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부모의 성취압력과 진로포부의 관계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스마트폰 중독이 매개역할을 하는지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D광역시와 C지역 소재의 중학생 360명을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0520600
2015
Korean
334
KCI등재
학술저널
209-235(27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부모의 성취압력과 진로포부의 관계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스마트폰 중독이 매개역할을 하는지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D광역시와 C지역 소재의 중학생 360명을 ...
본 연구는 부모의 성취압력과 진로포부의 관계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스마트폰 중독이 매개역할을 하는지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D광역시와 C지역 소재의 중학생 360명을 대상으로 부모의 성취압력, 학업적 자기효능감, 스마트폰 중독, 진로포부의 척도를 사용하여 그 수준을 측정하였으며,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상관분석, 측정모형 검증,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요약한 결과 첫째, 청소년기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성취압력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관계에서 부의 성취압력은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부적인 직접효과를, 모의 성취압력은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정적인 직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의 성취압력과 스마트폰 중독의 관계에서 부의 성취압력은 자녀의 스마트폰 중독수준을 높게, 모의 성취압력은 자녀의 스마트폰 중독수준을 낮게 하는 직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의 성취압력은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스마트폰 중독을 경유하여 자녀의 진로포부에 부정적인 영향을, 모의 성취압력은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스마트폰 중독을 경유하여 진로포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서로 다른 결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청소년기 중학생의 긍정적 진로포부 인식 및 성공적 성취를 돕기위하여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증진과 스마트폰 중독 예방을 위한 부·모의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parental achievement pressure and career aspiration in focusing on mediating effects of academic self-efficacy and cell phone addiction. The statistical methods adopted for use as data a...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parental achievement pressure and career aspiration in focusing on mediating effects of academic self-efficacy and cell phone addiction. The statistical methods adopted for use as data analysis tools were the SEM by AMO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study showe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father and mother’s achievement pressure regarding academic self-efficacy. Second, the father’s achievement pressure correlated with high levels of cell phone addiction of children. However, the mother’s achievement pressure correlated with lower cell phone addiction. Third, the father’s achievement via academic self-efficacy and cell phone addiction was associated with the more negative aspects of career aspiration, the mother’s achievement via academic self-efficacy and cell phone addiction was related to the more positive aspect of career aspiration. To improve adolescents’ career aspirations, it is recommended that cell phone addiction prevention programs be more actively engaged as well as continuous career education support should be provided to parents.
목차 (Table of Contents)