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고려 諸宗敎藏의 가치와 의의에 관한 연구 = A Research on the Significance and Meaning of the Goryeo Jejong Gyoja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694611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교장총록」의 분류체계’ 및 ‘현존 제종교장의 서지적 분석’ 등을 고찰함으로써 고려 제종교장의 가치와 의의를 導出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제종교장은 「신편제종교장총록」의 편성에 입각하여 彫印한 것이기 때문에, 「교장총록」 ‘綱’의 분류체계를 분석하여 보았다. 그 결과,
      1) 의천은 석가모니가 설한 각 經의 宗旨를 완전하게 파악하기 위하여, ‘經>論>疏>義章>師述>[法]相[之]紬繹 = 天台와 賢首 등의 敎相判釋’의 순서로 ‘공부의 틀’을 단계적으로 마련하여, ‘論’부터는 각각 그 상위자료를 상세하게 설명하여 구체화시켜 나감으로써 마침내 ‘교상판석’에 귀착하고 있음을 규명하였다. 따라서 교장총록 분류체계의 기준은 교상판석에 입각하였음을 증명하였다.
      2) 교장총록의 전체적인 분류체계는 ‘① 小乘의 說(俱舍) → ② 始敎의 宗(唯識) → ③ 終頓의 旨(起信) → ④ 圓融의 門(華嚴)’으로 나아가는 이른바 ‘의천의 교학사상’에 근거한 것임을 파악함으로써, ‘교장총록의 편성에는 일정한 準則이 있음’을 立證하였다.
      3) 교장총록 ‘綱’의 분류체계는, ‘의천의 교학사상’에 입각하여 元曉·賢首·天台 등의 여러 敎相判釋에서 나열·제시된 각 佛典名의 逆順으로 종합·응용함으로써 논리적으로 조직된 분류체계를 수립하였고, 아울러 入藏目錄을 겸할 수 있는 「신편제종교장총록」을 編成하였으며, 이 목록에 근거하여 諸宗敎藏이 彫印되었음을 파악하였다.
      둘째, 현존하는 제종교장의 서지적 분석의 일환으로, ① 제종교장 조조의 시기와 구성 및 전래본, ② 제종교장 현존자료와 관련 기록, ③ 현존 간본에 나타난 교감 작업에 참여한 인물, ④ 제종교장의 형태적 특징 등을 논술하였다. 그 결과 제종교장 彫印의 탁월성 등을 확인하였다.
      번역하기

      이 논문은 ‘「교장총록」의 분류체계’ 및 ‘현존 제종교장의 서지적 분석’ 등을 고찰함으로써 고려 제종교장의 가치와 의의를 導出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

      이 논문은 ‘「교장총록」의 분류체계’ 및 ‘현존 제종교장의 서지적 분석’ 등을 고찰함으로써 고려 제종교장의 가치와 의의를 導出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제종교장은 「신편제종교장총록」의 편성에 입각하여 彫印한 것이기 때문에, 「교장총록」 ‘綱’의 분류체계를 분석하여 보았다. 그 결과,
      1) 의천은 석가모니가 설한 각 經의 宗旨를 완전하게 파악하기 위하여, ‘經>論>疏>義章>師述>[法]相[之]紬繹 = 天台와 賢首 등의 敎相判釋’의 순서로 ‘공부의 틀’을 단계적으로 마련하여, ‘論’부터는 각각 그 상위자료를 상세하게 설명하여 구체화시켜 나감으로써 마침내 ‘교상판석’에 귀착하고 있음을 규명하였다. 따라서 교장총록 분류체계의 기준은 교상판석에 입각하였음을 증명하였다.
      2) 교장총록의 전체적인 분류체계는 ‘① 小乘의 說(俱舍) → ② 始敎의 宗(唯識) → ③ 終頓의 旨(起信) → ④ 圓融의 門(華嚴)’으로 나아가는 이른바 ‘의천의 교학사상’에 근거한 것임을 파악함으로써, ‘교장총록의 편성에는 일정한 準則이 있음’을 立證하였다.
      3) 교장총록 ‘綱’의 분류체계는, ‘의천의 교학사상’에 입각하여 元曉·賢首·天台 등의 여러 敎相判釋에서 나열·제시된 각 佛典名의 逆順으로 종합·응용함으로써 논리적으로 조직된 분류체계를 수립하였고, 아울러 入藏目錄을 겸할 수 있는 「신편제종교장총록」을 編成하였으며, 이 목록에 근거하여 諸宗敎藏이 彫印되었음을 파악하였다.
      둘째, 현존하는 제종교장의 서지적 분석의 일환으로, ① 제종교장 조조의 시기와 구성 및 전래본, ② 제종교장 현존자료와 관련 기록, ③ 현존 간본에 나타난 교감 작업에 참여한 인물, ④ 제종교장의 형태적 특징 등을 논술하였다. 그 결과 제종교장 彫印의 탁월성 등을 확인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research, ‘a classification scheme of ‘Gyojang Chongnok’’ and ‘a bibliographical analysis of the existing ‘Jejong Gyojang’’ are examined to extract the value and meaning of Jejong Gyojang in the Goryeo Period.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since Jejong Gyojang was carved, based on the structure of Sinpyon Jeong Gyojang Chongnok, a classification scheme of ‘Gang(綱)’ from Gyojang Chongnok. The result shows that:
      1) Uicheon developed step by step ‘a frame of study’ which was in the order of ‘Gyeong(經) >Non(論)>So(疏) >Uijang(義章)>Sasul(師述) 〉 [Bop]sang[ji] jusok([法]相[之]紬繹) = Gyosang Pansok(敎相判釋) of Cheongtae and Hyeonsu’ in order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each sutra presented by the Buddha, and figured out that from Non each step explained in detail and specified the higher step to reach the step of Gyosang Pansok. Therefore, he proved that the criteria of a classification scheme of the Gyojang Chongnok was based on Gyosang Pansok.
      2) It is proved that the whole classification scheme of Gyojang Chongnok is based on ‘the idea of Gyohak(敎學) by Uicheon’ which proceeds ‘① Theory of Sosung (Gusa(俱舍)) → ② Principle of Sigyo (Yuji(唯識)) → ③ Moment of Jongdon (Gisin(起信)) → ④ Awakening of Wonyung (Hwaom(華嚴))’.
      3) A classification scheme of ‘Gang’ from Gyojang Chongnok is established, based on ‘the idea of Gyohak by Uicheon’ and the integration and application of sutras presented by Wonhyo(元曉), Hyeonsu, and Cheongtae in the reversed order of their titles. The Sinpyeon Jejong Gyojang Chongnok was compiled as a bibliography of acquisitions, and became the base of carving Jejong Gyojang.
      Second, as a part of a bibliographical analysis of the existing Jejong Gyojang, ① the period and structure of carving Jejong Gyojang and its editions, ② the existing editions of Jejong Gyojang and the related records, ③ people who participated in proofreading the existing editions, and ④ the physical features of Jejong Gyojang are discussed. The results confirm the excellence of carving and printing in the Jejong Gyojang.
      번역하기

      In this research, ‘a classification scheme of ‘Gyojang Chongnok’’ and ‘a bibliographical analysis of the existing ‘Jejong Gyojang’’ are examined to extract the value and meaning of Jejong Gyojang in the Goryeo Period. Major findings ar...

      In this research, ‘a classification scheme of ‘Gyojang Chongnok’’ and ‘a bibliographical analysis of the existing ‘Jejong Gyojang’’ are examined to extract the value and meaning of Jejong Gyojang in the Goryeo Period.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since Jejong Gyojang was carved, based on the structure of Sinpyon Jeong Gyojang Chongnok, a classification scheme of ‘Gang(綱)’ from Gyojang Chongnok. The result shows that:
      1) Uicheon developed step by step ‘a frame of study’ which was in the order of ‘Gyeong(經) >Non(論)>So(疏) >Uijang(義章)>Sasul(師述) 〉 [Bop]sang[ji] jusok([法]相[之]紬繹) = Gyosang Pansok(敎相判釋) of Cheongtae and Hyeonsu’ in order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each sutra presented by the Buddha, and figured out that from Non each step explained in detail and specified the higher step to reach the step of Gyosang Pansok. Therefore, he proved that the criteria of a classification scheme of the Gyojang Chongnok was based on Gyosang Pansok.
      2) It is proved that the whole classification scheme of Gyojang Chongnok is based on ‘the idea of Gyohak(敎學) by Uicheon’ which proceeds ‘① Theory of Sosung (Gusa(俱舍)) → ② Principle of Sigyo (Yuji(唯識)) → ③ Moment of Jongdon (Gisin(起信)) → ④ Awakening of Wonyung (Hwaom(華嚴))’.
      3) A classification scheme of ‘Gang’ from Gyojang Chongnok is established, based on ‘the idea of Gyohak by Uicheon’ and the integration and application of sutras presented by Wonhyo(元曉), Hyeonsu, and Cheongtae in the reversed order of their titles. The Sinpyeon Jejong Gyojang Chongnok was compiled as a bibliography of acquisitions, and became the base of carving Jejong Gyojang.
      Second, as a part of a bibliographical analysis of the existing Jejong Gyojang, ① the period and structure of carving Jejong Gyojang and its editions, ② the existing editions of Jejong Gyojang and the related records, ③ people who participated in proofreading the existing editions, and ④ the physical features of Jejong Gyojang are discussed. The results confirm the excellence of carving and printing in the Jejong Gyojang.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문
      • Ⅰ. 서론
      • Ⅱ. 「교장총록」의 분류체계
      • Ⅲ. 현존 諸宗敎藏의 서지적 분석
      • Ⅳ. 제종교장의 조사연구 및 DB化의 과제 등
      • 요약문
      • Ⅰ. 서론
      • Ⅱ. 「교장총록」의 분류체계
      • Ⅲ. 현존 諸宗敎藏의 서지적 분석
      • Ⅳ. 제종교장의 조사연구 및 DB化의 과제 등
      • Ⅴ.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천혜봉, "羅麗印刷術의 硏究" 경인문화사 1979

      2 이병욱, "한국의 사상가 10人, 의천" 예문서원 2002

      3 서수정, "의천「 新編諸宗敎藏總錄」 佛敎書誌學的 硏究" 東國大學校 大學院 2004

      4 이병욱, "의천 연구의 어제와 오늘, In 한국의 사상가 10人-의천" 예문서원 15-41, 2002

      5 남권희, "새로 發見된 高麗續藏經 覆刻本 3種에 관한 考察" 16 : 33-67, 1989

      6 박용진, "대각국사 문집(번역본)" 지식을만드는지식 2010

      7 김윤곤, "고려대장경의 새로운 이해" 불교시대사 2002

      8 김성수, "고려 초조대장경 각판의 발원 장소 및 일자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 45 (45): 75-96, 2011

      9 大屋德城, "高麗續藏經雕造考" 便利堂 1937

      10 김성수, "高麗續藏經目錄 編成의 思想的 背景" 청주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6 : 215-235, 1987

      1 천혜봉, "羅麗印刷術의 硏究" 경인문화사 1979

      2 이병욱, "한국의 사상가 10人, 의천" 예문서원 2002

      3 서수정, "의천「 新編諸宗敎藏總錄」 佛敎書誌學的 硏究" 東國大學校 大學院 2004

      4 이병욱, "의천 연구의 어제와 오늘, In 한국의 사상가 10人-의천" 예문서원 15-41, 2002

      5 남권희, "새로 發見된 高麗續藏經 覆刻本 3種에 관한 考察" 16 : 33-67, 1989

      6 박용진, "대각국사 문집(번역본)" 지식을만드는지식 2010

      7 김윤곤, "고려대장경의 새로운 이해" 불교시대사 2002

      8 김성수, "고려 초조대장경 각판의 발원 장소 및 일자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 45 (45): 75-96, 2011

      9 大屋德城, "高麗續藏經雕造考" 便利堂 1937

      10 김성수, "高麗續藏經目錄 編成의 思想的 背景" 청주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6 : 215-235, 1987

      11 池內宏, "高麗朝の大藏經" 13 (13): 307-362, 1923

      12 朴龍雲, "高麗時代史" 一志社 1993

      13 朴龍雲, "高麗時代 官職, 官階 硏究" 고려대학교 출판부 1997

      14 鮑志成, "高麗史與高麗王子" 杭州大學出版社 1995

      15 "高麗史 卷90.〈 列傳〉3, 宗室 1, 大覺國師 煦"

      16 허흥식, "高麗佛敎史硏究" 일조각 1986

      17 조명기, "高麗 大覺國師와 天台思想" 동국문화사 1964

      18 高山寺典籍文書綜合調査團, "高山寺經藏典籍文書目錄 1" 東京大學出版會 1973

      19 金斗鍾, "韓國古印刷技術史" 深求堂 1980

      20 金富軾, "開城靈通寺 大覺國師碑, In 校勘譯註 歷代高僧碑文. 高麗篇 3" 가산불교문화연구원 1996

      21 金富軾, "開城靈通寺 大覺國師碑, In 朝鮮金石總攬 上" 경인문화사 305-316, 1974

      22 朴浩, "開城興王寺大覺國師墓誌, In 朝鮮金石總攬 上" 경인문화사 293-295, 1974

      23 남권희, "諸宗敎藏 자료의 서지 조사와 분석 및 DB化" 고려대장경연구소 2011

      24 김두진, "義天의 天台宗과 宋·高麗 불교계와의 관계" 仁荷歷史學會 10 : 2003

      25 박용진, "義天 -그의 생애와 사상" 혜안 2011

      26 李箕永, "敎判上에서 본 元曉의 位置" 한국불교연구원 345-358, 1982

      27 大屋德成, "影印高山寺本新編諸宗敎藏總錄" 便利堂 1936

      28 조명기, "大覺國師의 天台思想과 續藏의 業績, In 백성욱박사 송수기념 불교학논문집" 동국문화사 893-931, 1959

      29 義天, "大覺國師文集, In 韓國佛敎全書 第4冊" 동국대학교 출판부 1990

      30 義天, "大覺國師文集" 서울대학교 규장각도서관 소장본

      31 義天, "大覺國師文集" 건국대학교 출판부 1974

      32 義天, "大覺國師外集, In 韓國高僧傳 -高麗時代 1" 경인문화사 277-482, 1974

      33 문화공보부, "動産文化財指報告書" 文化公報部 文化財管理局 1988

      34 林存, "仁同僊鳳寺大覺國師碑文, In 朝鮮金石總攬 上" 경인문화사 329-334, 1974

      35 戒環, "中國華嚴思想史硏究" 불광출판사 1996

      36 김성수, "「신편제종교장총록」의 분류체계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1982

      37 김성수, "「신편제종교장총록」의 著錄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6 : 1-22, 1997

      38 김성수, "「교장총록」 經部 분류체계의 분석" 한국도서관학회 10 : 121-148, 1983

      39 최애리, "「新編諸宗敎藏總錄」의 편성체계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200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0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9-06-17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 Association of Buddhist Studies -> Korean Association of Buddhist Studies
      2019-06-11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For Buddhist Studies -> Korea Association of Buddhist Studies
      2019-06-07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BUL GYO HAK YEONGU-Journal of Buddhist Studies -> Korea Journal of Buddhist Studies
      2015-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8 0.48 0.5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2 0.47 0.937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