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인가 제약에 의한 러시아어 /v/의 정체성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6019321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러시아어의 대표적 자음관련 음운 현상 중 하나인 유무성 자음 동화는 자음이 인접한 환경에서만 발생 가능하고 원칙적으로 인접자음을 건너뛰고 동화 현상을 일으키지는 않는다. 그렇지만...

      러시아어의 대표적 자음관련 음운 현상 중 하나인 유무성 자음 동화는 자음이 인접한 환경에서만 발생 가능하고 원칙적으로 인접자음을 건너뛰고 동화 현상을 일으키지는 않는다. 그렇지만 [+sonorant] 자질 값을 가지는 공명자음 /m/,/n/, /l/, /r/, /j/와 환경에 따라 [+sonorant] 또는 [-sonorant] 값을 가지는 /v/는 규칙의 촉발음(trigger)과 대상음(target) 사이에 인접하더라도 음운 현상에 참여하지 않고 오히려 원거리에 있는 자음이 음운 현상에 참여하는 예가 발생한다. 미명시이론(Underspecification Theory)에 의한 분석에서는 공명자음들과 /v/가 장애음 무리 사이에 오는 경우 [voice] 자질 값을 미명시하고 투명성 효과(transparency effects)로 설명하여 양자 간의 차이를 알 수 없다.
      그렇지만 환경에 따라 [+sonorant] 또는 [-sonorant] 값을 가지는 /v/의 정체성은 [+sonorant] 자질 값을 가지는 다른 공명자음과 차이가 있다.
      인가제약(Licensing)에 의한 분석에서는 공명자음(/m, n, l, r, j/)들은 SonVOI와 LICENSE 제약의 위계, NasVOI와 LICENSE 제약의 위계에 따라 유성성([voice]) 미명시 여부가 달라지고 최적형이 상이하게 도출된다. 반면 /v/는 무성자음([-voice])+/v/의 자음무리인 /sverx/ → [sverx]의 경우에만 Son VOI ≫ LICENSE 제약 위계가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즉, 유성자음([+voice])+/v/의 자음무리인/zver’/ → [zver’], 유성자음([+voice])+/v/+무성자음([-voice])의 자음무리인/bez vtoroj/ → [bes ftoroj], 무성자음([-voice])+/v/+유성자음([+voice])의 자음무리인 /s vdovoj/ → [z vdovoj]는 제약 위계가 LICENSE ≫ Son VOI 이든, Son VOI ≫ LICENSE 이든 옳은 형태를 도출하게 된다.
      결론적으로 인가제약에 의한 분석을 통해 /v/는 다른 공명자음들과 구별되는 정체성을 가지고 있음을 밝힐 수 있다. 또한 /v/가 어말이나 무성자음 앞에서 무성음화되는 장애음의 특성과 동화 현상을 촉발시키지는 못한다는 공명음적 특성 모두를 가진다는 정의에 설득력을 부가할 수 있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요약
      • Ⅰ. 서론
      • Ⅱ. 본론
      • Ⅲ. 결론
      • 참고문헌
      • 국문요약
      • Ⅰ. 서론
      • Ⅱ. 본론
      • Ⅲ. 결론
      • 참고문헌
      • Резюме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명자, "자음무리 내 voice 자질일치와 /v/" 한국노어노문학회 18 (18): 63-82, 2006

      2 유승남, "유ㆍ무성 자음으로의 동화현상에 있어서 /v, v'/와 공명음의 특성" 한국슬라브학회 18 (18): 3-, 2003

      3 김신효, "러시아어 음운론에서의 미명시"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2011

      4 유승남, "러시아어 음운론에 있어서 미명세 이론의 의미" 한국노어노문학회 11 (11): 105-124, 1999

      5 강덕수, "러시아어 발음과 구조" 한국외국어대학교 출판부 2009

      6 김신효, "러시아어 동화현상 분석에 나타난 미명시와 최적성" 언어연구소 (32) : 1-26, 2003

      7 강덕수, "러시아 언어학 연구의 방법과 문제" 한신문화사 1995

      8 РеформатскийА. [Reformatskij A.], "Фонологические этюды" Изд. наука 1975

      9 Академия Наук [Akademija Nauk], "Русская грамматика, Том. 1" Наука 43-68, 1982

      10 추석훈, "К вопросу об ассимиляции фонемы /v/ в русском языке: новое освещение старых решений (/v/ 동화에 대한 새로운 고찰)" 2004

      1 이명자, "자음무리 내 voice 자질일치와 /v/" 한국노어노문학회 18 (18): 63-82, 2006

      2 유승남, "유ㆍ무성 자음으로의 동화현상에 있어서 /v, v'/와 공명음의 특성" 한국슬라브학회 18 (18): 3-, 2003

      3 김신효, "러시아어 음운론에서의 미명시"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2011

      4 유승남, "러시아어 음운론에 있어서 미명세 이론의 의미" 한국노어노문학회 11 (11): 105-124, 1999

      5 강덕수, "러시아어 발음과 구조" 한국외국어대학교 출판부 2009

      6 김신효, "러시아어 동화현상 분석에 나타난 미명시와 최적성" 언어연구소 (32) : 1-26, 2003

      7 강덕수, "러시아 언어학 연구의 방법과 문제" 한신문화사 1995

      8 РеформатскийА. [Reformatskij A.], "Фонологические этюды" Изд. наука 1975

      9 Академия Наук [Akademija Nauk], "Русская грамматика, Том. 1" Наука 43-68, 1982

      10 추석훈, "К вопросу об ассимиляции фонемы /v/ в русском языке: новое освещение старых решений (/v/ 동화에 대한 새로운 고찰)" 2004

      11 Иванов, В. [Ivanov, V.], "Историческая грамматика русского языка" Просвещение 1990

      12 Archangeli, D, "Underspecification in Yawelmani Phonology and Morphology" MIT 1984

      13 Steriade, D., "Underspecification and markedness, In Handbook of Phonology" Basil Blackwell 114-174, 1994

      14 Halle, M, "The Sound Pattern of Russian" Hague 1959

      15 유승만, "The Phonological Status of Russian v reconsidered" 한국러시아문학회 (15) : 149-165, 2004

      16 Andersen, H, "The Phonological Status of Russian 'labial fricatives'" 5 (5): 121-127, 1969

      17 Kiparsky, P, "Some consequences of Lexical Phonology" 2 : 85-138, 1985

      18 Padgett, J, "Russian voicing assimilation, final devoicing, and the problem of [v]" University of California at Santa Cruz 2002

      19 Shapiro, M, "Russian Non-Distinctive Voicing : A Stocktaking" 17 : 1-14, 1993

      20 Steriade, D, "Redundant values" 2 : 339-362, 1987

      21 Kenstowicz, M., "Phonology in Generative Grammar" Basil Blackwell 1994

      22 Prince, A., "Optimality Theory: Constraint Interaction in Generative Grammar" University of Colorado 1993

      23 Jakobson, R, "Mutual assimilation of Russian voiced and voiceless consonants" 32 (32): 107-110, 1978

      24 Ito, J, A. Mester, "Licensing and Underspecification in Optimality Theory" 26 (26): 571-613, 1995

      25 Jakobson, R, "Die Verteilung der Stimmhaften und Stimmlosen Geräuschlaute im Russischen, In Festschrift für max vasmer" 199-202, 1956

      26 Archangeli, D, "Aspects of Underspecification Theory" 5 : 183-207, 1988

      27 Chew, P. A., "A Computational Phonology of Russian" University of Oxford 199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16 0.16 0.1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 0.19 0.374 0.0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