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들에게 의미가 있는 장소는 그 곳에 존재하는 사람의 정체성을 보여주는 곳이다. 그래서 연구자는 학생들의 공간을 들여다보고 그들을 이해하려는 일환으로 본 연구를 시도하게 되었다...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4846505
2010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29-54(26쪽)
5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사람들에게 의미가 있는 장소는 그 곳에 존재하는 사람의 정체성을 보여주는 곳이다. 그래서 연구자는 학생들의 공간을 들여다보고 그들을 이해하려는 일환으로 본 연구를 시도하게 되었다...
사람들에게 의미가 있는 장소는 그 곳에 존재하는 사람의 정체성을 보여주는 곳이다. 그래서 연구자는 학생들의 공간을 들여다보고 그들을 이해하려는 일환으로 본 연구를 시도하게 되었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중학생들의 일상 공간인 운동장의 문화기술을 통해 학교생활의 맥락 속에서 운동장의 공간적 의미를 깊이 이해하고자 하는 것이 목적이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서울 소재 한 중학교의 운동장을 1년간 참여 관찰하였으며, 남녀 학생 4명(남2, 여2)의 연구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문화기술적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또한 심층인터뷰 외에 개방형 설문지, 수업일지, 연구일지, 각종 문서 자료 등을 수집하였다. 수집한 자료의 분석은 Huberman과 Miles(1984)가 제안한 귀납적 자료 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자료의 반복적 수집과 순환적 읽기를 통해 운동장은 첫째, 축구로 운동장을 보려는 왜곡된 그들만의 시선이 있었으며, 둘째, 스포츠가 늘 존재하는 곳에서 신체적 능력으로 겨루면서도 우연으로 승리를 갈망하기도 했다. 셋째, 학교의 질서를 유지하기 위한 제도화된 규율과 그 규율 속에서 벗어나려는 몸짓이 공존하였다. 넷째, 학습 공간으로써 기회균등이 주어지면서 성과 신체적 능력, 학년의 위계구조 등으로 차별이 존재하는 곳임을 밝힐 수 있었다. 운동장에 중층적으로 존재하는 학생들의 문화를 기술함으로써 체육수업 공간으로만 이해되는 운동장에 대한 이해의 지평을 크게 넓힐 수 있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lace to give a meaning to person show the identity of the person that exist there. So the researcher tried to take a look the place that students learned, played, and lived in school. Because a particular place shows identity of a person. Thus, t...
The place to give a meaning to person show the identity of the person that exist there. So the researcher tried to take a look the place that students learned, played, and lived in school. Because a particular place shows identity of a person.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eply understand spacial meaning of the playground as a daily living space in the context of school life.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 the researcher made participant observations about a middle school playground situated in a Seoul for an year. In-depth interviews were also made for four middle school students, two males and two females. In addition to participant observations and in-depth interviews, other data collecting methods such as open questionnaire, teaching journal, research journal, and document were used. The collected data were inductively analyzed by the method suggested by Huberman & Miles(1984). Research participants have a tendency to watch a playground with their own distorted eyes. They also see the playground as a place where students not only compete their physical ability through sports, but desire to gain the chance of winning the game. Middle school students having participated in the study make every effort to escape institutionalized rules designed to maintain orders of the school. Playground in the school is a place where equal opportunities are given, but then physical and sexual differences exist. There also exist hierarchical structure of grades. This study have contributed to expand the horizon of understanding the playground only as the space for physical education classes by describing multi-layers of student cultures exiting on the playground.
참고문헌 (Reference)
1 Kohn, A., "훈육의 새로운 이해" 시그마프레스 2005
2 송형석, "현대사회의 스포츠 전개 양상에 과한 사회문화적 고찰" 35 (35): 4050-4071, 1996
3 김지원, "학교공간에 대한 교육철학적 고찰" 고려대 대학원 2000
4 심붕섭, "초등학교의 공간배치와 이용에 관한 연구" 조선대학교 대학원 1995
5 김동환, "체육수업에서 여학생 정서경험 사례연구" 한국스포츠심리학회 19 (19): 13-32, 2008
6 김동환, "체육수업에서 여학생 정서경험 사례연구" 한국스포츠심리학회 19 (19): 13-32, 2008
7 Maxwell, J. A., "질적 연구 설계: 상호작용적 접근" 군자출판사 2004
8 전용진, "중학생이 체육수업에 체험하는 정서경험 탐색" 한국스포츠교육학회 13 (13): 119-137, 2006
9 Relph, E., "장소와 장소상실" 논형 2005
1 Kohn, A., "훈육의 새로운 이해" 시그마프레스 2005
2 송형석, "현대사회의 스포츠 전개 양상에 과한 사회문화적 고찰" 35 (35): 4050-4071, 1996
3 김지원, "학교공간에 대한 교육철학적 고찰" 고려대 대학원 2000
4 심붕섭, "초등학교의 공간배치와 이용에 관한 연구" 조선대학교 대학원 1995
5 김동환, "체육수업에서 여학생 정서경험 사례연구" 한국스포츠심리학회 19 (19): 13-32, 2008
6 김동환, "체육수업에서 여학생 정서경험 사례연구" 한국스포츠심리학회 19 (19): 13-32, 2008
7 Maxwell, J. A., "질적 연구 설계: 상호작용적 접근" 군자출판사 2004
8 전용진, "중학생이 체육수업에 체험하는 정서경험 탐색" 한국스포츠교육학회 13 (13): 119-137, 2006
9 Relph, E., "장소와 장소상실" 논형 2005
10 박민정, "열린 교실의 교육 공간 구성에 관한 참여관찰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1998
11 정주성, "열린 교실 지향의 국민학교 학습 공간 연구 분석" 전남대학교 1993
12 이순금, "어린이 공간의 개인적 의미" 춘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13 Geertz, C., "문화의 해석" 까치 1998
14 윤택림, "문화와 역사 연구를 위한 질적 연구 방법론" 아르케 2004
15 Cäillois, R., "놀이와 인간" 문예출판사 1994
16 Huizinga, J., "놀이와 문화에 관한 한 연구" 도서출판 까치 1993
17 이진경, "근대적 시․공간의 탄생" 푸른숲 1997
18 이상호, "국민학교의 교실․배치 계획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환경대학원 1981
19 최은경, "교육학적 공간 형성의 의미와 새로운 방향 모색" 감리교신학대학 2003
20 이은미, "교육공간으로서 학교공간의 의미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1994
21 이무용, "공간의 문화정치학" 논형 2005
22 이승행, "공간 운영 프로그램에 의한 학교 공간 구성 시뮬레이션"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3
23 송현저, "고등학생의 학교 공간 체험: 현상학적 접근" 3 (3): 3-12, 2005
24 윤대현, "고등학교 운동장에서의 젠더관계: 신체활동의 주변화와 중심화를 야기하는 배치의 분석" 한국스포츠교육학회 16 (16): 1-16, 2009
25 윤대현, "고등학교 운동장에서의 젠더관계: 신체활동의 주변화와 중심화를 야기하는 배치의 분석" 한국스포츠교육학회 16 (16): 1-16, 2009
26 Foucault, M., "감시와 처벌: 감옥의 역사" 나남출판사 1994
27 Jourard, S. M., "Self-disclosure: An experimental analysis of the transparent self" Wiley 1971
28 Miles, M., "Qualitative data analysis: a sourcebook of new methods" Sage 1984
29 Lincoln, Y., "Paradigmatic controversies, contradictions, and emerging confluences, Handbook of qualitative research (2nd ed.)" Sage Publications, Inc. 2000
30 Heidegger, M., "An ontological consideration of place in the question of being" Twayne Publishers 1958
결혼이주여성을 위한 한국어 교실 체험에 담긴 문해교육의 의미 탐색
자문화기술지: 방법론적 특징을 통해 본 교육인류학적 가치의 탐색
관객 없는 지휘의 자유 : 유아의 혼자놀이 체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4-12-25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Anthropology of Education -> The Journal of Anthropology of Education | ![]() |
2013-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45 | 1.45 | 1.4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49 | 1.5 | 1.903 | 0.4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