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의 목적은 청년 로컬관광크리에이터의 창업경험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고 경험에 대한 본질을 발견하는 것이다. 이 연구는 청년 로컬관광크리에이터 개인과 정체의 경험을 통합적으...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9735097
2025
-
326
KCI우수등재
학술저널
99-118(20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청년 로컬관광크리에이터의 창업경험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고 경험에 대한 본질을 발견하는 것이다. 이 연구는 청년 로컬관광크리에이터 개인과 정체의 경험을 통합적으...
이 연구의 목적은 청년 로컬관광크리에이터의 창업경험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고 경험에 대한 본질을 발견하는 것이다. 이 연구는 청년 로컬관광크리에이터 개인과 정체의 경험을 통합적으로 기술하기 위해 Giorgi (1985)의 분석기법으로 접근하였으며, 연구문제는 1) 청년 로컬관광크리에이터 창업의 한계와 어려움에 대한 정서적 의미는 무엇인가? 2) 기초자치단체의 역할에 대한 정서적 의미는 무엇인가로 설정하였다. 자료 수집은 7년 이하의 청년 로컬관광크리에이터 창업가를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진행하였으며, 자료 분석은 Giorgi et al. (2017)의 5단계 분석절차로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연구문제1에 대한 의미는 125개의 의미단위, 19개의 변형된 의미단위, 6개의 하위주제, 3개의 주제가 도출되었다. 이들은 지역 특색에 맞는 관광 브랜드 스토리를 찾기 위해 노력을 기울이고 있었으며, 지역 판로개척과 고객유치 현실에 대한 냉혹함을 경험하고 있었다. 또한, 이들은 홀로 이겨내야 하는 무게감과 막중한 책임감을 느끼고 있었다. 둘째, 연구문제2에 대한 의미는 94개의 의미단위, 14개의 변형된 의미단위, 5개의 하위주제, 2개의 주제가 도출되었다. 이들은 기초자치단체와의 관계에 대한 다차원적인 감정을 갖고 있었으며, 기초자치단체에게 지속적인 성장에 대한 지원을 기대하고 있었다. 이 연구는 청년 로컬관광크리에이터의 창업경험을 분석한 초기연구로서 후속연구의 기틀을 마련하였으며, 분석결과를 토대로 청년 로컬관광크리에이터 활성화를 위한 지역정주 향상방안 수립의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ntrepreneurial experiences of young local tourism creators and uncover the essence of their experiences. Applying Giorgi's (1985) analysis method, this study tried to provide a comprehensive description of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ntrepreneurial experiences of young local tourism creators and uncover the essence of their experiences. Applying Giorgi's (1985) analysis method, this study tried to provide a comprehensive description of both individual and collective experiences through two key research questions: What are the emotional meanings of (1) the entrepreneurial limitations and difficulties that local tourism creators face (RQ1), and (2) the role of local governments (RQ2)? Data were gather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young tourism entrepreneurs having less than 7 years of experience, and were analyzed using Giorgi et al.'s (2017) 5-step procedure. For RQ1, analysis yielded 125 meaning units, condensed into 19 transformed meaning units, 6 sub-themes, and ultimately 3 overarching themes. Participants made efforts to develop tourism brand narratives aligned with local characteristics despite the difficulties they experienced in establishing new markets and attracting customers in their areas. They reported feeling isolated in facing these obstacles yet demonstrated a profound sense of responsibility. Regarding RQ2, analysis produced 94 meaning units, refined into 14 transformed meaning units, 5 sub-themes, and 2 primary themes. Participants expressed complex, multifaceted perspectives about their relationships with local governments and showed clear expectations for governmental support to foster sustainable growth. These study findings establish a foundation for future studies on the entrepreneurial experiences of local tourism creators and offer valuable insights for developing policies to support expand local settlement.
국민여행조사 원자료를 활용한 국내관광 지출 결정요인 분석
확장된 기술수용모델(ETAM)을 활용한 관광자의 도심항공교통(UAM) 이용의도 안전인식, 기업신뢰, 소비자혁신성을 중심으로
여가 중심 시대 여가 리터러시 개념과 모델 정립 - Sen의 역량 접근을 기반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