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초기성인기 여성의 미묘한 성차별 경험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거부민감성과 분노반추의 이중매개 효과 = The Effects of Gender Microaggression Experiences on Depression among women in early adulthood: The Double Mediating Effect of Rejection Sensitivity and Anger Rumin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28298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초기성인기 여성을 대상으로 미묘한 성차별 경험과 우울 간 관계에서 거부민감성과 분노반추의 순차적 이중매개 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미묘한 성차별을 경험한 초기성인기 여성 247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SPSS 25.0과 Process MACRO 6을 이용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기성인기 여성의 미묘한 성차별 경험과 거부민감성, 분노반추, 우울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초기성인기 여성의 미묘한 성차별 경험과 우울 간 관계에서 거부민감성의 부분 매개 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셋째, 초기성인기 여성의 미묘한 성차별 경험과 우울 간 관계에서 분노반추의 부분 매개 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초기성인기 여성의 미묘한 성차별 경험과 우울 간 관계에서 거부민감성과 분노반추의 순차적 이중매개 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미묘한 성차별 경험이 초기성인기 여성들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거부민감성과 분노반추의 역할을 규명함으로써, 미묘한 성차별의 심각성과 그로 인한 심리적 고통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예방 및 치료전략의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초기성인기 여성을 대상으로 미묘한 성차별 경험과 우울 간 관계에서 거부민감성과 분노반추의 순차적 이중매개 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미묘한 성차별을 경험한 초기성인...

      본 연구는 초기성인기 여성을 대상으로 미묘한 성차별 경험과 우울 간 관계에서 거부민감성과 분노반추의 순차적 이중매개 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미묘한 성차별을 경험한 초기성인기 여성 247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SPSS 25.0과 Process MACRO 6을 이용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기성인기 여성의 미묘한 성차별 경험과 거부민감성, 분노반추, 우울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초기성인기 여성의 미묘한 성차별 경험과 우울 간 관계에서 거부민감성의 부분 매개 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셋째, 초기성인기 여성의 미묘한 성차별 경험과 우울 간 관계에서 분노반추의 부분 매개 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초기성인기 여성의 미묘한 성차별 경험과 우울 간 관계에서 거부민감성과 분노반추의 순차적 이중매개 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미묘한 성차별 경험이 초기성인기 여성들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거부민감성과 분노반추의 역할을 규명함으로써, 미묘한 성차별의 심각성과 그로 인한 심리적 고통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예방 및 치료전략의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sequential double mediation effect of rejection sensitivity and anger rumin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gender microaggression and depression among women in early adulthood.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with 247 women in early adulthood who experienced gender microaggression, an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5.0 and Process MACRO.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gender microaggression, rejection sensitivity, anger rumination, and depression among women in early adulthood. Second, rejection sensitivity showed a significant partial mediation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gender microaggression and depression. Third, anger rumination also showed a significant partial mediation effect in this relationship. Fourth, the sequential double mediation effect of rejection sensitivity and anger rumination was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gender microaggression and depres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demonstrate the impact of gender microaggressions on depression among women in early adulthood and clarify the roles of rejection sensitivity and anger rumination. By highlighting the severity of gender microaggressions and the psychological distress they cause, this study contributes to raising social awareness. These findings provide a foundation for developing prevention and intervention strategies. Lastly,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번역하기

      This study examined the sequential double mediation effect of rejection sensitivity and anger rumin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gender microaggression and depression among women in early adulthood.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with 247 women in...

      This study examined the sequential double mediation effect of rejection sensitivity and anger rumin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gender microaggression and depression among women in early adulthood.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with 247 women in early adulthood who experienced gender microaggression, an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5.0 and Process MACRO.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gender microaggression, rejection sensitivity, anger rumination, and depression among women in early adulthood. Second, rejection sensitivity showed a significant partial mediation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gender microaggression and depression. Third, anger rumination also showed a significant partial mediation effect in this relationship. Fourth, the sequential double mediation effect of rejection sensitivity and anger rumination was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gender microaggression and depres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demonstrate the impact of gender microaggressions on depression among women in early adulthood and clarify the roles of rejection sensitivity and anger rumination. By highlighting the severity of gender microaggressions and the psychological distress they cause, this study contributes to raising social awareness. These findings provide a foundation for developing prevention and intervention strategies. Lastly,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