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1970년대 이후 최근에 이르기까지 양국의 구조변화 속도 추이를 추적하였고 양국 모두에서 2000년대 이후 그 속도가 빠르게 감퇴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현대 세계경제에서 빠...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9787187
한홍열 (한양대학교)
2025
Korean
경제발전 ; 산업구조 ; 구조변화의 속도 ; 무역구조 ; 한국 및 일본경제 ; Economic Development ; Industry Structure ; Growth Rate ; Trade Structure ; Korea ; Japan
KCI등재
학술저널
7-34(28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1970년대 이후 최근에 이르기까지 양국의 구조변화 속도 추이를 추적하였고 양국 모두에서 2000년대 이후 그 속도가 빠르게 감퇴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현대 세계경제에서 빠...
본 연구에서는 1970년대 이후 최근에 이르기까지 양국의 구조변화 속도 추이를 추적하였고 양국 모두에서 2000년대 이후 그 속도가 빠르게 감퇴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현대 세계경제에서 빠르게 산업화에 성공한 두 국가가 근년에 있어서는 의미 있는 산업구조 변화를 이뤄내지 못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 의하면 구조변화의 속도는 경제성장에 매우 강력하게 작용한다. 구조변화의 속도는 자원의 효율적 이동과정에서 발생하는 매우 다양한 효과를 대리하는 변수이기 때문일 것이다. 이러한 평가를 받아들인다면 구조변화 속도를 한 경제의 혁신 수준을 대표하는 변수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양국 경제에서 성장률 정체 역시 구조변화 지체에 따른 필연적인 결과일 가능성이 크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두 나라 경제의 구조변화가 있다고 하더라도 세계의 무역구조 변화를 기준으로 볼 때 그 방향성을 같이 하는지에 대하여 상당한 의문이 제기되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Economic development is a dynamic process involving both structural transformation and economic growth. Therefore the speed of structural change carries significant implications as it shapes the relative economic performance of nations. The current st...
Economic development is a dynamic process involving both structural transformation and economic growth. Therefore the speed of structural change carries significant implications as it shapes the relative economic performance of nations. The current stagnant economic situations of Japan and Korea can largely be attributed to the slowing speed of structural change. This study traces structural change in both countries since the 1970s. The study identifies a notable deceleration of structural changes in both economies since the 2000s. The finding suggests that both economies have failed to upgrade their industrial structures significantly while the world economy has experienced industrial and technological transformation. This study also confirmed that the speed of structural change strongly influences economic growth. As the speed of structural changes reflects the capacity of an economy to allocate resource efficiently, it could be a good candidate index for innovation. Therefore growth stagnation in both economies may be an inevitable result of delayed structural transformation, suggesting that Korea and Japan may face the “ advanced income trap”. While both countries have pursued industrial policy reform in one way or another, those efforts appear ineffective in producing real change when measured by the speed of industry structure in this study.
The Birth of Korea-United States Relations
협력적 거버넌스에 기반한 화학물질 안전관리 해외 사례 연구
한중 관계 영향 요인 연구: 한국의 대북, 대미 정책을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