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불가리아어, 마케도니아어 후치정관사 문법화의 이론적 쟁점 = Theoretical Issues on Grammaticalization of the Bulgarian and Macedonian Postpositional Definite Articl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59141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불가리아어, 마케도니아어 후치정관사 문법화와 관련된 주요 사실들과 이론적 쟁점을 살펴본다. 첫째, 명사구 한정성의 문법화 기준에 대한 다양한 의견이 존재하는데, 그 기준을 모두 만족시키는 불가리아어, 마케도니아어 후치정관사는 매우 높은 수준으로 문법화되었다. 둘째, 불가리아어, 마케도니아어 후치정관사는 일원 체계 또는 삼원 체계인데, 둘 중 어떤 것이 더 근원적인가에 대한 논쟁이 있다. 셋째, 불가리아어, 마케도니아어 후치정관사가 독립적 단어인 접어인가, 단어의 일부인 접사인가에 대한 논쟁이 있다. 넷째, 불가리아어, 마케도니아어 후치정관사가 언제, 어디에서 시작된 것인가에 대한 다양한 가설이 존재한다. 다섯째, 불가리아어, 마케도니아어 후치정관사 발생과 격 표지 상실의 상관관계, 여섯째, 불가리아어, 마케도니아어 후치정관사와 동사 한정성의 상관관계에 대한 문제의식이 존재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불가리아어, 마케도니아어 후치정관사 문법화와 관련된 주요 사실들과 이론적 쟁점을 살펴본다. 첫째, 명사구 한정성의 문법화 기준에 대한 다양한 의견이 존재하는데, 그 기준을...

      본 연구는 불가리아어, 마케도니아어 후치정관사 문법화와 관련된 주요 사실들과 이론적 쟁점을 살펴본다. 첫째, 명사구 한정성의 문법화 기준에 대한 다양한 의견이 존재하는데, 그 기준을 모두 만족시키는 불가리아어, 마케도니아어 후치정관사는 매우 높은 수준으로 문법화되었다. 둘째, 불가리아어, 마케도니아어 후치정관사는 일원 체계 또는 삼원 체계인데, 둘 중 어떤 것이 더 근원적인가에 대한 논쟁이 있다. 셋째, 불가리아어, 마케도니아어 후치정관사가 독립적 단어인 접어인가, 단어의 일부인 접사인가에 대한 논쟁이 있다. 넷째, 불가리아어, 마케도니아어 후치정관사가 언제, 어디에서 시작된 것인가에 대한 다양한 가설이 존재한다. 다섯째, 불가리아어, 마케도니아어 후치정관사 발생과 격 표지 상실의 상관관계, 여섯째, 불가리아어, 마케도니아어 후치정관사와 동사 한정성의 상관관계에 대한 문제의식이 존재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some important facts and theoretical issues concerning grammaticalization of the Bulgarian and Macedonian postpositional definite articles. First, there are different opinions about perspectives on what qualifies a definite marker as an article. Meeting all the necessary criteria, the Bulgarian and Macedonian nominal definiteness markers are proven to be highly grammaticalized. Second, Bulgarian and Macedonian dialects feature either a monistic or a tripartite postpositional definite article system, and there is a debate about which system appeared first. Third, linguists argue over whether the Bulgarian and Macedonian postpositional articles are enclitics being an independent word or affixes as part of a word. Fourth, there are different hypotheses about when and from where the Bulgarian and Macedonian postpositional definite articles originate. Finally, there is a question about a correlation between the emergence of postpositional articles and the loss of nominal cases in Bulgarian and Macedonian, and a correlation between the definiteness of articles and the definiteness of past tense forms in these languages.
      번역하기

      This study examines some important facts and theoretical issues concerning grammaticalization of the Bulgarian and Macedonian postpositional definite articles. First, there are different opinions about perspectives on what qualifies a definite marker ...

      This study examines some important facts and theoretical issues concerning grammaticalization of the Bulgarian and Macedonian postpositional definite articles. First, there are different opinions about perspectives on what qualifies a definite marker as an article. Meeting all the necessary criteria, the Bulgarian and Macedonian nominal definiteness markers are proven to be highly grammaticalized. Second, Bulgarian and Macedonian dialects feature either a monistic or a tripartite postpositional definite article system, and there is a debate about which system appeared first. Third, linguists argue over whether the Bulgarian and Macedonian postpositional articles are enclitics being an independent word or affixes as part of a word. Fourth, there are different hypotheses about when and from where the Bulgarian and Macedonian postpositional definite articles originate. Finally, there is a question about a correlation between the emergence of postpositional articles and the loss of nominal cases in Bulgarian and Macedonian, and a correlation between the definiteness of articles and the definiteness of past tense forms in these languages.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