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 형이상학에 대한 칸트의 비판 이후 형이상학은 오늘날 여전히 학문으로서 지위를 의심받곤 한다. 본 논문은 아리스토텔레스로부터 시작된 고전 형이상학과 스콜라 형이상학, 특히 토...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전통 형이상학에 대한 칸트의 비판 이후 형이상학은 오늘날 여전히 학문으로서 지위를 의심받곤 한다. 본 논문은 아리스토텔레스로부터 시작된 고전 형이상학과 스콜라 형이상학, 특히 토...
전통 형이상학에 대한 칸트의 비판 이후 형이상학은 오늘날 여전히 학문으로서 지위를 의심받곤 한다. 본 논문은 아리스토텔레스로부터 시작된 고전 형이상학과 스콜라 형이상학, 특히 토미즘의 핵심적인 통찰을 내용 면에서 잘 보전하면서도 이를 현대 철학의 문제로 끌어와 현대적 감각 안에서 논증하고 재해석한 코레트의 초월철학적 사유를 탐구한다. 그는 칸트와 하이데거, 그리고 헤겔과 셸링 등 독일 관념론의 해박한 지식을 토대로 일찍이 토마스 철학과 칸트를 접목했던 마레샬의 핵심 사상, 즉 ‘초월론적 방법’을 확대 발전시키는데 주목할 만한 성과를 이룬 철학자이다. 본 논문은 존재 지평의 기반 위에서 수행되는 코레트의 초월론적-형이상학적 사유의 핵심 사상이 무엇인지 2장 형이상학으로서 초월철학, 3장 초월론적 방법의 기본 요소와 존재 지평에서 차례로 검토함으로써 결과적으로 형이상학을 상실한 시대에 그 현대적 의의를 밝히고자 한다.
존재는 철학의 오래된 주제이다. 초월철학 안에서 모든 것의 근거로서 존재를 초월론적 반성과 방법을 통해 제시하는 형이상학적 시도는 존재 자체를 학문의 대상으로 제시하는 것에 대해 문제 삼는 반형이상학적 사유에 맞서서 존재에 관한 형이상학적 물음의 학문적 가능성을 타진하면서 새롭게 형이상학의 토대를 구축하고 재건하려는 노력의 일환이다. 현대적 방법 안에서 형이상학의 가능성을 구명하는 방법으로서 형이상학은 그렇기에 다시 존재의 의미를 밝히는 더욱 심화하고 확장된 물음으로 나갈 과제를 안고 있다. 이 물음은 전통과의 단절보다는 오히려 과거와 현재의 사유의 만남이라는 지평 융합을 통해서 더 풍성해질 필요가 있다.
참고문헌 (Reference)
1 신승환, "형이상학과 탈형이상학 : 형이상학의 유래와 도래" 서광사 2018
2 아리스토텔레스, "형이상학" 도서출판 길 2017
3 박병준, "해석학과 존재론" 7 : 270-296, 2000
4 박병준, "하이데거의 존재론적 차이와 토마스 아퀴나스의 존재 이해" 한국하이데거학회 (24) : 243-275, 2010
5 아퀴나스, 토마스, "존재자와 본질에 대하여" 바오로딸 2004
6 하이데거, 마르틴, "존재와 시간" 까치글방 1998
7 박병준, "존재 지평의 해석학: E. 코레트의 해석학을 중심으로" 한국해석학회 (29) : 3-28, 2012
8 에머리히 코레트, "전통 형이상학의현대적 이해: 형이상학 개요" 가톨릭대학교출판부 1994
9 박병준, "인간학과 존재론" 128 : 53-73, 2000
10 에머리히 코레트, "인간이란 무엇인가? – 철학적 인간학의 기본 개요" 성바오로출판사 1994
1 신승환, "형이상학과 탈형이상학 : 형이상학의 유래와 도래" 서광사 2018
2 아리스토텔레스, "형이상학" 도서출판 길 2017
3 박병준, "해석학과 존재론" 7 : 270-296, 2000
4 박병준, "하이데거의 존재론적 차이와 토마스 아퀴나스의 존재 이해" 한국하이데거학회 (24) : 243-275, 2010
5 아퀴나스, 토마스, "존재자와 본질에 대하여" 바오로딸 2004
6 하이데거, 마르틴, "존재와 시간" 까치글방 1998
7 박병준, "존재 지평의 해석학: E. 코레트의 해석학을 중심으로" 한국해석학회 (29) : 3-28, 2012
8 에머리히 코레트, "전통 형이상학의현대적 이해: 형이상학 개요" 가톨릭대학교출판부 1994
9 박병준, "인간학과 존재론" 128 : 53-73, 2000
10 에머리히 코레트, "인간이란 무엇인가? – 철학적 인간학의 기본 개요" 성바오로출판사 1994
11 칸트, 임마누엘, "순수이성비판" 아카넷 2008
12 칼 라너, "말씀의 청자: 종교철학의 기초를 놓는 작업" 가톨릭대학교출판부 2004
13 박병준, "그리스도교 철학과 그 과제" 138 : 86-107, 2002
14 Hegel, Georg Wilhelm Friedrich, "Wissenschaft der Logik I, Werke 5: Erster Teil. Die objektive Logik. Erstes Buch" Suhrkamp 1986
15 Coreth, Emerich, "Vom Sinn der Freiheit" Tyrolia-Verlag 97-124, 1985
16 Coreth, Emerich, "Unmittelbarkeit und Vermittlung des Seins: Versuch einer Antwort an Bernard J. F. Lonergan SJ" 92 (92): 313-327, 1970
17 Coreth, Emerich, "Metaphysik in un-metaphysischer Zeit, Beiträge zur Theologie und Religionswissenschaft" Patmos Verlag 1989
18 Coreth, Emerich, "Metaphysik : Eine methodisch-systematische Grundlegung" Tyrolia-Verlag 1961
19 Lonergan, Bernard, "Metaphysics as Horizon" 16 (16): 481-494, 1966
20 Coreth, Emerich, "Grundfragen der Hermeneutik: Ein philosophischer Beitrag" Herder 1969
21 Rahner, Karl, "Geist in Welt: Zur Metaphysik der endlichen Erkenntnis bei Thomas von Aquin" Kösel-Verlag 1957
22 Muck, Otto, "Die transzendentale Methode in der scholastichen Philosophie der Gegenwart" Verlag Felizian Rauch 1964
23 Reiner, Hans, "Die Entstehung und ursprüngliche Bedeutung des Namens Metaphysik" 8 (8): 210-237, 1954
24 Reiner, Hans, "Die Entstehung der Lehre vom bibliothekarischen Ursprung des Namens Metaphysik. Geschichte einer Wissenschaftslegende" 9 (9): 77-99, 1955
25 Muck, Otto, "Christliche Philosophie im katholischen Denken des 19. und 20. Jahrhunderts, Band 2: Rückgriffauf scholastisches Erbe" Styria 590-622, 1988
26 Coreth, Emerich, "Beiträge zur Chrislichen Philosophie" Tyrolia-Verlag 1999
27 Park, Byoung Jun Luis, "Anthropologie und Ontologie: Ontologische Grundlegung der transzendental-anthropologischen Philosophie bei Emerich Coreth, Tesi Gregoriana Serie Filosofia 11" Editrice Pontificia Università Gregoriana 1999
탈존의 형이상학: 『말도로르의 노래』에 대한 존재론적 성찰
욕구 만족의 규범성에 관하여: 욕구를 만족하는 것은 과연, 혹은 왜 좋은 일인가?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1-07-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199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54 | 0.54 | 0.4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5 | 0.53 | 1.168 | 0.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