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학교안전사고를 경험한 청소년이 지각한 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 관계의 조절 효과 =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Relatedn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Depression among Adolescents Experiencing School Accid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56098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학교안전사고를 경험한 청소년이 지각한 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 관계의 조절 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하여 학교안전사고를 경험한 적이 있다고 응답한 중학교와 고등학교에 재학하는 206명을 대상으로 지각된 스트레스, 우울 그리고 또래 관계, 교사 관계, 부모 유대와 같은 사회적 관계를 묻는 질문지에 응답하도록 하였다. 연구 결과, 지각된 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서 또래 관계와 부모 유대가 각각 조절 효과를 보였다. 이를 통해 또래 관계와 부모 유대가 긍정적일수록 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이 완화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학교안전사고를 경험한 청소년이 지각한 스트레스가 우울로 발전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한 개입의 방향을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학교안전사고를 경험한 청소년이 지각한 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 관계의 조절 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하여 학교안전사고를 경험한 적이 있다고 응답한 중...

      본 연구는 학교안전사고를 경험한 청소년이 지각한 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 관계의 조절 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하여 학교안전사고를 경험한 적이 있다고 응답한 중학교와 고등학교에 재학하는 206명을 대상으로 지각된 스트레스, 우울 그리고 또래 관계, 교사 관계, 부모 유대와 같은 사회적 관계를 묻는 질문지에 응답하도록 하였다. 연구 결과, 지각된 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서 또래 관계와 부모 유대가 각각 조절 효과를 보였다. 이를 통해 또래 관계와 부모 유대가 긍정적일수록 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이 완화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학교안전사고를 경험한 청소년이 지각한 스트레스가 우울로 발전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한 개입의 방향을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relatedn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stress and depression among adolescents experiencing school accidents. The study sample consisted of 206 adolescents who experienced school accident, and all participants completed self-report measures of perceived stress, depression and social relatedness including peer relationship, teacher relationship and parental bonding. The results showed that peer relationship and parental bonding significantly moderated the relation between stress and depression. Additionally, the influence of stress to depression was higher among adolescents who indicated negative peer relationship and low level of parental bonding. These findings suggest that peer relationship and parental bonding could be important factor as a buffering effect on stress and depression in adolescents who experienced school accidents.
      번역하기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relatedn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stress and depression among adolescents experiencing school accidents. The study sample consisted of 206 adolescents who experienced school acci...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relatedn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stress and depression among adolescents experiencing school accidents. The study sample consisted of 206 adolescents who experienced school accident, and all participants completed self-report measures of perceived stress, depression and social relatedness including peer relationship, teacher relationship and parental bonding. The results showed that peer relationship and parental bonding significantly moderated the relation between stress and depression. Additionally, the influence of stress to depression was higher among adolescents who indicated negative peer relationship and low level of parental bonding. These findings suggest that peer relationship and parental bonding could be important factor as a buffering effect on stress and depression in adolescents who experienced school accident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송지영, "한국판 부모-자녀 결합 형태 검사 : 신뢰도 및 타당도 검증" 31 (31): 979-992, 1992

      2 이서원, "학업스트레스가 청소년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 가족응집성의 조절효과" 한국청소년학회 18 (18): 111-136, 2011

      3 윤혜순, "학교안전 연구동향과 과제" 한국청소년학회 22 (22): 345-366, 2015

      4 이정철, "학교생활 중 안전사고 발생에 관한 분석 연구" 8 (8): 225-237, 2012

      5 전겸구, "통합적 한국판 CES-D 개발" 6 (6): 59-76, 2001

      6 김진구, "초등학생의 공격성이 사회적 지위에 미치는 영향: 또래 공동체 의식과 교사 친밀성의 조절효과" 한국열린교육학회 23 (23): 207-231, 2015

      7 김영혜,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이 인지한 안전예방교육, 안전사고및 학교 시설물 관리 상태" 한국아동간호학회 8 (8): 183-194, 2002

      8 김유선, "청소년의 학업스트레스와 정신건강의 관계에서 부, 모-자녀간 의사소통의 조절효과" 한국아동교육학회 22 (22): 69-85, 2013

      9 안혜원, "청소년의 스트레스와 문제행동의 관계에 대한 부모애착 및 부모감독의 중재효과" 한국아동학회 30 (30): 77-88, 2009

      10 백영묘, "지각된 스트레스 : 척도 표준화 및 기억 기능에 대한 영향 탐색"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0

      1 송지영, "한국판 부모-자녀 결합 형태 검사 : 신뢰도 및 타당도 검증" 31 (31): 979-992, 1992

      2 이서원, "학업스트레스가 청소년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 가족응집성의 조절효과" 한국청소년학회 18 (18): 111-136, 2011

      3 윤혜순, "학교안전 연구동향과 과제" 한국청소년학회 22 (22): 345-366, 2015

      4 이정철, "학교생활 중 안전사고 발생에 관한 분석 연구" 8 (8): 225-237, 2012

      5 전겸구, "통합적 한국판 CES-D 개발" 6 (6): 59-76, 2001

      6 김진구, "초등학생의 공격성이 사회적 지위에 미치는 영향: 또래 공동체 의식과 교사 친밀성의 조절효과" 한국열린교육학회 23 (23): 207-231, 2015

      7 김영혜,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이 인지한 안전예방교육, 안전사고및 학교 시설물 관리 상태" 한국아동간호학회 8 (8): 183-194, 2002

      8 김유선, "청소년의 학업스트레스와 정신건강의 관계에서 부, 모-자녀간 의사소통의 조절효과" 한국아동교육학회 22 (22): 69-85, 2013

      9 안혜원, "청소년의 스트레스와 문제행동의 관계에 대한 부모애착 및 부모감독의 중재효과" 한국아동학회 30 (30): 77-88, 2009

      10 백영묘, "지각된 스트레스 : 척도 표준화 및 기억 기능에 대한 영향 탐색"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0

      11 서인균,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가 우울 및 절망감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12 (12): 117-147, 2015

      12 김희영, "노인의 스트레스와 우울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와 회복탄력성의 조절된 매개효과"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 32 (32): 183-204, 2016

      13 De Laet, S., "Transactional links between teacher–child relationship quality and perceived versus sociometric popularity : A three‐wave longitudinal study" 85 (85): 1647-1662, 2014

      14 Lieberman, A. F., "Toward evidence-based treatment : Child-parent psychotherapy with preschoolers exposed to marital violence" 44 (44): 1241-1248, 2005

      15 Wood, A. M., "The role of gratitude in the development of social support, stress, and depression : Two longitudinal studies" 42 (42): 854-871, 2008

      16 Heaven, P. C., "The impact of adolescent and parental characteristics on adolescent levels of delinquency and depression" 36 (36): 173-185, 2004

      17 Lazarus, R. S, "The handbook of behavioral medicine" 282-325, 1984

      18 Radloff, L. S., "The CES-D scale : A self-report depression scale for research in the general population" 1 (1): 385-401, 1977

      19 Frazier, P. A., "Testing moderator and mediator effects in counseling psychology research" 51 (51): 115-134, 2004

      20 Jerome, E. M., "Teacher–Child Relationships from Kindergarten to Sixth Grade : Early Childhood Predictors of Teacher‐perceived Conflict and Closeness" 18 (18): 915-945, 2009

      21 LaRusso, M. D., "Teachers as builders of respectful school climates : Implications for adolescent drug use norms and depressive symptoms in high school" 37 (37): 386-, 2008

      22 Mercer, S. H., "Teacher preference, peer rejection, and student aggression : A prospective study of transactional influence and independent contributions to emotional adjustment and grades" 46 (46): 661-685, 2008

      23 Cohen, S., "Stress, social support, and the buffering hypothesis" 98 (98): 310-, 1985

      24 Andersen, S. L., "Stress, sensitive periods and maturational events in adolescent depression" 31 (31): 183-191, 2008

      25 Bliese, P. D., "Social support, group consensus and stressor–strain relationships : Social context matters" 22 (22): 425-436, 2001

      26 Hankin, B. L., "Sex differences in adolescent depression : Stress exposure and reactivity models" 78 (78): 279-295, 2007

      27 Desjardins, T. L., "Relational victimization and depressive symptoms in adolescence : Moderating effects of mother, father, and peer emotional support" 40 (40): 531-544, 2011

      28 Hughes, J. N., "Reciprocal effects of student–teacher and student–peer relatedness : Effects on academic self efficacy" 32 (32): 278-287, 2011

      29 Dawson, J. F., "Probing three-way interactions in moderated multiple regression :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slope difference test" 91 (91): 917-926, 2006

      30 Krysinska, K.,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nd suicide risk : a systematic review" 14 (14): 1-23, 2010

      31 Bui, E., "Peritraumatic reactions and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in school-aged children victims of road traffic accident" 32 (32): 330-333, 2010

      32 Hampel, P., "Perceived stress, coping, and adjustment in adolescents" 38 (38): 409-415, 2006

      33 Fantuzzo, J., "Peer-mediated treatment of socially withdrawn maltreated preschool children : Cultivating natural community resources" 34 (34): 320-325, 2005

      34 McCormick, C. M., "Investigations of HPA function and the enduring consequences of stressors in adolescence in animal models" 72 (72): 73-85, 2010

      35 Eberhart, N. K., "Interpersonal style, stress, and depression : An examination of transactional and diathesis-stress models" 29 (29): 23-38, 2010

      36 Kolko, D. J., "Individual cognitive behavioral treatment and family therapy for physically abused children and their offending parents : A comparison of clinical outcomes" 1 (1): 322-342, 1996

      37 Helen, M., "Health Service for Mothers and Children" WB Saunders Company 1962

      38 Wentzel, K., "Handbook of positive psychology in schools" 229-243, 2009

      39 Juvonen, J., "Handbook of educational psychology, 2" 655-674, 2006

      40 Bronfenbrenner, U., "Handbook of child psychology" 2006

      41 Hughes, J. N., "Further support for the developmental significance of the quality of the teacher–student relationship" 39 (39): 289-301, 2001

      42 Gest, S. D., "Behavioral predictors of changes in social relatedness and liking school in elementary school" 43 (43): 281-301, 2005

      43 Yeung, R., "Adults make a difference : the protective effects of parent and teacher emotional support on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of peer‐victimized adolescents" 38 (38): 80-98, 2010

      44 Overstreet, S., "A school-based assessment of secondary stressors and adolescent mental health 18months post-Katrina" 48 (48): 413-431, 2010

      45 Parker, G., "A parental bonding instrument" 52 (52): 1-10, 1979

      46 Cohen, S., "A global measure of perceived stress" 24 : 385-396, 1983

      47 Pynoos, R. S., "A developmental psychopathology model of childhood traumatic stress and intersection with anxiety disorders" 46 (46): 1542-1554, 1999

      48 학교안전공제중앙회, "2015년도 사고발생 통계"

      49 학교안전공제중앙회, "2009년도 사고발생 통계"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14 2.14 2.1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34 2.47 2.766 0.5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