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통일독일의 통일비용과 경제통합 = Unification Cost and Economic Integration in the German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71866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During the reunification process in early 1990s, two Germanies faced two difficult tasks for economic integration. One is the question of how two ‘totally’ different economic regimes between socialist economy and capitalism could get unified. Ther...

      During the reunification process in early 1990s, two Germanies faced two difficult tasks for economic integration. One is the question of how two ‘totally’ different economic regimes between socialist economy and capitalism could get unified. There is also a huge economic divide between the East and the West.
      The core of economic integration plan is that newly unified German government chooses socialist market economy in the West Germany as the basic economic system and provides East Germany basic infrastructure needed for economic development. Initially two Germanies exchanged their currency. However, the unpleasing result is highly overinflated Eastern German Marks, getting East Germany worse in terms of economy. Another important issue is the privatization on the national property in the former East Germany. The problem is that privatization was led by the Trust Management Department (Treuhandanstalt). There was little consensus about how to return and compensate long-seized property under the Soviet military regime and then East Germany government. It costs huge governmental budget in flourishing the market economy.
      Federal and state governments have initiated many projects to get economic integration of two Germanies onboard; German Reunification Fund, Emergency Contribution(Solidaritätsbeitrag), and by aid of EU.
      Social infrastructures such as railroad, highway, and telecommunications have been invested by federal and state governments in East Germany area. As a result, East Germany emerged one of the fastest growing regions given a short-time period.
      Despite the recent industrial advance in East Germany are, there is the dark side of economic integration process. Scholars believe that it would take more than two or three decades in fully recovering East Germany area at the same level West Germany area is at the current. Though twenty years have passed since the German Reunification, the economic integration of two Germanies is still in the process of advancing.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동·서독간의 경제통합에는 두 가지의 큰 문제가 있었다. 하나는 사회주의 경제체제와 자본주의 경제체제를 통합하는 문제이고, 또 다른 하나는 구동·서독간의 경제력이 너무 차이가 크다�...

      동·서독간의 경제통합에는 두 가지의 큰 문제가 있었다. 하나는 사회주의 경제체제와 자본주의 경제체제를 통합하는 문제이고, 또 다른 하나는 구동·서독간의 경제력이 너무 차이가 크다는 것이었다. 경제통합의 주요 내용은 서독의 사회적 시장경제질서를 통일독일의 경제체제로 확정하고, 동독에 이를 실현하기 위한 제반여건을 조성하는 것이었다.
      통일독일의 경제통합은 화폐교환으로부터 시작되었다. 당시 국제금융시장에서 일반적으로 인정되던 동독화폐와 서독화폐의 공식 환율은 4:1이었는데, 화폐통합 당시의 교환비율은 1:1과 1:2였다. 화폐교환 후 과대평가 된 동독마르크로 인해 동독지역의 경제는 아주 나빠졌다. 또한 구동독 국유재산의 사유화문제도 큰 문제였다. 즉, 신탁관리청(Treuhandanstalt)에 의한 사유화도 문제였고, 동독수립 후와 소련군정시기에 몰수당했던 재산의 반환과 보상문제도 컸다. 그리고 동독지역 경기부양을 위한 사업들에도 상당히 많은 통일비용이 필요하였다.
      독일연방정부와 주정부들은 통일비용을 마련하기 위해 여러 가지 방안을 강구하였다. 그 가운데 대표적인 것은 첫째, 독일통일기금(Der Fonds Deutsche Einheit), 둘째, 연대협약Solidaritätsbeitrag)에 의한 세금인상, 그리고 EU 등에서의 지원금 등이다.
      이제 동독사람들의 임금과 연금수준은 통일되기 이전보다 월등히 나아졌다. 동독사람들이 받는 연금은 임금보다 더 서독수준에 육박하고 있다.
      연방정부와 주정부들은 동독의 경제를 활성화하기 위해 철도, 도로, 통신망 등 사회간접자본에 상당히 많은 지원을 하였다. 특히 ‘VDE-Projekte’라는 대형 교통프로젝트로 철도, 고속도로, 그리고 수로를 건설하는 등 동독은 짧은 기간 동안 유럽에서 가장 성장이 빠른 지역이 되었다. 동·서독 국민총생산의 실질성장률도 신연방주들의 성장률이 높았었으나, 2006년부터는 구연방주들의 성장률도 신연방주들과 비슷해지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동독지역 경제를 서독지역 경제와 동일한 수준으로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최소한 20년 이상 또는 한 세대가 지나야 한다는 견해가 있다. 통일이 된지 거의 20년이 가까워 오는 지금도 통일독일의 경제통합은 계속 진행 중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신동천, "통일비용과 남북협력기금: 독일통일로부터의 교훈" 12 (12): 2008

      2 황병덕, "통일독일의 재정운용 실태연구" 민족통일연구원 1992

      3 황성모, "통일독일 현장연구" 도서출판 일념 1990

      4 통계청, "통독전후의 경제사회상 비교, (1996. 7)"

      5 안석교, "통독이후의 경제통합 (독일통일: 경제?군사?교육통합)" 대한발전전략연구원 2000

      6 유임수, "베를린 시대의 독일공화국" 엠 애드 2001

      7 이태욱, "두개의 독일-독일통일과 경제ㆍ사회적 부담" 삼성경제연구소 2001

      8 박성조, "독일통일과 분단한국" 경남대학교 극동문제연구소 1991

      9 주독대한민국대사관, "독일통일 6년, 동독 재건 6년: 분야별 통합 성과와 향후과제,” (1996. 6)"

      10 김유찬, "독일통일 3년에 대한 경제적 평가" 한국조세연구원 1993

      1 신동천, "통일비용과 남북협력기금: 독일통일로부터의 교훈" 12 (12): 2008

      2 황병덕, "통일독일의 재정운용 실태연구" 민족통일연구원 1992

      3 황성모, "통일독일 현장연구" 도서출판 일념 1990

      4 통계청, "통독전후의 경제사회상 비교, (1996. 7)"

      5 안석교, "통독이후의 경제통합 (독일통일: 경제?군사?교육통합)" 대한발전전략연구원 2000

      6 유임수, "베를린 시대의 독일공화국" 엠 애드 2001

      7 이태욱, "두개의 독일-독일통일과 경제ㆍ사회적 부담" 삼성경제연구소 2001

      8 박성조, "독일통일과 분단한국" 경남대학교 극동문제연구소 1991

      9 주독대한민국대사관, "독일통일 6년, 동독 재건 6년: 분야별 통합 성과와 향후과제,” (1996. 6)"

      10 김유찬, "독일통일 3년에 대한 경제적 평가" 한국조세연구원 1993

      11 통일원, "독일 통일 실태 자료집: 경제?사회분야 (1993.4)"

      12 이기식, "독일 통일 15년의 작은 백서" 고려대학교 출판부 2008

      13 주독대한민국대사관, "국회통일외무위원장 일행 방독 브리핑 자료” (1996. 8. 27)"

      14 송태수, "구 동독 지역 재산권 분쟁 처리의 교훈" (3월) : 1995

      15 이태욱, "경제통합과 충격(독일통일: 경제ㆍ군사ㆍ교육통합)" 대한발전전략연구원 2000

      16 Diewald, Martin, "Zwischenbilanz der Wiedervereinigung" Opladen 1996

      17 Flassbeck, Heiner, "Wirtschaftliche Aspekte der deutschen Vereinigung.” Jesse, E. & Mitter, A. (Hrsg.). Die Gestaltung der deutschen Einheit: Geschichte - Politik - Gesellschaft" Bundeszentrale fur politische Bildung 1992

      18 Blum, Ulrich, "Welche Probleme traten in der Integration zwischen Ost- und Westdeutschland auf?” Erfahrungen aus Deutschland vor und nach der Wiedervereinigung" Konrad- Adenauer-Stiftung & The Peace Foundation Seminar 2008

      19 Presse und Informationsamt der Bundesregierung, "Unser Land ver?dert sich: Deutschland 1990~1995. Bonn, 1995"

      20 Siebert, H,, "The Transformation of Eastern Europe" Kiel Discussion Papers 1991

      21 Bundesamt, "Statisches, Zahlenkompa? 1998 Statisches Taschenbuch f? Deutschland (Wiesbaden)"

      22 Gorfemaker, Maugred, "Probleme der inneren Einigung" Informationen zur politischen Bildung. Nr. 250 1996

      23 Wolle, Stefan, "Herrschaft und Alltag. Die Zeitgeschichtsforschung der Suche nach der Wahlen DDR (20. Juni. 1997)"

      24 Lillig, Thomas, "Finanzierung der Deutschen Einheit.” Weidenfeld, Werner & Korte, Karl-Rudolf (Hrsg.). Handbuch zur deutschen Einheit" Campus Verlag, 1993

      25 K?ters, Hanns J?gen, "Dokumente zur Deutschlandpolitik, Deutsche Einheit Sonderedition aus der Akten aus Bundeskanzleramtes 1989/90" R. Oldenbourg Verlag 1998

      26 Grosser, "Dieter u. a. Die sieben Mythen der Wiedervereinigung" Ehrenwirth 1991

      27 Presse und Informationsamt der Bundesregierung, "Die Vereinigung Deutschlands im Jahr 1990. Eine Dokumentation. Bonn, 1991"

      28 Muller, Uwe Supergau, "Deutsche Einheit(대재앙, 통일,-독일통일로부터의 교훈)" 문학세계사 2006

      29 Priewe, Jan, "Der Preis der Einheit, Bilanz und Perspektiven der deutschen Vereinigung" Fischer Taschenbuch Verlag 1992

      30 Pilz, Frank, "Das vereinte Deutschland" Fischer Verlag 1992

      31 Treuhandanstalt, "DM-Er?fnungsbilanz zum 1. Juli 1990" Oktober 1992

      32 "Bundesministerium f? Verkehr. Bau und Stadtentwicklung, Jahresbericht der Bundesregierung zum Stand der deutschen Einheit 2008: Die neuen L?der-f? ein modernes und soziales Deutschland. (24. September 2008)"

      33 Schmidt, Helmut, "Auf dem Weg zur deutschen Einheit(독일통일의 노정에서)" 시와 진실 2007

      34 De Maigiere, Lothar, "Anwalt der Einheit (독일통일 변호사)" 벽산자료원 2001

      35 Noelle-Neumann, Elisabeth, "Allensbacher Jahrbuch der Demoskopie 1998-2002" Saur 2002

      36 Noelle-Neumann, Elisabeth, "Allensbacher Jahrbuch der Demoskopie 1993~1997" Saur 199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2 0.32 0.4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3 0.42 0.639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