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쉼터이용 청소년의 생태체계적 요인이 자립준비에 미치는 영향: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Effect of Ecological System Factors on Self-Independence Preparation of Shelter-User-Adolescents : Analyzing Mediating Factor of Effect of Empowermen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56098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the influence of the factors, which can expect self-sufficiency preparation by the using shelter , focusing on the fact that the youth using shelter require self-sufficiency preparation in living. In particular, this study examined indirect effect and direct effect of such factors which influence on self-sufficiency preparation , by ecological system factors of the youth who use shelter influence through empowerment, focusing on mediation effect of empowerment in explaining of self-sufficiency preparation of the youth who use shelter. Thus this study executed a survey targeting 203 youth who use temporary shelter, short-term shelter, and mid/long-term shelter in Seoul, Gyeonggi, and Incheon area, and did technical statistical analysis of the materials using SPSS 20.0, and verified the hypothesis of this study through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using AMOS 21.0 as well as structural equation model.
      Next, the result of verifying the hypothesis through analysi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 is as follows.
      First, it has shown that macro factors, a low-ranking of ecological system, weigh direct influence on self-sufficiency preparation. This has been empirically verified that the social support for the youth using shelter is an important factor giving direct influence on self-sufficiency preparation. Thus, it is required to build a system giving emotional, evaluation, material, and information support for the self-sufficiency preparation of the youth using shelter. On the other hand, the factors influencing on self-sufficiency preparation and micro factors have been dismissed as they are not statistically meaningful.
      Second, the hypothesis has bee supported as it has shown that a middle factor, a low-ranking factor of ecological system of the youth using shelter, has meaningful influence on self-sufficiency preparation with mediation of empowermen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presented.
      번역하기

      This study analyzed the influence of the factors, which can expect self-sufficiency preparation by the using shelter , focusing on the fact that the youth using shelter require self-sufficiency preparation in living. In particular, this study examined...

      This study analyzed the influence of the factors, which can expect self-sufficiency preparation by the using shelter , focusing on the fact that the youth using shelter require self-sufficiency preparation in living. In particular, this study examined indirect effect and direct effect of such factors which influence on self-sufficiency preparation , by ecological system factors of the youth who use shelter influence through empowerment, focusing on mediation effect of empowerment in explaining of self-sufficiency preparation of the youth who use shelter. Thus this study executed a survey targeting 203 youth who use temporary shelter, short-term shelter, and mid/long-term shelter in Seoul, Gyeonggi, and Incheon area, and did technical statistical analysis of the materials using SPSS 20.0, and verified the hypothesis of this study through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using AMOS 21.0 as well as structural equation model.
      Next, the result of verifying the hypothesis through analysi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 is as follows.
      First, it has shown that macro factors, a low-ranking of ecological system, weigh direct influence on self-sufficiency preparation. This has been empirically verified that the social support for the youth using shelter is an important factor giving direct influence on self-sufficiency preparation. Thus, it is required to build a system giving emotional, evaluation, material, and information support for the self-sufficiency preparation of the youth using shelter. On the other hand, the factors influencing on self-sufficiency preparation and micro factors have been dismissed as they are not statistically meaningful.
      Second, the hypothesis has bee supported as it has shown that a middle factor, a low-ranking factor of ecological system of the youth using shelter, has meaningful influence on self-sufficiency preparation with mediation of empowermen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present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쉼터이용 청소년들이 독립적인 삶을 살아가는데 있어 자립준비가 중요하다는 것에 초점을 두고 쉼터이용 청소년들의 자립준비를 예측할 수 있는 요인들의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특히 쉼터이용 청소년들의 자립준비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에 초점을 두고 쉼터이용 청소년의 생태체계적 요인이 임파워먼트를 통해 자립준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이들 요인들의 직접효과와 간접효과를 분석하였다.
      서울시, 인천시 및 경기도의 일시쉼터, 단기쉼터 및 중장기쉼터를 이용하고 있는 청소년 20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SPSS 20.0을 활용하여 자료에 대한 기술적 통계분석을 하였고, AMOS 21.0을 이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과 구조방정식모형을 통해 본 연구의 가설을 검증하였다.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통해 가설을 검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생태체계적 요인의 하위요인 중 거시요인이 자립준비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쉼터이용 청소년의 생태체계적 요인의 하위요인 중 중시요인이 임파워먼트를 매개로 하여 자립준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연구의 의의를 제시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쉼터이용 청소년들이 독립적인 삶을 살아가는데 있어 자립준비가 중요하다는 것에 초점을 두고 쉼터이용 청소년들의 자립준비를 예측할 수 있는 요인들의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

      본 연구는 쉼터이용 청소년들이 독립적인 삶을 살아가는데 있어 자립준비가 중요하다는 것에 초점을 두고 쉼터이용 청소년들의 자립준비를 예측할 수 있는 요인들의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특히 쉼터이용 청소년들의 자립준비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에 초점을 두고 쉼터이용 청소년의 생태체계적 요인이 임파워먼트를 통해 자립준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이들 요인들의 직접효과와 간접효과를 분석하였다.
      서울시, 인천시 및 경기도의 일시쉼터, 단기쉼터 및 중장기쉼터를 이용하고 있는 청소년 20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SPSS 20.0을 활용하여 자료에 대한 기술적 통계분석을 하였고, AMOS 21.0을 이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과 구조방정식모형을 통해 본 연구의 가설을 검증하였다.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통해 가설을 검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생태체계적 요인의 하위요인 중 거시요인이 자립준비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쉼터이용 청소년의 생태체계적 요인의 하위요인 중 중시요인이 임파워먼트를 매개로 하여 자립준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연구의 의의를 제시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조규필, "취약청소년의 자립준비도 척도개발 및 타당화"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3

      2 조규필, "취약청소년 자립준비요인 탐색 및 시사점" 한국청소년복지학회 13 (13): 97-120, 2011

      3 배주미, "취약아동청소년자립지원모형 개발" 한국청소년상담원 2010

      4 배주미, "취약 아동청소년 자립지원 정책 및 서비스에 대한 현장전문가 델파이 조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2 (22): 69-96, 2011

      5 김윤나, "청소년자치활동이 임파워먼트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복지학회 12 (12): 1-23, 2010

      6 조선영, "청소년의 위기상황에 따른 자립준비에 관한 연구 : 생활역량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대구대학교 대학원 2011

      7 오승환, "청소년 가출에 대한 생태체계적 영향 요인 -가출충동과 가출경험을 중심으로-" 한국청소년복지학회 12 (12): 301-324, 2010

      8 임선영, "지역사회 취약성과 다양성이 청소년의 사회적 자본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2015

      9 김영대, "재가중증장애인의 장애태도가 자립생활에 미치는 영향 :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와 가족관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청주대학교 대학원 2013

      10 이수연, "자원봉사활동 참여경험이 비행청소년의 임파워먼트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지지를 매개변수로 하여" 경기대학교 대학원 2012

      1 조규필, "취약청소년의 자립준비도 척도개발 및 타당화"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3

      2 조규필, "취약청소년 자립준비요인 탐색 및 시사점" 한국청소년복지학회 13 (13): 97-120, 2011

      3 배주미, "취약아동청소년자립지원모형 개발" 한국청소년상담원 2010

      4 배주미, "취약 아동청소년 자립지원 정책 및 서비스에 대한 현장전문가 델파이 조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2 (22): 69-96, 2011

      5 김윤나, "청소년자치활동이 임파워먼트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복지학회 12 (12): 1-23, 2010

      6 조선영, "청소년의 위기상황에 따른 자립준비에 관한 연구 : 생활역량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대구대학교 대학원 2011

      7 오승환, "청소년 가출에 대한 생태체계적 영향 요인 -가출충동과 가출경험을 중심으로-" 한국청소년복지학회 12 (12): 301-324, 2010

      8 임선영, "지역사회 취약성과 다양성이 청소년의 사회적 자본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2015

      9 김영대, "재가중증장애인의 장애태도가 자립생활에 미치는 영향 :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와 가족관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청주대학교 대학원 2013

      10 이수연, "자원봉사활동 참여경험이 비행청소년의 임파워먼트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지지를 매개변수로 하여" 경기대학교 대학원 2012

      11 조기곤, "아동양육시설청소년의 자립준비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요인에 관한 연구" 원광대학교 대학원 2009

      12 박은선, "아동양육시설 퇴소 청소년들의 자립생활 준비를 위한 일반주의 실천 접근에 관한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2005

      13 김명성, "시설퇴소청소년의 자립과정에 관한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2013

      14 이경상, "시설청소년의 자립준비실태" 한국청소년학회 18 (18): 341-362, 2011

      15 곽미정, "생태체계적 요인이 청소년 임파워먼트에 미치는 영향 연구-가정생활만족도, 학교생활만족도, 여가생활만족도를 중심으로-" 한국청소년학회 18 (18): 215-246, 2011

      16 박지원, "사회적 지지 척도 개발을 위한 일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1985

      17 전선영,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사회복지교육성과와 직무성과와의 관계 -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한국사회복지학회 63 (63): 291-316, 2011

      18 김희성, "빈곤가정 청소년의 자립준비에 관한 연구 :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2

      19 김미연, "그룹홈 청소년의 자립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사)한국청소년문화연구소 (24) : 7-38, 2010

      20 통계청, "국가통계포털"

      21 정문진, "가출청소년의 자립준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서울시 가출청소년쉼터를 중심으로" 서강대학교 신학대학원 2012

      22 김남욱, "가출청소년의 자립준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중장기청소년쉼터를 대상으로"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08

      23 오수생, "가출위기청소년의 자립생활 준비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 체계적 변인연구 : 쉼터 청소년을 중심으로" 서울벤처정보대학원대학교 2009

      24 오수생, "가출위기청소년의 자립생활 준비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 체계적 변인연구 - 쉼터 청소년을 중심으로 -" 한국벤처창업학회 7 (7): 195-205, 2012

      25 Staples, H., "Powerful Ideas about Empowerment" 14 (14): 29-42, 1990

      26 여성가족부, "2015 여성가족부 청소년백서" 여성가족부 201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14 2.14 2.1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34 2.47 2.766 0.5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