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밤 과육, 껍질 및 밤나무 잎 추출물에 대한 항산화 및 항염증 활성 비교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17650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resent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threeextracts (hot water, 50% ethanol and mixed solvent;water, ethanol, butylene glycol, propylene glycol) of dried chestnut,chestnut shell, chestnut lea...

      The present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threeextracts (hot water, 50% ethanol and mixed solvent;water, ethanol, butylene glycol, propylene glycol) of dried chestnut,chestnut shell, chestnut leaves and dried chestnut leaves obtained from Castanea crenata tree. When conducted DPPH assay,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ethanol extract of chestnut shell was the highest with IC50 10.8㎍/mL among four extractsfrom these parts (p<0.05). In additional results by the xanthine oxidase assay, antioxidant activity showed that waterextract of chestnut leaves showed the highest xanthine oxidase inhibitory activity in the tested extracts (p<0.05). Futher-more, extracts of chestnut shell and leaves exhibited no cytotoxicity in RAW 264.7 cells (p<0.05). Also, anti-inflammatoryactivity by NO assay showed LPS-induced NO was significantly inhibited following treatment with extracts of chestnut shelland leaves of 3㎎/mL (p<0.05). These data suggest that extract of chestnut shell have antioxidant and anti-inflamantoryactivity including chestnut leaves.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Castanea crenata research range and selection of functionalmaterial can broaden chestnut shell to other fractions such as chestnut and chestnut leav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노정해, "효소처리와 열처리에 의한 인삼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6 (36): 2007

      2 김명옥, "항산화활성 비교를 통한 발효 칠피의 추출용매 조건 탐색" 한국약용작물학회 18 (18): 217-223, 2010

      3 이양숙, "우산나물(Syneilesis palmata)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8 (38): 1471-1477, 2009

      4 임태진, "양파(Allium cepa) 추출물의 간보호 및 항산화 효과" 한국자원식물학회 18 (18): 470-15, 2005

      5 이희정, "쇠비름(Portulaca oleracea) 추출물의 DPPH radical 소거능과 in vitro 지질과산화 억제 효과와 그 활성성분" 한국생물공학회 18 (18): 165-169, 2003

      6 권지웅, "복분자 에탄올 추출물의 생리활성 탐색" 한국약용작물학회 19 (19): 325-333, 2011

      7 장민정, "밤부산물(율피)의 주름개선 및 미백 효과" 한국생명과학회 21 (21): 734-738, 2011

      8 육근정, "밤과 도토리의 과육 및 내피가 흰쥐의 지방대사, 항산화능 및 항혈전능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양학회 35 (35): 171-182, 2002

      9 김지영, "구실잣밤나무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균 활성" 한국자원식물학회 24 (24): 200-207, 2011

      10 Yagi A, "The effect of tyrosinase inhibition for Aloe" 3981 : 517-519, 1986

      1 노정해, "효소처리와 열처리에 의한 인삼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6 (36): 2007

      2 김명옥, "항산화활성 비교를 통한 발효 칠피의 추출용매 조건 탐색" 한국약용작물학회 18 (18): 217-223, 2010

      3 이양숙, "우산나물(Syneilesis palmata)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8 (38): 1471-1477, 2009

      4 임태진, "양파(Allium cepa) 추출물의 간보호 및 항산화 효과" 한국자원식물학회 18 (18): 470-15, 2005

      5 이희정, "쇠비름(Portulaca oleracea) 추출물의 DPPH radical 소거능과 in vitro 지질과산화 억제 효과와 그 활성성분" 한국생물공학회 18 (18): 165-169, 2003

      6 권지웅, "복분자 에탄올 추출물의 생리활성 탐색" 한국약용작물학회 19 (19): 325-333, 2011

      7 장민정, "밤부산물(율피)의 주름개선 및 미백 효과" 한국생명과학회 21 (21): 734-738, 2011

      8 육근정, "밤과 도토리의 과육 및 내피가 흰쥐의 지방대사, 항산화능 및 항혈전능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양학회 35 (35): 171-182, 2002

      9 김지영, "구실잣밤나무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균 활성" 한국자원식물학회 24 (24): 200-207, 2011

      10 Yagi A, "The effect of tyrosinase inhibition for Aloe" 3981 : 517-519, 1986

      11 박종필, "Suppression Effect of the Inflammatory Response in Macrophages by Paeoniae Radix Rubra Extracts" 한국약용작물학회 19 (19): 373-379, 2011

      12 Rim YS, "Screening of antioxidants and antimicrobial activity in native plants" 8 : 342-350, 2000

      13 Denizot F, "Rapid colorimetric assay for cell growth and survival : Modifications to the tetrazolium dye procedure giving improved sensitivity and reliability" 89 : 271-277, 1986

      14 Yoon KY., "Polyphenol compounds and biochemical characteristics of polyphenol oxidase in chinese chestnut" 9 : 51-59, 1991

      15 Lowenstrein CJ, "Nitric oxide : A physiologic messenger" 120 : 227-237, 1994

      16 Lee HY, "Lead bioabsorption by chestnut shell and oak sawdust in aqueous solution using thermodynamic equilibrium model" 9 : 15-26, 2012

      17 Cho YJ, "Inhibitory effect of condensed tannins isolated from Korean green tea against xanthine oxidase" 22 : 418-422, 1993

      18 Kim JS, "Income analysis of chestnut and pyogo 2006"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14-, 2007

      19 Saghal G, "In vitro antioxidant and xanthine oxidase inhibitory activities of methanolic Swietenia mahagoni seed extracts" 14 : 4476-4485, 2009

      20 Begona CA, "Fermented wheat germ extract inhibits glycolysis/pentose cycle enzymes and induces apoptosis through poly(ADP-ribose)polymerase activation in Jurkat T cell leukemia tumor cells" 277 : 46408-46414, 2002

      21 윤태숙, "Evaluation of Solvent Extraction on the Anti-Inflammatory Efficacy of Glycyrrhiza uralensis" 한국약용작물학회 18 (18): 28-33, 2010

      22 Nha YA, "Changes of constituent components in chestnut during storage" 28 : 1164-1170, 1996

      23 Cha BC, "Antioxidative and antimicrobial effect of nut species" 29 : 28-34, 1998

      24 Kwon EJ, "Antioxidative activity of solvent fraction and isolation of antioxidative compound from chestnut husk" 30 : 726-731, 2001

      25 Green LC, "Analysis of nitrate, nitrite, and [15N]nitrate in biological fluids" 126 : 131-138, 1982

      26 Wang LF., "A theoretical investigation on DPPH radical-Scavenging mechanism of edaravone" 13 : 3789-3792, 200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7-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4 0.94 0.8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9 0.81 1.189 0.1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