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한국 근대 이솝우화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843481

      • 저자
      • 발행사항

        城南 : 韓國學中央硏究院, 2017

      • 학위논문사항

        學位論文(博士) -- 韓國學中央硏究院 韓國學大學院 , 國文學專攻 , 2017. 8

      • 발행연도

        2017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KDC

        813.8 판사항(5)

      • 발행국(도시)

        경기도

      • 형태사항

        vii, 220 p. : 도표 ; 26 cm

      • 일반주기명

        指道敎授 金炳善
        참고문헌: p. 206-213

      • UCI식별코드

        I804:41054-200000676474

      • 소장기관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research examines the enculturation and applications of Aesop’s fables in early modern Korea. Based on the social background of East Asian society that went through a sudden change during an era of Western expansion, this work analyzes 177 types, totaling 359 stories from the early 17th century to the early 1920s. Via this foundation, this research then discusses the effects and literary and historical significance that Aesop’s fables had on modern Korean literature.

      The transition and influence of Western modern culture that began during the Renaissance in the 14th century expanded its scope on an unprecedented scale across the world. As a global work of classical literature, Aesop’s fables are a collection of stories full of typical wisdom passed down by human beings, encompassing aspects of both East and West. These fables written under the name of Aesop, a Greek slave from the 6th century B.C., contain diverse content. In addition to emphasizing the most basic goodness of humanity, Aesop's fables are dominated by dichotomous thinking, black and white logic, logic of power, reversal of prejudice, and demonstrate the importance of values and wisdom. Aesop's fables were passed over to East Asia with the full-scale expansion of the West over the East at the start of the modern era. Today, these fables are used as literary works or contents of traditional and creative fairy tales in the field of education and publishing.

      The diverse themes and concise content of Aesop’s fables expanded their scope indefinitely. Thus, in this study, Aesop's fables are defined by first deciding on a selection criteria and organization the fables. In the process of analysis, comparison and selection, the Perry Index is used as a standard, but currently the most authoritative version of the fables in circulation in the market, the Cheon Byeong-hee copy, and the most circulated version circulated in modern Japan, the Watanabe On version, are used and comparatively analyzed alongside the Aesop's fables of modern Korea.

      Modern Korea’s acceptance of Aesop’s fables can be divided broadly into two stages. The first was through the early 17th century texts on Western learning and the second stage was through the domains of publishing and education that developed at the end of the 19th century. The acceptance of Aesop’s fables is closely connected to the influence of the Western world but their vitality is in the transformation of texts and their enculturation. Above all though, there is especially a need to focus on the oral aspects of the fables. Therefore, this research first examines the process of acceptance of Aesop’s fables as examples of Western learning and also analyzes the aspects of their enculturation as they came to be published in modern media at the time. Using this as a foundation, this work then extracts the fables that most frequently appeared in modern media outlets, looks at corresponding stories within the world of Korean oral literature and comparatively analyses their transformative aspects.

      Aesop’s fables were featured in Western learning books and were imported directly into Korea. According to The Society of Jesus’ adaptationism missionary strategy, the books of Matteo Ricci (1552-1610) and Diego de Pantoja (1571-1618) were written for the purpose of bringing Catholic missionary teachings to the literati and bureaucrats of China. From the stance of supplementing the Confucian classics, these texts were widely read among the Chinese literati because they marked a new chapter within the discourse in the formation of scholarship that differed from orthodox neo-confucian teaching. Ricci’s works especially were comprised of mild-mannered discussions with well known Chinese nobility; it was through this process that Aesop became introduced and Aesop’s fables were quoted.

      The literati of the Joseon dynasty of Korea at the time had no difficulty deciphering these texts. Books on Western learning were rejected, but the literati that had been alienated from the mainstream political sphere, especially those that had doubts about the existing social system, accepted these texts as primary importance. Thus, their focus concentrated on the main content of different western learning that differed from the existing social order of Confucianism and about Aesop’s fables that were quotes as elucidating grounds for a argument and not paying particular attention to them as Western literary works. However, when considering the voluntary acceptance of Christianity as Western learning, it can be inferred that Aesop's fables must have been spoken or transmitted in Korean.

      The fables that were published in modern media were accepted as imports, but by and large they also gradually began showing aspects of enculturation that went through a transformation and choice that followed the consciousness of Korea’s historic flow. For example, together with the rise of independence and patriotic enlightenment consciousness, Aesop's fables came to be published in new modern textbooks without being referred to from the conscious standpoint of being foreign literature. In other words, the fables were used as an official form of children’s character-building education that was needed for the formation of the spirit of a modern people. Aesop's fables were used as enlightenment texts for the youth of the day, in crisis situations such as the despoliation of national sovereignty and the nation’s degradation as a colony, while also being used to raise awareness of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nation at the time and also to foster education and skills. Not only this, but they also came used in propaganda within the Japanese colonial system, however, the innate critical nature of Aesop’s fables had internalized a sense of resistance, and thus they were also used as a tool of expressive consciousness of indirect resistance. Aesop 's fables in modern Korea were published into various media and according to changes to the system of Japanese imperialism, these fables changed in a flexible way and a consciousness of resistance either came to the surface of the text or came to be internalized.

      Aesop’s fables, due to their innately oral attributes, were transmitted down as oral literature and this can be ascertained through the outline of Korean oral literary history. The narrative of Aesop’s fables were thus simplified down in the process, with the fundamental motifs remaining as they had always been while demonstrating receptive features. The concise but familiar narrative was used as a story to draw responses from an audience or to induce a situation. Thus, one is able to gauge the popularity and vitality of Aesop's fables and their cultural enculturation. The symbolic meaning of certain animals came to be formed in combination with the collective unconscious. In addition, different cultural signs, in the narrative process, were either transformed or eliminated as realistic and also folksy things. Also, transformative aspects of music can be found but were instead passed down as traditional musical ballads.

      Through the examination of the transformation and acceptance of modern Korea’s Aesop’s fables, this research organizes the literary historic significance of these stories as follows. Firstly, in terms of time, Aesop’s fables before the opening of the country were used to demonstrate order outside of the social system that had a basis in studying abroad and emphasizing on social ethics and personal cultivation. After the opening of the country, Aesop’s fables were then used as texts for educative purposes for children and new forms of learning and at the same time, they embraced the responsibility of the times as a form of enlightenment and education. After the Japanese colonial era, the stories were used to induce conformity to the system but due to the innate critical nature of the stories, critical consciousness became internalized. Secondly, in terms of media, Aesop’s fables which were recorded as a form of Western learning, were recorded as an objective narrative method and were used as an example for developing the point of the argument. The fables that were printed in journals including magazines of modern Korean students who studied abroad expressed a strong sense of social criticism, thereby expressing a sense of resistance to the era of national sovereignty. Those published in books reveals the author' s tendency or argument directly in the form of a figure with a broad audience in mind. Thirdly, in terms of readers, Aesop’s Fables before the opening of the country were fully introduced aimed at Joseon literati class. After the opening of the country, their scope of readership expanded to the youth and the general public due to the rise of enlightenment rituals and the crisis situation of national rights abduction. Not only this, it has been internalized with the influx of the literary texts on Western learning, were passed down orally by the masses.

      Aesop's fables in Korea were not transformed into literary works of high artistic value. Instead, his fables have been in constant dialogue with the ruling system from the aspect of the social function of literature. In addition, the fables use animals to easily and interestingly embody ideology for the purpose of transmission to a much broader audience. Above all else, they have came to realize an educational effect through the function of literature as a way of both learning and pleasure. however, Aesop's fables, amusing, wise tales that embody the art of the way in which one should live one’s life, demonstrate a cynical attitude that also tolerates the order of survival of the fittest and the resignation of reality and thus this is something that one must be wary of when applying them to the dimensions of education.
      번역하기

      This research examines the enculturation and applications of Aesop’s fables in early modern Korea. Based on the social background of East Asian society that went through a sudden change during an era of Western expansion, this work analyzes 177 type...

      This research examines the enculturation and applications of Aesop’s fables in early modern Korea. Based on the social background of East Asian society that went through a sudden change during an era of Western expansion, this work analyzes 177 types, totaling 359 stories from the early 17th century to the early 1920s. Via this foundation, this research then discusses the effects and literary and historical significance that Aesop’s fables had on modern Korean literature.

      The transition and influence of Western modern culture that began during the Renaissance in the 14th century expanded its scope on an unprecedented scale across the world. As a global work of classical literature, Aesop’s fables are a collection of stories full of typical wisdom passed down by human beings, encompassing aspects of both East and West. These fables written under the name of Aesop, a Greek slave from the 6th century B.C., contain diverse content. In addition to emphasizing the most basic goodness of humanity, Aesop's fables are dominated by dichotomous thinking, black and white logic, logic of power, reversal of prejudice, and demonstrate the importance of values and wisdom. Aesop's fables were passed over to East Asia with the full-scale expansion of the West over the East at the start of the modern era. Today, these fables are used as literary works or contents of traditional and creative fairy tales in the field of education and publishing.

      The diverse themes and concise content of Aesop’s fables expanded their scope indefinitely. Thus, in this study, Aesop's fables are defined by first deciding on a selection criteria and organization the fables. In the process of analysis, comparison and selection, the Perry Index is used as a standard, but currently the most authoritative version of the fables in circulation in the market, the Cheon Byeong-hee copy, and the most circulated version circulated in modern Japan, the Watanabe On version, are used and comparatively analyzed alongside the Aesop's fables of modern Korea.

      Modern Korea’s acceptance of Aesop’s fables can be divided broadly into two stages. The first was through the early 17th century texts on Western learning and the second stage was through the domains of publishing and education that developed at the end of the 19th century. The acceptance of Aesop’s fables is closely connected to the influence of the Western world but their vitality is in the transformation of texts and their enculturation. Above all though, there is especially a need to focus on the oral aspects of the fables. Therefore, this research first examines the process of acceptance of Aesop’s fables as examples of Western learning and also analyzes the aspects of their enculturation as they came to be published in modern media at the time. Using this as a foundation, this work then extracts the fables that most frequently appeared in modern media outlets, looks at corresponding stories within the world of Korean oral literature and comparatively analyses their transformative aspects.

      Aesop’s fables were featured in Western learning books and were imported directly into Korea. According to The Society of Jesus’ adaptationism missionary strategy, the books of Matteo Ricci (1552-1610) and Diego de Pantoja (1571-1618) were written for the purpose of bringing Catholic missionary teachings to the literati and bureaucrats of China. From the stance of supplementing the Confucian classics, these texts were widely read among the Chinese literati because they marked a new chapter within the discourse in the formation of scholarship that differed from orthodox neo-confucian teaching. Ricci’s works especially were comprised of mild-mannered discussions with well known Chinese nobility; it was through this process that Aesop became introduced and Aesop’s fables were quoted.

      The literati of the Joseon dynasty of Korea at the time had no difficulty deciphering these texts. Books on Western learning were rejected, but the literati that had been alienated from the mainstream political sphere, especially those that had doubts about the existing social system, accepted these texts as primary importance. Thus, their focus concentrated on the main content of different western learning that differed from the existing social order of Confucianism and about Aesop’s fables that were quotes as elucidating grounds for a argument and not paying particular attention to them as Western literary works. However, when considering the voluntary acceptance of Christianity as Western learning, it can be inferred that Aesop's fables must have been spoken or transmitted in Korean.

      The fables that were published in modern media were accepted as imports, but by and large they also gradually began showing aspects of enculturation that went through a transformation and choice that followed the consciousness of Korea’s historic flow. For example, together with the rise of independence and patriotic enlightenment consciousness, Aesop's fables came to be published in new modern textbooks without being referred to from the conscious standpoint of being foreign literature. In other words, the fables were used as an official form of children’s character-building education that was needed for the formation of the spirit of a modern people. Aesop's fables were used as enlightenment texts for the youth of the day, in crisis situations such as the despoliation of national sovereignty and the nation’s degradation as a colony, while also being used to raise awareness of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nation at the time and also to foster education and skills. Not only this, but they also came used in propaganda within the Japanese colonial system, however, the innate critical nature of Aesop’s fables had internalized a sense of resistance, and thus they were also used as a tool of expressive consciousness of indirect resistance. Aesop 's fables in modern Korea were published into various media and according to changes to the system of Japanese imperialism, these fables changed in a flexible way and a consciousness of resistance either came to the surface of the text or came to be internalized.

      Aesop’s fables, due to their innately oral attributes, were transmitted down as oral literature and this can be ascertained through the outline of Korean oral literary history. The narrative of Aesop’s fables were thus simplified down in the process, with the fundamental motifs remaining as they had always been while demonstrating receptive features. The concise but familiar narrative was used as a story to draw responses from an audience or to induce a situation. Thus, one is able to gauge the popularity and vitality of Aesop's fables and their cultural enculturation. The symbolic meaning of certain animals came to be formed in combination with the collective unconscious. In addition, different cultural signs, in the narrative process, were either transformed or eliminated as realistic and also folksy things. Also, transformative aspects of music can be found but were instead passed down as traditional musical ballads.

      Through the examination of the transformation and acceptance of modern Korea’s Aesop’s fables, this research organizes the literary historic significance of these stories as follows. Firstly, in terms of time, Aesop’s fables before the opening of the country were used to demonstrate order outside of the social system that had a basis in studying abroad and emphasizing on social ethics and personal cultivation. After the opening of the country, Aesop’s fables were then used as texts for educative purposes for children and new forms of learning and at the same time, they embraced the responsibility of the times as a form of enlightenment and education. After the Japanese colonial era, the stories were used to induce conformity to the system but due to the innate critical nature of the stories, critical consciousness became internalized. Secondly, in terms of media, Aesop’s fables which were recorded as a form of Western learning, were recorded as an objective narrative method and were used as an example for developing the point of the argument. The fables that were printed in journals including magazines of modern Korean students who studied abroad expressed a strong sense of social criticism, thereby expressing a sense of resistance to the era of national sovereignty. Those published in books reveals the author' s tendency or argument directly in the form of a figure with a broad audience in mind. Thirdly, in terms of readers, Aesop’s Fables before the opening of the country were fully introduced aimed at Joseon literati class. After the opening of the country, their scope of readership expanded to the youth and the general public due to the rise of enlightenment rituals and the crisis situation of national rights abduction. Not only this, it has been internalized with the influx of the literary texts on Western learning, were passed down orally by the masses.

      Aesop's fables in Korea were not transformed into literary works of high artistic value. Instead, his fables have been in constant dialogue with the ruling system from the aspect of the social function of literature. In addition, the fables use animals to easily and interestingly embody ideology for the purpose of transmission to a much broader audience. Above all else, they have came to realize an educational effect through the function of literature as a way of both learning and pleasure. however, Aesop's fables, amusing, wise tales that embody the art of the way in which one should live one’s life, demonstrate a cynical attitude that also tolerates the order of survival of the fittest and the resignation of reality and thus this is something that one must be wary of when applying them to the dimensions of educa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서세동점의 시대에 급변하던 동아시아 사회 배경을 바탕으로, 17세기 초부터 1920년대 초에 이르기까지의 총 359편 177종 이솝우화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한국 근대의 이솝우화 수용 및 그 현지화 양상을 고찰하였다. 이를 토대로 이솝우화가 근대 한국 문학에 끼친 영향과 그 문학사적 의의를 논술하였다.

      14세기 르네상스 시대부터 시작된 서양의 근대문화 이행 및 그 영향력은 세계적인 범위에서 전례 없이 확장되었다. 세계 고전인 이솝우화는 오랫동안 동서양의 요소를 아우르면서 전해져 내려온, 인간 공동체의 대표적인 지혜가 담긴 집단 창작물이다. 기원전 6세기경의 그리스 노예인 이솝의 이름으로 귀결되는 우화에는 다양한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이솝우화는 인간의 가장 기본적인 선을 강조한 것 외에도 이분법적 사고와 흑백논리, 힘의 논리, 편견의 역전, 가치와 지혜의 중요성이 주축을 이룬다. 서양의 대표적인 가치관을 담은 이솝우화는 근대에 이르러 본격적인 서세동점의 확장과 더불어 동아시아에 전해졌다. 그리고 오늘날에도 전래동화나 창작동화와 함께 교육이나 출판의 영역에서 흔히 접할 수 있는 문학 작품 혹은 콘텐츠로 활용되고 있다.

      이솝우화의 다양한 주제와 간결한 내용은 그 범위를 무한정 확대시킨다. 그리하여 본 연구에서는 우선 선별 기준을 정하여 이솝우화를 정리하였다. 즉 이솝우화의 선별, 대조와 분석 과정에서 페리 인덱스(Perry Index)를 기준으로 하되 현재 시중에서 유통되고 있는 가장 권위적인 판본인 천병희 번역본과 근대 일본에서 가장 많이 유통되었던 와타나베 온 번안본을 근대 한국의 이솝우화 텍스트와 비교 분석하였다.

      한국 근대 이솝우화의 수용은 크게 두 단계로 나뉜다. 첫 번째는 17세기 초의 서학 저서를 통해서이고, 두 번째는 19세기 말 개항 이후의 교육과 출판의 영역을 통해서이다. 이솝우화의 수용은 서양의 영향력과 긴밀하게 연결되지만 그 생명력은 서사의 변용 및 현지화에 있다. 특히 우화로서의 구전적인 특성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우선 본 연구는 이솝우화가 서학으로 수용되는 과정을 고찰하였다. 그리고 근대 매체에 수록된 이솝우화의 현지화 양상을 분석하였다. 이를 토대로 근대 매체에 가장 많이 수록된 이솝우화를 선택하여 한국구비문학대계에서 대응하는 이야기를 찾아 그 변용 양상을 비교 분석하였다.

      이솝우화는 서학 저서에 수록되어 직접 한국으로 유입되었다. 마테오 리치(利瑪竇, Matteo Ricci, 1552~1610)와 판토하(龐迪我, Diego de Pantoja, 1571~1618)의 한문 저서는 예수회의 적응주의 선교 전략에 의하여 중국 문인 관료 계층을 주요대상으로 가톨릭 선교를 목적으로 집필되었다. 이들의 저서는 유학의 고전을 보충하는 입장에서 정통적인 주자학과는 구별되는 학문의 형태로 담론의 장을 만들었기 때문에 중국 문인들 사이에서 널리 읽힐 수 있었다. 특히 리치의 저서에는 중국의 유명한 사대부들과의 온화한 대담이 이루어지는데, 이 과정에서 이솝이 소개되고 이솝우화가 인용되었다.

      당시 조선시대 문인들은 이를 해독하는데 전혀 문제가 없었다. 서학 저서는 배척을 받기도 하였으나 주류 정계로부터 소외된 문인들 특히 기존의 사회 체제에 회의를 품은 문인들 위주로 수용되었다. 따라서 이들의 초점은 유학 중심의 기존 사회질서와는 다른 서학의 주요 내용에 집중되었으며, 논거 설파용으로 인용된 이솝우화에 대하여 서양 문학으로 특별히 주목하지는 않았다. 그러나 서학으로서의 기독교에 대한 자발적인 수용을 염두에 두었을 때, 이솝우화가 구전되거나 한글로 전해졌을 수 있음을 유추해볼 수 있다.

      근대 매체에 수록된 이솝우화는 유입 형태로 수용되기도 하였지만, 전반적으로 보았을 때 한국 근대 역사의 시대적 흐름을 의식하는 데 따른 선택 및 변용을 거쳐 점차 현지화되는 양상으로 나타났다. 즉 자주 독립과 애국 계몽 의식의 대두와 더불어 이솝우화는 외래문학이라는 의식이 없이 근대 신식 교과서에 수록되었다. 다시 말하면 근대 국민정신 주조에 필요한 공식적인 아동 인성 교육에 활용되었다. 그리고 국권의 침탈, 식민지로의 전락 등 위기의 상황에서 이솝우화는 청소년을 위한 계몽 텍스트로 활용되어 당면 시국을 의식하고 교육 구국과 실력 양성을 호소하는 데 응용되었다. 뿐만 아니라 일제의 식민 체제 선전에 이용되기도 하였지만, 이솝우화 본연의 비판적인 성격은 내면화된 저항을 담지하고 있었으며 따라서 우회적인 저항 의식의 표출 도구로도 활용되었다. 근대 한국에서의 이솝우화는 다양한 매체를 통하여 일제의 체제 변화에 따라 유연하게 변모하였으며, 그 저항의식은 텍스트 표면으로 드러나거나 내면화되었다.

      이솝우화는 우화 본연의 구전적인 특성으로 인하여 구비문학으로 전승되었으며 이는 한국구비문학대계를 통하여 확인할 수 있다. 이솝우화의 서사는 구연 과정에서 간소화되었지만 기본적인 모티브는 여전히 그대로 전승되어 수신적인 기능을 수행하고 있었다. 간결하면서도 친숙한 서사는 청중의 호응을 획득하거나 구연 상황을 유도하는 이야기로도 활용되었다. 그리하여 이솝우화의 대중성과 생명력을 가늠할 수 있었다. 그리고 문화적인 현지화 양상도 찾아볼 수 있었다. 일부 동물의 상징적 의미는 집단 무의식과 결합되면서 정형화되었다. 뿐만 아니라 이질적인 문화 기호는 구연 과정에서 현실적이면서도 토속적인 것으로 변용되거나 탈락되었다. 또한 음악적인 변용 양상을 찾아볼 수 있었는데 전통 음악인 타령으로 전승되기도 하였다.

      본 연구는 근대 한국의 이솝우화 수용 및 변용에 대한 고찰을 통하여 이솝우화의 문학사적 의의를 다음과 같이 정리하였다. 첫째, 시기별로 보면 개항 이전의 이솝우화는 개인 수양과 사회 윤리 지침의 강조 및 유학을 기반으로 하는 사회체제 이외의 질서를 논증하기 위하여 사용되었다. 개항 이후의 이솝우화는 신식 교육과 함께 아동 교육용 텍스트로 활용되었으며 이와 동시에 대중 계몽과 교육구국이라는 시대적 책임을 담아냈다. 일제강점기 이후에는 체제 순응 유도에 활용되기도 하였으나 우화 본연의 비판적인 성격으로 인하여 비판 의식은 내면화되기도 하였다. 둘째, 매체별로 보면 서학으로 수록된 이솝우화는 객관적인 서술 방식으로 수록되어 논지 전개를 위한 예증으로 활용되었다. 근대 한국 유학생 잡지를 포함한 저널에 실린 이솝우화는 보다 첨예한 사회 비판 의식을 표출함으로써 국권침탈의 시대적 상황에 대한 저항의식을 담았다. 단행본으로서의 이솝우화는 폭넓은 독자들을 염두에 두고 편저자의 경향이나 주장을 형상적이면서도 직접적으로 드러내었다. 셋째, 독자별로 보면 개항 이전의 이솝우화는 조선 문인 계층을 대상으로 본격적으로 유입되었다. 개항 이후에는 계몽 의식의 대두와 국권 침탈의 위기 상황에 따라 청소년 및 일반 대중으로 확장되었다. 뿐만 아니라 서학 저서의 유입과 더불어 이솝우화는 내재화되었으며 대중들에 의하여 꾸준히 전승되어 왔다.

      한국에서의 이솝우화는 예술적 가치가 높은 문학 작품으로 변용된 것은 아니다. 대신 이솝우화는 문학의 사회 기능적인 면에서 지배체제와 끊임없이 대화를 진행해 왔다. 뿐만 아니라 동물 형상을 이용하여 이데올로기나 지향을 쉽고도 흥미롭게 구체화시켜 보다 광범위한 대중들에게 전달하였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문학으로서의 교훈과 쾌락이라는 기능을 통한 교육적 효과를 실현하였다. 그러나 이솝우화는 재미있는 지혜담이자 처세술로 포장된 채, 현실을 체념하고 약육강식의 질서를 묵인하는 냉소적인 태도도 적지 않은 바 이는 교육적인 차원에서 활용할 때 마땅히 경계해야 할 부분이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서세동점의 시대에 급변하던 동아시아 사회 배경을 바탕으로, 17세기 초부터 1920년대 초에 이르기까지의 총 359편 177종 이솝우화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한국 근대의 이솝우화 수용 ...

      본 연구는 서세동점의 시대에 급변하던 동아시아 사회 배경을 바탕으로, 17세기 초부터 1920년대 초에 이르기까지의 총 359편 177종 이솝우화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한국 근대의 이솝우화 수용 및 그 현지화 양상을 고찰하였다. 이를 토대로 이솝우화가 근대 한국 문학에 끼친 영향과 그 문학사적 의의를 논술하였다.

      14세기 르네상스 시대부터 시작된 서양의 근대문화 이행 및 그 영향력은 세계적인 범위에서 전례 없이 확장되었다. 세계 고전인 이솝우화는 오랫동안 동서양의 요소를 아우르면서 전해져 내려온, 인간 공동체의 대표적인 지혜가 담긴 집단 창작물이다. 기원전 6세기경의 그리스 노예인 이솝의 이름으로 귀결되는 우화에는 다양한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이솝우화는 인간의 가장 기본적인 선을 강조한 것 외에도 이분법적 사고와 흑백논리, 힘의 논리, 편견의 역전, 가치와 지혜의 중요성이 주축을 이룬다. 서양의 대표적인 가치관을 담은 이솝우화는 근대에 이르러 본격적인 서세동점의 확장과 더불어 동아시아에 전해졌다. 그리고 오늘날에도 전래동화나 창작동화와 함께 교육이나 출판의 영역에서 흔히 접할 수 있는 문학 작품 혹은 콘텐츠로 활용되고 있다.

      이솝우화의 다양한 주제와 간결한 내용은 그 범위를 무한정 확대시킨다. 그리하여 본 연구에서는 우선 선별 기준을 정하여 이솝우화를 정리하였다. 즉 이솝우화의 선별, 대조와 분석 과정에서 페리 인덱스(Perry Index)를 기준으로 하되 현재 시중에서 유통되고 있는 가장 권위적인 판본인 천병희 번역본과 근대 일본에서 가장 많이 유통되었던 와타나베 온 번안본을 근대 한국의 이솝우화 텍스트와 비교 분석하였다.

      한국 근대 이솝우화의 수용은 크게 두 단계로 나뉜다. 첫 번째는 17세기 초의 서학 저서를 통해서이고, 두 번째는 19세기 말 개항 이후의 교육과 출판의 영역을 통해서이다. 이솝우화의 수용은 서양의 영향력과 긴밀하게 연결되지만 그 생명력은 서사의 변용 및 현지화에 있다. 특히 우화로서의 구전적인 특성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우선 본 연구는 이솝우화가 서학으로 수용되는 과정을 고찰하였다. 그리고 근대 매체에 수록된 이솝우화의 현지화 양상을 분석하였다. 이를 토대로 근대 매체에 가장 많이 수록된 이솝우화를 선택하여 한국구비문학대계에서 대응하는 이야기를 찾아 그 변용 양상을 비교 분석하였다.

      이솝우화는 서학 저서에 수록되어 직접 한국으로 유입되었다. 마테오 리치(利瑪竇, Matteo Ricci, 1552~1610)와 판토하(龐迪我, Diego de Pantoja, 1571~1618)의 한문 저서는 예수회의 적응주의 선교 전략에 의하여 중국 문인 관료 계층을 주요대상으로 가톨릭 선교를 목적으로 집필되었다. 이들의 저서는 유학의 고전을 보충하는 입장에서 정통적인 주자학과는 구별되는 학문의 형태로 담론의 장을 만들었기 때문에 중국 문인들 사이에서 널리 읽힐 수 있었다. 특히 리치의 저서에는 중국의 유명한 사대부들과의 온화한 대담이 이루어지는데, 이 과정에서 이솝이 소개되고 이솝우화가 인용되었다.

      당시 조선시대 문인들은 이를 해독하는데 전혀 문제가 없었다. 서학 저서는 배척을 받기도 하였으나 주류 정계로부터 소외된 문인들 특히 기존의 사회 체제에 회의를 품은 문인들 위주로 수용되었다. 따라서 이들의 초점은 유학 중심의 기존 사회질서와는 다른 서학의 주요 내용에 집중되었으며, 논거 설파용으로 인용된 이솝우화에 대하여 서양 문학으로 특별히 주목하지는 않았다. 그러나 서학으로서의 기독교에 대한 자발적인 수용을 염두에 두었을 때, 이솝우화가 구전되거나 한글로 전해졌을 수 있음을 유추해볼 수 있다.

      근대 매체에 수록된 이솝우화는 유입 형태로 수용되기도 하였지만, 전반적으로 보았을 때 한국 근대 역사의 시대적 흐름을 의식하는 데 따른 선택 및 변용을 거쳐 점차 현지화되는 양상으로 나타났다. 즉 자주 독립과 애국 계몽 의식의 대두와 더불어 이솝우화는 외래문학이라는 의식이 없이 근대 신식 교과서에 수록되었다. 다시 말하면 근대 국민정신 주조에 필요한 공식적인 아동 인성 교육에 활용되었다. 그리고 국권의 침탈, 식민지로의 전락 등 위기의 상황에서 이솝우화는 청소년을 위한 계몽 텍스트로 활용되어 당면 시국을 의식하고 교육 구국과 실력 양성을 호소하는 데 응용되었다. 뿐만 아니라 일제의 식민 체제 선전에 이용되기도 하였지만, 이솝우화 본연의 비판적인 성격은 내면화된 저항을 담지하고 있었으며 따라서 우회적인 저항 의식의 표출 도구로도 활용되었다. 근대 한국에서의 이솝우화는 다양한 매체를 통하여 일제의 체제 변화에 따라 유연하게 변모하였으며, 그 저항의식은 텍스트 표면으로 드러나거나 내면화되었다.

      이솝우화는 우화 본연의 구전적인 특성으로 인하여 구비문학으로 전승되었으며 이는 한국구비문학대계를 통하여 확인할 수 있다. 이솝우화의 서사는 구연 과정에서 간소화되었지만 기본적인 모티브는 여전히 그대로 전승되어 수신적인 기능을 수행하고 있었다. 간결하면서도 친숙한 서사는 청중의 호응을 획득하거나 구연 상황을 유도하는 이야기로도 활용되었다. 그리하여 이솝우화의 대중성과 생명력을 가늠할 수 있었다. 그리고 문화적인 현지화 양상도 찾아볼 수 있었다. 일부 동물의 상징적 의미는 집단 무의식과 결합되면서 정형화되었다. 뿐만 아니라 이질적인 문화 기호는 구연 과정에서 현실적이면서도 토속적인 것으로 변용되거나 탈락되었다. 또한 음악적인 변용 양상을 찾아볼 수 있었는데 전통 음악인 타령으로 전승되기도 하였다.

      본 연구는 근대 한국의 이솝우화 수용 및 변용에 대한 고찰을 통하여 이솝우화의 문학사적 의의를 다음과 같이 정리하였다. 첫째, 시기별로 보면 개항 이전의 이솝우화는 개인 수양과 사회 윤리 지침의 강조 및 유학을 기반으로 하는 사회체제 이외의 질서를 논증하기 위하여 사용되었다. 개항 이후의 이솝우화는 신식 교육과 함께 아동 교육용 텍스트로 활용되었으며 이와 동시에 대중 계몽과 교육구국이라는 시대적 책임을 담아냈다. 일제강점기 이후에는 체제 순응 유도에 활용되기도 하였으나 우화 본연의 비판적인 성격으로 인하여 비판 의식은 내면화되기도 하였다. 둘째, 매체별로 보면 서학으로 수록된 이솝우화는 객관적인 서술 방식으로 수록되어 논지 전개를 위한 예증으로 활용되었다. 근대 한국 유학생 잡지를 포함한 저널에 실린 이솝우화는 보다 첨예한 사회 비판 의식을 표출함으로써 국권침탈의 시대적 상황에 대한 저항의식을 담았다. 단행본으로서의 이솝우화는 폭넓은 독자들을 염두에 두고 편저자의 경향이나 주장을 형상적이면서도 직접적으로 드러내었다. 셋째, 독자별로 보면 개항 이전의 이솝우화는 조선 문인 계층을 대상으로 본격적으로 유입되었다. 개항 이후에는 계몽 의식의 대두와 국권 침탈의 위기 상황에 따라 청소년 및 일반 대중으로 확장되었다. 뿐만 아니라 서학 저서의 유입과 더불어 이솝우화는 내재화되었으며 대중들에 의하여 꾸준히 전승되어 왔다.

      한국에서의 이솝우화는 예술적 가치가 높은 문학 작품으로 변용된 것은 아니다. 대신 이솝우화는 문학의 사회 기능적인 면에서 지배체제와 끊임없이 대화를 진행해 왔다. 뿐만 아니라 동물 형상을 이용하여 이데올로기나 지향을 쉽고도 흥미롭게 구체화시켜 보다 광범위한 대중들에게 전달하였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문학으로서의 교훈과 쾌락이라는 기능을 통한 교육적 효과를 실현하였다. 그러나 이솝우화는 재미있는 지혜담이자 처세술로 포장된 채, 현실을 체념하고 약육강식의 질서를 묵인하는 냉소적인 태도도 적지 않은 바 이는 교육적인 차원에서 활용할 때 마땅히 경계해야 할 부분이다.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