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근대 이전 한글 애정 편지의 양상과 특징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6020014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근대 이전에 작성된 한글 애정 편지의 양상과 그 특징에 대해 관련기록과 실제 자료를 토대로 논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이러한 편지가 남성과 여성이 공식적인 부부...

      본 논문은 근대 이전에 작성된 한글 애정 편지의 양상과 그 특징에 대해 관련기록과 실제 자료를 토대로 논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이러한 편지가 남성과 여성이 공식적인 부부의 관계를 맺지 않은 상태에서 주고받은 것이라는 점에서, 이들 편지를 통해 근대 이전의 애정문제에 대한 사실적 접근을 시도한다.
      한글 편지를 활용하여 부부의 관계가 아닌 인물들이 애정의 감정을 주고받았다는 것은 한글 창제 이후 얼마 지나지 않은 시점부터 관련 기록을 통해 찾아 볼 수 있다. 특히 궁궐 안의 궁녀나 후궁도 애정 편지를 보내고 있으며, 궁궐 밖의 민간인들도 남녀 간의 은밀한 감정을 편지를 통해 표현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관계를 보여주는 편지의 실제 자료로 공개된 것은 19세기에 작성된 것들이다. 이들 편지의 내용을 보면 서로에 대한 일상적인 관심에서 경제적 문제에 대한 고민, 애절한 사랑의 고백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양상으로 전개되고 있다. 이 가운데 상대방의 감정을 확인하고자 편지를 보내지만, 이것이 받아들여지지 못하여 괴로워하는 내용의 편지들이 주목된다.
      이처럼 부부가 아닌 남녀가 애정의 감정을 담아 보낸 한글 편지는 현대적 의미로 연애편지라 할 수 있다. 이런 측면에서 근대 이전의 애정 문제에 실질적으로 접근하기 위해 한글 편지를 연구하는 것은 의미가 있다고 판단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iscuss aspects and characteristics of premodern Hangeul (Korean alphabet) love letters which men of noble family exchanged with concubine and gisaeng (woman professional entertainer in the era of Joseon dynasty) in th...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iscuss aspects and characteristics of premodern Hangeul (Korean alphabet) love letters which men of noble family exchanged with concubine and gisaeng (woman professional entertainer in the era of Joseon dynasty) in the pre-modern. In this study, their relationships were considered private relationships since they were not any official couple in marriage, and the letters they exchanged with each other were considered love letters on the basis of content in letters.
      The historical fact that Hangeul letters were used for people of private relationships to exchange any sentiment of affection was well evidenced by relevant records from the period that was not long after the invention of Hangeul as Korean alphabet under the supervision of King Sejong. In particular, it is historically evidenced that court ladies and royal concubines in the era of Joseon dynasty exchanged love letters with men of nobility, and even common people outside court exchanged love letters with others in their private relationships.
      An actual evidence of these love letters has been lately found to originate from the 19th century. It is found that content of this evidence in form of letter develops in a variety of aspects including usual interests for each other, concerns about financial difficulties and confession of pathetic love. Particularly, it is noteworthy that there were some premodern Hangeul letters that were written by sender to confirm partner’s intentions but ended up in agony of mind due to unaccepted proposal of sender.
      Hangeul letters written with any sentiment of affection between a man and a woman in their private relationships, not in marital relationships, are reasonably considered ‘love letters’ in our contemporary sense. In this context, it is meaningful to examine premodern Hangeul letters to take a practical approach to matters of love affair before modern time of Korea.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1. 서론
      • 2. 관련 기록에 나타난 애정 편지의 양상과 특징
      • 3. 19세기 한글 애정 편지의 양상과 특징
      • 4. 한글 애정 편지의 문학적 비교
      • 〈국문초록〉
      • 1. 서론
      • 2. 관련 기록에 나타난 애정 편지의 양상과 특징
      • 3. 19세기 한글 애정 편지의 양상과 특징
      • 4. 한글 애정 편지의 문학적 비교
      • 5.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백두현, "현풍곽씨언간 주해" 태학사 1-870, 2003

      2 허재영, "한글 간찰[언간(諺簡)]에 대한 기초 연구 - 연구의 흐름과 간찰 양식의 변화를 중심으로" 한국사회언어학회 13 (13): 257-278, 2005

      3 황패강, "한국고전문학전집 5 – 숙향전"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원 128-130, 1993

      4 김일근, "친필언간총람" 경인문화사 1-107, 1974

      5 김기현, "추사 산문에 나타난 부부상 – 한글 편지33통을 중심으로 살핌" 한국고전문학연구 4 : 31-45, 1988

      6 조항범, "주해 순천김씨묘 출토 간찰" 태학사 1-1028, 1998

      7 김무식, "조선조 여성의 문자생활과 한글편지 −한글편짓글에 반영된 조선조 여성의식과 문화(1)" 인문과학연구소 14 (14): 1-25, 2009

      8 "조선왕조실록"

      9 백두현, "조선 시대 여성의 문자 생활 연구― 조선왕조실록 및 한글 필사본을 중심으로 ―" 진단학회 (97) : 139-187, 2004

      10 황문환, "조선 시대 諺簡 資料의 연구 현황과 전망" 한국어문교육연구회 32 (32): 69-94, 2004

      1 백두현, "현풍곽씨언간 주해" 태학사 1-870, 2003

      2 허재영, "한글 간찰[언간(諺簡)]에 대한 기초 연구 - 연구의 흐름과 간찰 양식의 변화를 중심으로" 한국사회언어학회 13 (13): 257-278, 2005

      3 황패강, "한국고전문학전집 5 – 숙향전"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원 128-130, 1993

      4 김일근, "친필언간총람" 경인문화사 1-107, 1974

      5 김기현, "추사 산문에 나타난 부부상 – 한글 편지33통을 중심으로 살핌" 한국고전문학연구 4 : 31-45, 1988

      6 조항범, "주해 순천김씨묘 출토 간찰" 태학사 1-1028, 1998

      7 김무식, "조선조 여성의 문자생활과 한글편지 −한글편짓글에 반영된 조선조 여성의식과 문화(1)" 인문과학연구소 14 (14): 1-25, 2009

      8 "조선왕조실록"

      9 백두현, "조선 시대 여성의 문자 생활 연구― 조선왕조실록 및 한글 필사본을 중심으로 ―" 진단학회 (97) : 139-187, 2004

      10 황문환, "조선 시대 諺簡 資料의 연구 현황과 전망" 한국어문교육연구회 32 (32): 69-94, 2004

      11 김일근, "이조어필언간집" 신흥출판사 1-110, 1959

      12 한국학중앙연구원, "의성 김씨 천전파, 초계 정씨 한글 간찰" 태학사 2009

      13 서유문, "연행록선집 VII. 무오연행록(戊午燕行錄)"

      14 김지영, "연애라는 표상" 소명출판 42-42, 2007

      15 김일근, "언간의 연구" 건국대학교출판부 1-447, 1991

      16 "소수록"

      17 김려, "부령을 그리며" 돌베개 14-104, 1996

      18 한국학중앙연구원, "대전 안동권씨 유회당가 한글 간찰 외" 태학사 2009

      19 이윤석, "남원고사" 서해문집 313-314, 2008

      20 경일남, "고전소설과 삽입 문예 양식" 역락 11-77, 2002

      21 안귀남, "고성이씨 이응태묘 출토 편지" 태학사 6 : 40-46, 1999

      22 정병설, "<소수록>읽기" 문학동네 216-383, 2007

      23 유승희, "19세기 여성관련 범죄에 나타난 갈등양상과 사회적 특성 ―秋曹決獄錄을 중심으로―" 대동문화연구원 (73) : 139-168, 2011

      24 홍학희, "17~18세기 한글 편지에 나타난 송준길(宋浚吉) 가문 여성의 삶"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 : 67-103, 2010

      25 이경하, "15-16세기 왕후의 국문 글쓰기에 관한 문헌적 고찰" 한국고전여성문학회 (7) : 389-416, 200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20-01-02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STUDIES INSTITUTE -> Center for Korean Studies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4-01-14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Journal of Korean Studies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3 0.53 0.6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6 0.71 1.169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