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 사회 환경교육의 발전 과정: 『환경교육』을 통해 본 사회 환경교육의 연구 동향을 중심으로 = Development of Social Environmental Education in Korea: Focusing on the Related Research Trends in the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Educ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38727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n the 30th anniversary of the Korean Society for Environmental Education, this study aims to identify research trends on social environmental education, to analyze different development periods and to derive insights for future studies. Out of 789 pu...

      On the 30th anniversary of the Korean Society for Environmental Education, this study aims to identify research trends on social environmental education, to analyze different development periods and to derive insights for future studies. Out of 789 published articles (since 1989) from the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Education, 156 social environmental education-related articles were analyzed using the following nine criteria: year of publication, author's affiliation, research method, research topic, agent of education, educational goal, education target, place of education, and form of education. The result reveals that the number of articles that are related to social environmental education is lower than general or school environmental education-related ones. In terms of research topics, studies in educational program take up the majority whilst theoretical and philosophical research has a relatively small portion. The research trend in educational agents and location of education is found to be greatly influenced by relevant environmental education policies. Educational targets, on the other hand, have been simultaneously affected by changes in civil environmental organizations and school curriculum. In regard to the form of education criterion, non-formal education is shown as the majority. Lastly, the ratio between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study has been balanced in the recent years; the qualitative research was remarkably outnumbered in the past. Overall, it is said that social environmental education has developed with keen interactions with environmental and social changes, national/local environmental education policies as well as evolving school curriculum. In order for social environmental education to have a complementary influence in development of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future, it is required to expand its research base to explore and interpret the diverse values of current educational activities, which take place outside of the formal institution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사)한국환경교육학회의 창립 30주년에 즈음하여, 학회지 『환경교육』에 게재된 사회 환경교육관련 연구 동향을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사회 환경교육의 시기별 발전 과정에 대...

      이 연구는 (사)한국환경교육학회의 창립 30주년에 즈음하여, 학회지 『환경교육』에 게재된 사회 환경교육관련 연구 동향을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사회 환경교육의 시기별 발전 과정에 대한 고찰, 향후 연구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찾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1989년부터 현재까지 학회지에 게재된 789편의 논문가운데, 사회 환경교육 관련 논문 156편을 대상으로 9가지 영역별 분석(게재 연도, 저자 소속, 연구 방법 연구 주제, 교육 주체, 교육 목표, 교육 대상, 교육 장소, 교육 형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사회 환경교육 관련 논문은 일반 환경교육이나 학교 환경교육에 비해 편수가 적고, 프로그램 연구가 대다수를 차지하였으며, 이론/철학 연구가 상대적으로 낮은 비율로 나타났다. 교육 주체와 교육 장소적 특성에 따른 연구동향에서는 환경교육 정책의 영향을 크게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교육 대상과 관련해서는 민간환경단체의 변화와 학교 교육과정의 영향을 동시에 받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교육 형식과 관련해서는 비형식 교육이 대다수를 차지하였다. 마지막으로 과거에는 질적 연구의 비율이 현저히 높았으나 최근에는 양적 연구의 비율도 높아져 양적, 질적 연구 편수가 비슷해진 것으로 파악되었다. 전반적으로 사회 환경교육은 환경적/사회적 변화와 함께 국가/지자체의 환경교육 정책 및 학교 교육과정 등의 정책의 변화에도 민감하게 상호작용하며 발전해온 것으로 파악된다. 향후 사회 환경교육이 환경교육의 발전 과정에서 상호보완적인 영향력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제도권 밖에서 벌어지는 역동적 교육활동의 의미를 탐색하고 해석할 수 있는 연구기반의 확대가 필요한 시점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노아미, "환생교(환경과 생명을 지키는 교사 모임)를 중심으로 본 환경교육운동" 112-115, 2010

      2 장미정, "환경운동가의 정체성 변화를 통해 본 환경교육운동가 형성과정 : 환경교육운동가의 기억과 구술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1

      3 남상준, "환경교육론" 대학사 1995

      4 이재영, "환경교육 패러다임 변천과 학교숲의 환경교육적 활용" 2001

      5 이대형, "한국의 환경교육운동사" 이담북스 2014

      6 이선경, "한국의 유엔지속가능발전교육 10년" 유네스코한국위원회 2014

      7 장미정, "한국 환경교육운동의 형성과정과 정체성"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 (20): 85-105, 2012

      8 최돈형, "한국 학교 환경교육사산책" 이담북스 2012

      9 황세영, "학술지“환경교육”논문 분석을 통한 학교 환경교육 연구 동향 고찰" 한국환경교육학회 25 (25): 224-241, 2012

      10 권혜선, "학교-사회 협력 환경교육 모델 개발을 위한 실행 연구" 한국환경교육학회 28 (28): 117-133, 2015

      1 노아미, "환생교(환경과 생명을 지키는 교사 모임)를 중심으로 본 환경교육운동" 112-115, 2010

      2 장미정, "환경운동가의 정체성 변화를 통해 본 환경교육운동가 형성과정 : 환경교육운동가의 기억과 구술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1

      3 남상준, "환경교육론" 대학사 1995

      4 이재영, "환경교육 패러다임 변천과 학교숲의 환경교육적 활용" 2001

      5 이대형, "한국의 환경교육운동사" 이담북스 2014

      6 이선경, "한국의 유엔지속가능발전교육 10년" 유네스코한국위원회 2014

      7 장미정, "한국 환경교육운동의 형성과정과 정체성"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 (20): 85-105, 2012

      8 최돈형, "한국 학교 환경교육사산책" 이담북스 2012

      9 황세영, "학술지“환경교육”논문 분석을 통한 학교 환경교육 연구 동향 고찰" 한국환경교육학회 25 (25): 224-241, 2012

      10 권혜선, "학교-사회 협력 환경교육 모델 개발을 위한 실행 연구" 한국환경교육학회 28 (28): 117-133, 2015

      11 김찬국, "학교-사회 협력 환경교육 모델 개발 연구 최종보고서" 국가환경교육센터 2013

      12 이건남, "체험환경교육의 연구동향" 20 : 87-98, 2014

      13 장미정, "첨단기술, 환경교육의 희망이 될수 있을까?" 환경재단 2017

      14 원종빈, "지역개발에 의한 환경보전운동과 주민의 자기교육(自己敎育)과정에 관한 연구" 82-83, 2009

      15 지은경, "지역 기반 사회환경교육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 생태보전시민모임 숲속 자연학교 사례" 16 (16): 34-47, 2003

      16 환경부, "제2차 환경교육종합계획" 환경부 2015

      17 김동렬, "저자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초등 환경교육의 연구 동향 탐색"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36 (36): 113-128, 2017

      18 김이성, "일본의 기업 환경교육 연구 동향에 관한 고찰" 한국환경교육학회 23 (23): 75-86, 2010

      19 이선경, "유엔 지속가능발전교육 10년(DESD)의 중간 평가를 위한 실태 조사 연구" 유네스코한국위원회 2010

      20 조형숙, "유아 환경교육의 연구 동향"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5 (15): 419-445, 2011

      21 김찬국, "우리나라 지속가능발전교육 연구 동향과 연구 방향:1994∼2017년 "환경교육" 게재 논문을 중심으로" 한국환경교육학회 30 (30): 353-377, 2017

      22 한국환경교육학회, "우리나라 사회 환경교육의 발전방안 연구" (사)한국환경교육학회 2003

      23 허정림, "시민단체와 공공기관의 사회환경교육 현황 : 담당자의 환경에 대한인식과 태도 조사를 통하여" 14 (14): 56-65, 2001

      24 김희경, "성공적인 학교-사회 협력 환경교육을 위한 요소 탐색 : 전문가 및 선행 경험자와의 면담 결과를 중심으로" 한국환경교육학회 27 (27): 486-499, 2014

      25 조성화, "사회환경교육지도사 3급 간이양성과정 공통교재 개발 연구" 32-36, 2014

      26 이시재, "사회환경교육의 현황과 교육환경개선" 12 (12): 21-33, 1999

      27 이숙임, "사회환경교육의 교육과정 표준화 모형 및 통합프로그램 개발연구" 11 (11): 177-211, 1998

      28 송영은, "사회 환경교육 지도자의 자격 제도 개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6

      29 신동희, "국내·외 환경교육 논문 분석을 통한 연구 경향 비교" 한국환경교육학회 22 (22): 111-133, 2009

      30 노경임, "국내 환경교육 연구의 동향" 11 (11): 69-82, 1998

      31 권난주, "국내 초등환경교육 연구 동향 분석" 한국환경교육학회 25 (25): 1-14, 2012

      32 이선경, "국내 민간단체(NGO)의 지속가능발전교육 현황과 과제"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 (20): 111-123, 2012

      33 이대형, "교육실천가를위한 사회환경교육론 1" 이담북스 2019

      34 조성화, "교육과지속가능발전의 만남: 교사를 위한 지속가능발전교육" 북스힐 2015

      35 Jang, M., "The Past, Present and Future of Korean Social Environmental Education" 26 (26): 27-32, 2017

      36 조성화, "2018년 대한민국 환경교육 현황조사 연구" 한국환경교육네트워크. 환경부 2018

      37 최돈형, "2016년 한국 환경교육 현황조사연구" 국가환경교육센터. 환경부 201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5-10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The Korean Society for Environmental Education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8-28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Environmental Education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Education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4-27 학술지등록 한글명 : 환경교육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Environmental Education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4 0.94 0.9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8 0.92 0.94 0.3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