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藥泉 南九萬의 한시에 나타난 죽음의 형상화와 미적 특질 - 挽詩를 중심으로 = The death imagery and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Nam-guman s Mansi(挽詩)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48636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남구만은 주로 17세기 중·후반에서 18세기 초엽까지 활동했던 문인이자 정치가이다. 특히 숙종조에서는 영의정을 지냈고, 소론의 영수로서 정계의 핵심 인물로 활동하였다. 약천은 외교, 행정, 국방 등 정치사적인 측면에서 많은 업적을 남겼고, 지금까지 약천에 대한 연구도 정치적·역사적 측면에 초점이 맞춰져 왔던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문학적인 측면에서 보았을 때도 약천은 상당한 분량의 시문을 지었을 뿐만 아니라, 그 수준 또한 주목할만한 작품들이 많기 때문에 보다 심도있는 약천 연구를 진행하기 위해서는 문학적인 측면에 대한 고찰이 반드시 필요하리라 본다. 그의 문집인 『약천집』에는 276수의 시가 실려 있어 문인으로서의 남구만을 살펴보는 데에 좋은 자료가 된다. 본고에서는 만시를 중심으로 남구만시의 특징을 고찰하였다. 그는 약 54수의 만시를 남겼는데, 문집에 실린 시의 전체적인 분량을 고려해 볼 때 이는 매우 많은 비율을 차지한다. 약천이 이토록 많은 만시를 남긴 것은 그의 정치적·사회적 신분이나 위상과 무관하지 않다. 29세에 환로에 올라 83세로 죽을 때까지 50여년의 세월을 정계의 핵심 인물로 활동했으니 수많은 인사들과 교유를 나눴을 것이다. 따라서 직·간접적으로 연관된 인물들의 죽음 앞에서 때로는 자발적으로, 또 때로는 청탁에 의해 만시를 짓게 되는 경우가 많았음을 쉽게 유추해 볼 수 있다. 또한 약천이 만시를 이처럼 많이 짓게 된 것은 조선후기, 특히 만시의 창작이 가장 비약적으로 늘어났던 16세기에서 17세기의 문학적 배경에 기인한다고 여겨진다. 그가 만시의 대상으로 삼은 인물들의 면면을 살펴보면 교유관계는 물론 인생관과 가치관 같은 약천의 사상적 편린까지도 살펴볼 수 있어 매우 흥미롭다. 약천이 만시로 남긴 38명의 인물들을 살펴보면, 왕과 왕비, 사대부가의 부인들도 있지만 주류를 이루는 것은 역시 고위관직을 역임한 관료들이다. 이는 평생을 중앙정계의 핵심인물로 살아왔던 남구만의 정치적 입지를 보여주며, 동시에 평소 남구만과 교유관계가 깊었던 인물들이 누구인지를 말해주기도 한다. 또한 동료의 모친이나 부인, 제자의 죽음을 애도한 시도 보이는데, 이들을 다룬 시에서는 개인적인 감회, 즉 망자에 대한 애도와 안타까운 감정이 다른 시들에 비해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표현 기법적인 특징을 보면 망자의 정치적·학문적 업적을 기술하고 기질이나 성격, 또는 인간적인 풍모 등을 언급한다. 망자의 부모형제, 자녀 중에 특이한 사항이 있으면 함께 기술하며, 특히 시인과의 개인적 추억이나 일화가 있는 경우에는 이를 부각시키기도 한다. 전체적으로 볼 때 약천의 만시는 매우 서정적이고 감성에 호소하는 시들도 있고, 반면에 마치 묘지명이나 행장 등에서 기술될법한 내용들이 주를 이뤄 실용적이라는 느낌을 갖게 되는 시들도 있다. 특히 서정적인 만시의 경우, 대체로 율시일 때는 마지막 尾聯에, 절구일 때는 結句에 시인의 감정을 담은 寫景위주의 비유적 표현들이 자주 등장한다. 이는 약천 만시의 중요한 특징 가운데 하나이다.
      번역하기

      남구만은 주로 17세기 중·후반에서 18세기 초엽까지 활동했던 문인이자 정치가이다. 특히 숙종조에서는 영의정을 지냈고, 소론의 영수로서 정계의 핵심 인물로 활동하였다. 약천은 외교, 행�...

      남구만은 주로 17세기 중·후반에서 18세기 초엽까지 활동했던 문인이자 정치가이다. 특히 숙종조에서는 영의정을 지냈고, 소론의 영수로서 정계의 핵심 인물로 활동하였다. 약천은 외교, 행정, 국방 등 정치사적인 측면에서 많은 업적을 남겼고, 지금까지 약천에 대한 연구도 정치적·역사적 측면에 초점이 맞춰져 왔던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문학적인 측면에서 보았을 때도 약천은 상당한 분량의 시문을 지었을 뿐만 아니라, 그 수준 또한 주목할만한 작품들이 많기 때문에 보다 심도있는 약천 연구를 진행하기 위해서는 문학적인 측면에 대한 고찰이 반드시 필요하리라 본다. 그의 문집인 『약천집』에는 276수의 시가 실려 있어 문인으로서의 남구만을 살펴보는 데에 좋은 자료가 된다. 본고에서는 만시를 중심으로 남구만시의 특징을 고찰하였다. 그는 약 54수의 만시를 남겼는데, 문집에 실린 시의 전체적인 분량을 고려해 볼 때 이는 매우 많은 비율을 차지한다. 약천이 이토록 많은 만시를 남긴 것은 그의 정치적·사회적 신분이나 위상과 무관하지 않다. 29세에 환로에 올라 83세로 죽을 때까지 50여년의 세월을 정계의 핵심 인물로 활동했으니 수많은 인사들과 교유를 나눴을 것이다. 따라서 직·간접적으로 연관된 인물들의 죽음 앞에서 때로는 자발적으로, 또 때로는 청탁에 의해 만시를 짓게 되는 경우가 많았음을 쉽게 유추해 볼 수 있다. 또한 약천이 만시를 이처럼 많이 짓게 된 것은 조선후기, 특히 만시의 창작이 가장 비약적으로 늘어났던 16세기에서 17세기의 문학적 배경에 기인한다고 여겨진다. 그가 만시의 대상으로 삼은 인물들의 면면을 살펴보면 교유관계는 물론 인생관과 가치관 같은 약천의 사상적 편린까지도 살펴볼 수 있어 매우 흥미롭다. 약천이 만시로 남긴 38명의 인물들을 살펴보면, 왕과 왕비, 사대부가의 부인들도 있지만 주류를 이루는 것은 역시 고위관직을 역임한 관료들이다. 이는 평생을 중앙정계의 핵심인물로 살아왔던 남구만의 정치적 입지를 보여주며, 동시에 평소 남구만과 교유관계가 깊었던 인물들이 누구인지를 말해주기도 한다. 또한 동료의 모친이나 부인, 제자의 죽음을 애도한 시도 보이는데, 이들을 다룬 시에서는 개인적인 감회, 즉 망자에 대한 애도와 안타까운 감정이 다른 시들에 비해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표현 기법적인 특징을 보면 망자의 정치적·학문적 업적을 기술하고 기질이나 성격, 또는 인간적인 풍모 등을 언급한다. 망자의 부모형제, 자녀 중에 특이한 사항이 있으면 함께 기술하며, 특히 시인과의 개인적 추억이나 일화가 있는 경우에는 이를 부각시키기도 한다. 전체적으로 볼 때 약천의 만시는 매우 서정적이고 감성에 호소하는 시들도 있고, 반면에 마치 묘지명이나 행장 등에서 기술될법한 내용들이 주를 이뤄 실용적이라는 느낌을 갖게 되는 시들도 있다. 특히 서정적인 만시의 경우, 대체로 율시일 때는 마지막 尾聯에, 절구일 때는 結句에 시인의 감정을 담은 寫景위주의 비유적 표현들이 자주 등장한다. 이는 약천 만시의 중요한 특징 가운데 하나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Yakchon, Nam-guman is a bureaucrat and writer in the second half term of the 17th the first half term of 18th century. Especially during the reign of Sookjong, he went through prime minister and spent many years as a key figure in politics. Yakchon accomplished a lot in politics - administration, defence, diplomacy and so on. So the researches of Yakchon have been focused on his accomplishments in politics. He, however, accumulated outstanding achievements in literature. If we would like to know more about Yakchon, we should study his poems, Mansi(挽詩). 『Yakchonjib』, the collection of his works run 276 pieces of poems. The focus of this paper is on his Mansi(挽詩). Some views on his poems are prerequisites for an in-depth study on Yakchon. He left as many as 54 pieces of Mansi(挽詩) in 『Yakchonjib』. All things considered, that is a high proportion. I guess there is two reason. Fist, Mansi(挽詩) was really caught on in 16~17C. Second, he met a number of celebrities and politicians and went through their death during 50years of political activity. Yakchon mourned the death of 38 people in his Mansi(挽詩) and they are mostly bureaucrats. It reflects his social intercourse. Meanwhile, there were poems that mourned his loved ones such as mother, wife, disciples. His personal feelings-sadness and sorrow- are prominently featured in these poems. If you look at expressive technique in Yakchon s works, basically there is references to academic and political achievements of the dead. Also he made mention of personal appeal and reminiscences about the dead. In general, Yakchon s Mansi(挽詩) is lyrical and appeals to the reader s sensitivity. But there are poems that give the feeling of practical sense reminding of an epitaph. Especially in lyrical poems, he described his personal feelings in a figurative expression at the last part. This is one of the important characteristics of Yakchon s Mansi(挽詩).
      번역하기

      Yakchon, Nam-guman is a bureaucrat and writer in the second half term of the 17th the first half term of 18th century. Especially during the reign of Sookjong, he went through prime minister and spent many years as a key figure in politics. Yakchon ac...

      Yakchon, Nam-guman is a bureaucrat and writer in the second half term of the 17th the first half term of 18th century. Especially during the reign of Sookjong, he went through prime minister and spent many years as a key figure in politics. Yakchon accomplished a lot in politics - administration, defence, diplomacy and so on. So the researches of Yakchon have been focused on his accomplishments in politics. He, however, accumulated outstanding achievements in literature. If we would like to know more about Yakchon, we should study his poems, Mansi(挽詩). 『Yakchonjib』, the collection of his works run 276 pieces of poems. The focus of this paper is on his Mansi(挽詩). Some views on his poems are prerequisites for an in-depth study on Yakchon. He left as many as 54 pieces of Mansi(挽詩) in 『Yakchonjib』. All things considered, that is a high proportion. I guess there is two reason. Fist, Mansi(挽詩) was really caught on in 16~17C. Second, he met a number of celebrities and politicians and went through their death during 50years of political activity. Yakchon mourned the death of 38 people in his Mansi(挽詩) and they are mostly bureaucrats. It reflects his social intercourse. Meanwhile, there were poems that mourned his loved ones such as mother, wife, disciples. His personal feelings-sadness and sorrow- are prominently featured in these poems. If you look at expressive technique in Yakchon s works, basically there is references to academic and political achievements of the dead. Also he made mention of personal appeal and reminiscences about the dead. In general, Yakchon s Mansi(挽詩) is lyrical and appeals to the reader s sensitivity. But there are poems that give the feeling of practical sense reminding of an epitaph. Especially in lyrical poems, he described his personal feelings in a figurative expression at the last part. This is one of the important characteristics of Yakchon s Mansi(挽詩).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문제 제기
      • Ⅱ. 『약천집』 소재 만시 작품 개황과 특징
      • Ⅲ. 약천시의 표현기법과 문학성
      • Ⅳ. 결어
      • 국문초록
      • Ⅰ. 문제 제기
      • Ⅱ. 『약천집』 소재 만시 작품 개황과 특징
      • Ⅲ. 약천시의 표현기법과 문학성
      • Ⅳ. 결어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송혁기, "老․少 分岐期의 學的 地形과 南九萬 계열 소론계의 문학비평"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 10 : 181-210, 2011

      2 "한국역대인물종합정보시스템"

      3 임종욱, "한국역대인명사전" 이회문화사 2009

      4 "한국고전번역원 DB"

      5 이성무, "조선국왕전" 청아출판사 2012

      6 하정승, "정몽주 시에 나타난 죽음의 형상화와 미적 특질" 포은학회 10 : 1-32, 2012

      7 이근호, "이야기 조선왕조사" 청아출판사 2005

      8 하정승, "이숭인의 挽詩類 작품에 나타난 죽음의 형상화와 미적 특질" 한국한시학회 (21) : 113-151, 2013

      9 성당제, "약천 상소문에 나타난 문예미와 현실대응" 성균관대인문과학연구소 36 : 2005

      10 김호, "약천 남구만의 형정론刑政論에 대한 다산 정약용의 비판" 한국국학진흥원 (19) : 665-698, 2011

      1 송혁기, "老․少 分岐期의 學的 地形과 南九萬 계열 소론계의 문학비평"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 10 : 181-210, 2011

      2 "한국역대인물종합정보시스템"

      3 임종욱, "한국역대인명사전" 이회문화사 2009

      4 "한국고전번역원 DB"

      5 이성무, "조선국왕전" 청아출판사 2012

      6 하정승, "정몽주 시에 나타난 죽음의 형상화와 미적 특질" 포은학회 10 : 1-32, 2012

      7 이근호, "이야기 조선왕조사" 청아출판사 2005

      8 하정승, "이숭인의 挽詩類 작품에 나타난 죽음의 형상화와 미적 특질" 한국한시학회 (21) : 113-151, 2013

      9 성당제, "약천 상소문에 나타난 문예미와 현실대응" 성균관대인문과학연구소 36 : 2005

      10 김호, "약천 남구만의 형정론刑政論에 대한 다산 정약용의 비판" 한국국학진흥원 (19) : 665-698, 2011

      11 김영주, "약천 남구만의 문학론 연구" 경북대 퇴계연구소 33 : 2008

      12 성당제, "약천 남구만의 고토 회복의지" 우리한문학회 10 : 2004

      13 성당제, "약천 남구만 문학 연구" 한국학술정보 2007

      14 강신엽, "소헌남도영박사고희기념역사학논총" 민족문화사 1993

      15 이재철, "사림정치기 남구만의 현실의식과 정국운영론" 역사교육학회 26 : 2000

      16 김성언, "남구만의 시세계" 한국한시학회 (11) : 2007

      17 양언석, "남구만의 문학세계 연구"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15) : 2004

      18 강신엽, "남구만의 국방사상" 민족문화추진회 14 : 1991

      19 성백효, "국역 약천집" 한국고전번역원 2008

      20 하정승, "고려후기 挽詩에 나타난 죽음의 형상화와 미적 특질 -목은 이색의 시를 중심으로-" 동방한문학회 (50) : 35-68, 2012

      21 조창록, "迂齋 趙持謙의 생애와 直道孤忠의 시" 한국실학학회 (14) : 191-218, 2007

      22 "藥泉集"

      23 성당제, "藥泉 南九萬 詩의 品格" 한국한문학회 (35) : 247-275, 2005

      24 윤재환, "藥泉 南九萬 上疏文의 構成 原理와 展開 樣相 - 『章疏彙攷』와 『疏箚可則』 所在 辭職上疏文을 中心으로 -" 한민족어문학회 (74) : 207-247, 2016

      25 "肅宗大王實錄"

      26 李秉延, "朝鮮寰輿勝覽"

      27 최윤정, "書簡을 통해 본 박세당과 남구만의 교유 양상" 한국고전연구학회 (24) : 227-258, 2011

      28 "壺谷集"

      29 조순희, "國譯明齋遺稿" 한국고전번역원 2006

      30 박인호, "南九萬과 李世龜의 歷史地理硏究" 역사학회 138 : 1993

      31 이천신문, "“新恩川” 기사문"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4 0.64 0.5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4 0.5 1.236 0.2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