과는 달리 개인이 간행한 찬송가집이다. 그리고 애국가가 포함되어 있다. 윤치호는 찬송가 번역자로서 영어와 한국어에 능숙했다. 뿐만 아니라 한문 실력도 밝았다. 이는 당시 찬송가 번역자였던 선교사들이 갖고 있지 않은 능력이었다. 그의 찬송가 번역은 세 가지 특징이 있다. 첫째, 직역보다는 의역을 했다. 한국인의 문화와 정서에 맞는 언어를 사용한 것이다. 둘째, 지명은 원어를 살려 그대로 제시했다. 이것은 ‘전도’ 목적에 충실한 번역이며 그의 세계인적 면모를 반영한다. 셋째, ‘ㆍ’를 쓰지 않았다. 그의 찬송가집은 다른 찬송가집에 비해 시각적⋅어학적으로 명쾌한 찬송가집이 되었다.
      번역하기

      이 글은 윤치호가 역술(譯述)한 『찬미가』(1908) 연구를 통해 윤치호의 찬송가 번역의 특징을 규명하고 근대 전환기 문학 연구에서 기독교 찬송가집 연구의 필요성을 환기하고자 했다. 『찬...

      이 글은 윤치호가 역술(譯述)한 『찬미가』(1908) 연구를 통해 윤치호의 찬송가 번역의 특징을 규명하고 근대 전환기 문학 연구에서 기독교 찬송가집 연구의 필요성을 환기하고자 했다. 『찬미가』는 1905년과 6년 사이에 처음 간행되었다. 그리고 1908년에 재판이 출간되었다. 현재 초판은 남아 있지 않다. 윤치호의 『찬미가』는 당시 다른 찬송가집과는 달리 개인이 간행한 찬송가집이다. 그리고 애국가가 포함되어 있다. 윤치호는 찬송가 번역자로서 영어와 한국어에 능숙했다. 뿐만 아니라 한문 실력도 밝았다. 이는 당시 찬송가 번역자였던 선교사들이 갖고 있지 않은 능력이었다. 그의 찬송가 번역은 세 가지 특징이 있다. 첫째, 직역보다는 의역을 했다. 한국인의 문화와 정서에 맞는 언어를 사용한 것이다. 둘째, 지명은 원어를 살려 그대로 제시했다. 이것은 ‘전도’ 목적에 충실한 번역이며 그의 세계인적 면모를 반영한다. 셋째, ‘ㆍ’를 쓰지 않았다. 그의 찬송가집은 다른 찬송가집에 비해 시각적⋅어학적으로 명쾌한 찬송가집이 되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권영민, "한국현대문학사 1" 민음사 162-, 2010

      2 "한국찬송가전집 1,2,3권" 한국교회사문헌연구원 2011

      3 옥성득, "한국 기독교 형성사" 새물결플러스 599-, 2013

      4 민경배, "한국 교회 찬송가사-한국 민족교회 찬송가의 편집사와 해석" 연세대학교 출판부 59-, 1997

      5 조숙자, "한국 개신교 찬송가 연구" 장로회신학대학교출판부 2003

      6 "태평양잡지1"

      7 나진규, "최초의 한국찬송가집들의 번역자, 작사자들에 대한 연구 I" 민족음악학회 (50) : 303-330, 2015

      8 조숙자, "찬양가(1894년) 연구 자료집" 장로회신학대학교교회음악연구원 1995

      9 오선영, "찬송가의 번역과 근대 초기 시가의 변화"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13 (13): 143-168, 2009

      10 이중태, "찬송가 탄생의 비밀" 선미디어 14-, 2007

      1 권영민, "한국현대문학사 1" 민음사 162-, 2010

      2 "한국찬송가전집 1,2,3권" 한국교회사문헌연구원 2011

      3 옥성득, "한국 기독교 형성사" 새물결플러스 599-, 2013

      4 민경배, "한국 교회 찬송가사-한국 민족교회 찬송가의 편집사와 해석" 연세대학교 출판부 59-, 1997

      5 조숙자, "한국 개신교 찬송가 연구" 장로회신학대학교출판부 2003

      6 "태평양잡지1"

      7 나진규, "최초의 한국찬송가집들의 번역자, 작사자들에 대한 연구 I" 민족음악학회 (50) : 303-330, 2015

      8 조숙자, "찬양가(1894년) 연구 자료집" 장로회신학대학교교회음악연구원 1995

      9 오선영, "찬송가의 번역과 근대 초기 시가의 변화"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13 (13): 143-168, 2009

      10 이중태, "찬송가 탄생의 비밀" 선미디어 14-, 2007

      11 윤경남, "좌옹 윤치호 평전" 신앙과 지성사 536-, 2017

      12 김영숙, "윤치호의 [찬미가] 연구" 延世大學校 聯合神學大學院 1998

      13 박지향, "윤치호의 협력일기" 이숲 26-, 2010

      14 전택부, "윤치호의 생애와 사상" 을유문화사 202-, 1998

      15 "윤치호 일기" 국사편찬위원회 2014

      16 조서윤, "윤치호 번역의 찬미가(1908) 연구" 한국음악사학회 (61) : 229-265, 2018

      17 윤영실, "우리학문 속의 미국" 한울 109-110, 2003

      18 김승우, "선교사 프레더릭 S. 밀러(Frederick S. Miller)의 한국시가론" 국제비교한국학회 21 (21): 77-108, 2013

      19 임화문학예술전집 편찬위원회, "문학사" 소명출판 164-, 2009

      20 권오만, "기독교와 한국문학" 역락 11-15, 2000

      21 한영제, "기독교 사전" 기독교문사 616-, 1997

      22 조경덕, "근대 전환기 기독교 찬송가와 근대 국가 만들기 -윤치호의 『찬미가』(1908)를 중심으로" 기독교학문연구회 28 (28): 83-99, 2023

      23 신창순, "국어근대표기법의 전개" 태학사 86-90, 2003

      24 김병철, "韓國近代飜譯文學史硏究" 乙酉文化史 1975

      25 宋敏鎬, "韓國文化史大系 Ⅴ 言語⋅文學史" 高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出版部 914-, 1971

      26 孤舟, "耶穌敎의 朝鮮에 준 恩惠" (9) : 1917

      27 尹致昊, "幼學字聚" 廣學書舖 1909

      28 "公讚詩" 上海美華書舘 1890

      29 나진규, "21세기 찬송가의 한국인 작품들 : 분석과 해설" 가온음 2019

      30 문영탁, "21세기 찬송가 해설집" 가온음 30-, 201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