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어의 격조사와 초점 -주격과 대격을 중심으로- = Case Markers and Focus in Korea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41022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에서는 ‘초점’을 중심으로 한국어의 주격 조사와 대격 조사의 의미ㆍ화용적 기능을 밝히고 그 실현과 비실현 양상과 관련된 문제를 논의하였다. ‘이/가’와 ‘을/를’은 격을 표...

      이 연구에서는 ‘초점’을 중심으로 한국어의 주격 조사와 대격 조사의 의미ㆍ화용적 기능을 밝히고 그 실현과 비실현 양상과 관련된 문제를 논의하였다. ‘이/가’와 ‘을/를’은 격을 표시하는 동시에 ‘주제-초점’ 구조에서의 신정보인 가로초점을 표시한다. ‘이/가’와 ‘을/를’은 세로초점의 실현과도 관계가 있다. 하지만 ‘이/가’와 ‘을/를’에 의한 세로초점은 발화 맥락에 따라 수의적이고 가로초점에 늘 겹쳐서 나타난다. 따라서 ‘이/가’와 ‘을/를’이 표시하는 초점의 본질은 결국 가로초점이다. ‘이/가’와 ‘을/를’이 표시하는 가로초점에 세로초점이 겹쳐 나타나면 다양한 의미가 나타난다. 이러한 의미는 ‘이/가’와 ‘을/를’에 관습적으로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는 점에서 이들 조사의 의미로 볼 수는 없다. ‘이/가’와 ‘을/를’이 세로초점만을 표시하는 경우는 이른바 보조사적 용법의 ‘이/가’와 ‘을/를’에서 나타난다. 보조사적 용법의 ‘이/가’와 ‘을/를’이 나타내는 ‘강조’의 의미는 세로초점의 핵심인 대안집합과의 대조를 통해 나타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이/가’와 ‘을/를’은 그 실현을 통해 초점을 표시해 주지만 초점의 유무에 따른 필수적 실현 여부에는 차이가 있다. ‘이/가’는 주어에 초점이 놓이면 반드시 실현되어야 하지만 ‘을/를’은 목적어에 초점이 놓이더라도 실현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양상은 한국어 주어의 문법화 정도가 낮기 때문에 나타나는 것으로 생각된다. 주격과 대격의 비대칭적 실현 양상은 주격과 대격의 비실현형이 서로 다른 문법적 지위를 가진다는 것을 말해 준다. 주격의 비실현은 주격과 대립 관계를 이루므로 Ø 표지의 실현으로 해석되지만 대격의 비실현은 단순한 격표지의 비실현으로 볼 수 있다. 주격의 대립형으로서의 Ø 표지는 ‘이/가’의 이형태보다는 ‘이/가’, ‘께서’와 구별되는 또 하나의 주격 표지로 보는 것이 더 합리적이다. 그러나 주격 표지로서의 Ø는 그 기능이 ‘이/가’와의 대립을 통해서 소극적으로만 드러나기 때문에 주격 조사로서의 지위는 불완전한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article, we aim to find semantic or pragmatic functions of nominative and accusative case markers in Korean focusing at focus and to argue the issues concerning their occurrence and nonoccurrence. i/ka and ul/lul mark case and syntagmatic focu...

      In this article, we aim to find semantic or pragmatic functions of nominative and accusative case markers in Korean focusing at focus and to argue the issues concerning their occurrence and nonoccurrence. i/ka and ul/lul mark case and syntagmatic focus. It seems that i/ka and ul/lul have relevance to paradigmatic focus which is so-called contrastive focus. However paradigmatic focus which is marked by nominative and accusative marker is optional and always involves syntagmatic focus. Thus the essential function of focus which is marked by nominative and accusative is syntagmatic focus. There are several meanings when syntagmatic focus which is marked by nominative and accusative pluses paradigmatic focus. But these meanings are not conventional meaning of i/ka and ul/lul and 'emphatic' function of i/ka and ul/lul comes form contrast in alternative set. Thus i/ka and ul/lul have in common in that focus marking but there are differences in that their obligation. i/ka must occur in focus subject but ul/lul does not have to occur in focus object. This aspect seems to result from the degree of grammaticalization of subject. Asymmetric occurrence of i/ka and ul/lul shows that non-occurrences of nominative and accusative has difference grammatical status. Non-occurrence of nominative can be interpreted zero marker but non-occurrence of accusative is simply non-occurrence of case marker.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Huang, Y., "화용론" 한국외국어대학교 출판부 2009

      2 Haspelmath, "형태론의 이해" 도서출판 역락 2015

      3 남기심, "현대국어 통사론" 태학사 2001

      4 임동훈, "현대 국어 경어법 어미 ‘-시-’에 대한 연구"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6

      5 문병열, "한국어의 초점 구성과 그 위계에 대한 연구 시론 - 질문ㆍ대답의 문장 쌍을 중심으로" 언어연구소 (41) : 33-56, 2008

      6 임홍빈, "한국어의 주제와 통사 분석"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7

      7 전영철, "한국어의 제언문/정언문 구별과 정보구조" 국어학회 (68) : 99-133, 2013

      8 전영철, "한국어의 대조초점" 사단법인 한국언어학회 (43) : 215-237, 2005

      9 박철우, "한국어에는 주어가 없는가" 현대문법학회 (76) : 149-172, 2014

      10 김영희, "한국어 통사론을 위한 논의" 한국문화사 263-292, 1998

      1 Huang, Y., "화용론" 한국외국어대학교 출판부 2009

      2 Haspelmath, "형태론의 이해" 도서출판 역락 2015

      3 남기심, "현대국어 통사론" 태학사 2001

      4 임동훈, "현대 국어 경어법 어미 ‘-시-’에 대한 연구"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6

      5 문병열, "한국어의 초점 구성과 그 위계에 대한 연구 시론 - 질문ㆍ대답의 문장 쌍을 중심으로" 언어연구소 (41) : 33-56, 2008

      6 임홍빈, "한국어의 주제와 통사 분석"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7

      7 전영철, "한국어의 제언문/정언문 구별과 정보구조" 국어학회 (68) : 99-133, 2013

      8 전영철, "한국어의 대조초점" 사단법인 한국언어학회 (43) : 215-237, 2005

      9 박철우, "한국어에는 주어가 없는가" 현대문법학회 (76) : 149-172, 2014

      10 김영희, "한국어 통사론을 위한 논의" 한국문화사 263-292, 1998

      11 임동훈, "한국어 조사의 하위 부류와 결합 유형" 국어학회 (43) : 119-154, 2004

      12 고석주, "한국어 조사의 연구 : '-가'와 '-를'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1

      13 임동훈, "한국어 조사 ‘만’과 ‘도’의 의미론" 205 : 1-20, 2007

      14 목정수, "한국어 조사 {가}, {를}, {도}, {는} 의 의미 체계: 불어 관사와의 대응성과 관련하여" 18 : 1-49, 1998

      15 최윤지, "한국어 정보구조 연구" 서울대학교 2016

      16 박철우, "한국어 정보 구조에서의 화제와 초점" 도서출판 역락 2003

      17 백해파, "한국어 구어의 동사구문의 실현에 대한 연구" 연세대학교 2015

      18 목정수, "한국어 격조사와 특수조사의 지위와 그 의미 - 유형론적 접근 -" 사단법인 한국언어학회 (23) : 47-78, 1998

      19 남기심, "표준국어문법론" 탑출판사 1993

      20 杜林林, "중세 한국어의 정보구조 : 조사 '-이', '-는', '-으란', '-ㅿㅏ'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4

      21 채완, "조사 ‘는’의 의미" 4 : 98-113, 1975

      22 김미경, "정보 구조화 관점에서 본 생략의 의미와 조건" 6 (6): 61-88, 1999

      23 임동훈, "이중 주어문의 통사 구조" 19 : 31-66, 1997

      24 남윤진, "우리말 연구 서른 아홉 마당" 태학사 157-190, 2005

      25 고영근, "우리말 문법론" 집문당 2008

      26 유동석, "양태 조사의 통보기능에 대한 연구: {이}, {을}, {은}을 중심으로" 60 : 1984

      27 허재영, "부정문의 통시적 연구" 도서출판 역락 2002

      28 안병희, "부정격 정립을 위하여" 6 : 222-223, 1966

      29 박미영, "부정 보문소 '-지'와 '-를', '-가'의 통합 양상-통시적 변화를 중심으로-" 형태론 12 (12): 241-254, 2010

      30 이숙, "대화체 문장에 나타나는 조사 생략의 분포적 특징" 인문학연구원 (43) : 29-59, 2009

      31 전영철, "대조 화제와 대조 초점의 표지 ‘는’" 한글학회 (274) : 171-200, 2006

      32 Chafe, W. L., "담화와 의식과 시간" 한국문화사 2006

      33 임홍빈, "국어의 주제화 연구" 28 : 1972

      34 신창순, "국어의 주어 문제 연구" 2 : 131-170, 1975

      35 이남순, "국어의 부정격과 격표지 생략" 탑출판사 1988

      36 한정한, "국어의 격과 조사" 월인 361-392, 1999

      37 유동석, "국어연구 어디까지왔나" 동아출판사 233-140, 1990

      38 남기심, "국어문법의 탐구 Ⅰ" 태학사 68-92, 1996

      39 이지영, "국어 용언부정문의 역사적 변화" 태학사 2008

      40 이호승, "국어 격 범주의 성격과 격 체계의 설정" 한국어문학회 (117) : 39-67, 2012

      41 배진영, "구어 문어 통합 문법 기술2: 명사와 명사구Ⅱ" 박이정 2014

      42 이호승, "격조사 없는 명사구의 격 문제에 대하여" 한국어문학회 (93) : 2006

      43 엄정호, "격의 개념과 한국어의 조사" 국어학회 (62) : 199-223, 2011

      44 이선웅, "格의 槪念과 分類" 한국어문교육연구회 40 (40): 7-32, 2012

      45 임동훈, "‘이다’ 구문의 제시문적 성격" 국어학회 (45) : 119-144, 2005

      46 전영철, "‘이/가’ 주제설에 대하여" 담화·인지언어학회 16 (16): 217-238, 2009

      47 임동훈, "‘은/는’과 종횡의 의미 관계" 국어학회 (64) : 217-271, 2012

      48 최동주, "‘은/는’과 ‘이/가’의 출현 양상" 인문과학연구소 (65) : 25-58, 2012

      49 박철우, "‘대조’ 의미의 언어학적 성격 —정보구조와 관련하여" 한국어의미학회 45 : 129-157, 2014

      50 홍재성, "‘견디다’ 구문의 기술을 위하여" 208 : 35-64, 1990

      51 Hopper, P. J., "Transitivity in Grammar and Discourse" 56 : 251-299, 1980

      52 Dowty, D., "Thematic Proto-roles and Argument Selection" 67 (67): 547-619, 1991

      53 Sgall P., "The Meaning of the Sentence in Its Semantic and Pragmatic Aspects" D. Reidel Publishing Company 1986

      54 König, E., "The Meaning of Focus Particles: A Comparative Perspective" Routledge 1991

      55 Rooth, M., "The Handbook of contemporary Semantics" Blackwell 271-297, 1996

      56 Gundel, J. K., "The Handbook of Pragmatics" Blackwell 175-196, 2004

      57 König, E., "Syntax1: An International Handbook of Contemporary Research" Walter de Gruyter 1978-1987, 1993

      58 Vallduví, E., "Syntax and Semantics 29: The Limits of Syntax" Academic Press 79-108, 1998

      59 Van Vallin R. D., "Syntax"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7

      60 Li, C. N., "Subject and Topic" Academic Press 457-489, 1976

      61 Lehman, W. P., "Subject and Topic" Academic Press 445-456, 1976

      62 Chafe, W. L., "Subject and Topic" Academic Press 25-55, 1976

      63 Glanzberg, M., "Semantics versus Pragmatics" Oxford University Press 72-110, 2005

      64 오치성, "Ratified and Unratified Topics in Spoken Korean" 대한언어학회 16 (16): 25-41, 2008

      65 Chafe, W. L., "Language and Consciousness" 50 : 111-133, 1974

      66 Comrie, B., "Language Universals and Linguistic Typology" Blackwell 1981

      67 Kibrik, A. E., "Language Typology and Language Universals: An International Handbook" Walter de Gruyter 1413-1423, 2001

      68 Krifka, M., "Interdisciplinary Studies on Information Structure 6" 13-55, 2007

      69 Lambrecht, K., "Information Structure and Sentence Form"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4

      70 Erteschik-Shir, N., "Information Structure" Oxford University Press 2007

      71 Vallduví, E., "Information Component" University of Pennsylvania 1990

      72 Kiss, K., "Identificational Focus versus Informational focus" 74 : 245-273, 1998

      73 Hopper, P. J., "Grammaticaliza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3

      74 이한정, "Focus Types and Gradients in Korean Case Ellipsis" 한국언어정보학회 12 (12): 1-20, 2008

      75 Gundel, J. K., "Focu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13-127, 1999

      76 Büring, D., "Focu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42-165, 1999

      77 이한정, "Contrastive Focus and Variable Case Marking: A Comparison between Subjects and Objects" 한국언어정보학회 13 (13): 1-27, 2009

      78 de Hoop, H., "Case Marking Strategies" 39 (39): 565-587, 2008

      79 Blake, J., "Cas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4

      80 Rooth, M., "Association with Focus" University of Massachusetts 1985

      81 Kroeger, P. R., "Analyzing Syntax"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4

      82 Kroeger, P. R., "Analyzing Grammar"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5

      83 오치성, "-Un/Nun as an Unratified Topic Marker in Korean" 한국언어학회 34 (34): 603-624, 2009

      84 오치성, "-I/Ka as a focus marker in Korean" 43 : 139-150, 2010

      85 이정민, "(비)한정성/(불)특정성 대 화제(Topic)/초점: 개체 층위/단계 층위 술어와도 관련하여" 22 : 397-424, 199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8-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8-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45 1.45 1.4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41 1.52 2.572 0.2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