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미혼 성인의 고독동기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매개효과 = The Effect of Solitude Motivation on Psychological Well-being in Single Adults: The Mediating Effect of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685754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olitude motivation on psychological well-being of unmarried adults a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To this end, data of 274 unmarried adults aged 20 to 39 were collected through an online survey.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conducted through SPSS 21.0, structural relationships and mediating effects were analyzed through AMOS 21.0, and the significance of the mediating effect was verified through bootstrapping.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self-determining solitude motivation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psychological well-being, and 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and, non-self-determining solitude motivation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psychological well-being, 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Second, the mediating effect of the adaptive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 strategy was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etermining solitude motivation, non-self-determining solitude motiva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hird, the mediating effect of the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 strategy was not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etermining solitude motivation, non-self-determining solitude motiva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his means that self-determining solitude motivation and non-self-determining solitude motivation affect psychological well-being through adaptive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Finall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significance, limitations, and suggestions were discussed.
      번역하기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olitude motivation on psychological well-being of unmarried adults a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To this end, data of 274 unmarried adults aged 20 to...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olitude motivation on psychological well-being of unmarried adults a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To this end, data of 274 unmarried adults aged 20 to 39 were collected through an online survey.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conducted through SPSS 21.0, structural relationships and mediating effects were analyzed through AMOS 21.0, and the significance of the mediating effect was verified through bootstrapping.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self-determining solitude motivation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psychological well-being, and 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and, non-self-determining solitude motivation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psychological well-being, 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Second, the mediating effect of the adaptive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 strategy was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etermining solitude motivation, non-self-determining solitude motiva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hird, the mediating effect of the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 strategy was not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etermining solitude motivation, non-self-determining solitude motiva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his means that self-determining solitude motivation and non-self-determining solitude motivation affect psychological well-being through adaptive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Finall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significance, limitations, and suggestions were discuss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미혼 성인의 고독동기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만20∼39세의 미혼 성인 274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SPSS 21.0을 통해 기술통계분석,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AMOS 21.0을 통해 구조적 관계와 매개효과를 분석하고 부트스트래핑을 통해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결정적 고독동기는 심리적 안녕감,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유의한 상관을 보였으며, 비자기결정적 고독동기는 심리적 안녕감,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유의한 상관을 나타냈고 심리적 안녕감은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유의한 상관을 보였다. 둘째, 자기결정적 고독동기, 비자기결정적 고독동기와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매개효과는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 셋째, 자기결정적 고독동기, 비자기결정적 고독동기와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매개효과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이는 자기결정적 고독동기와 비자기결정적 고독동기는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을 통해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의의와 한계점 및 제언에 대해 논의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미혼 성인의 고독동기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만20∼39세의 ...

      본 연구는 미혼 성인의 고독동기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만20∼39세의 미혼 성인 274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SPSS 21.0을 통해 기술통계분석,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AMOS 21.0을 통해 구조적 관계와 매개효과를 분석하고 부트스트래핑을 통해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결정적 고독동기는 심리적 안녕감,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유의한 상관을 보였으며, 비자기결정적 고독동기는 심리적 안녕감,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유의한 상관을 나타냈고 심리적 안녕감은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유의한 상관을 보였다. 둘째, 자기결정적 고독동기, 비자기결정적 고독동기와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매개효과는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 셋째, 자기결정적 고독동기, 비자기결정적 고독동기와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매개효과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이는 자기결정적 고독동기와 비자기결정적 고독동기는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을 통해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의의와 한계점 및 제언에 대해 논의하였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장 서론 1
      • 제1절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1
      • 제2절 연구 문제 7
      • 제2장 이론적 배경 9
      • 제1절 고독동기 9
      • 1장 서론 1
      • 제1절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1
      • 제2절 연구 문제 7
      • 제2장 이론적 배경 9
      • 제1절 고독동기 9
      • 제2절 심리적 안녕감 11
      • 제3절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13
      • 제4절 주요 변인들의 관계 15
      • 제3장 연구 방법 21
      • 제1절 연구 대상 21
      • 제2절 자료수집 절차 25
      • 제3절 측정 도구 26
      • 제4절 자료 분석 방법 31
      • 제4장 연구 결과 33
      • 제1절 주요 변인 간 기술통계 및 상관관계 분석 33
      • 제2절 측정모형 분석 35
      • 제3절 구조모형 분석 38
      • 제5장 논의 및 제언 49
      • 제1절 논의 49
      • 제2절 제한점 및 제언 55
      • 참고문헌 56
      • 국문요약 68
      • 영문초록 69
      • 부록 7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